• 제목/요약/키워드: Port Service Index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항만물류 정보서비스의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ervice for Port Logistics)

  • 이홍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7-71
    • /
    • 2014
  • 항만이 선사를 비롯한 항만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업무 수행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들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항만이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역시 항만이 선사에게 제공하는 중요한 서비스 중 하나에 해당되나, 이와 관련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항만물류 정보서비스의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6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평가기준을 확립하고, 만족도의 수준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만족도 지수체계를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부산항 이용자들의 정보서비스의 만족도 지수는 61.9로 나타났다. 또한, 3가지 평가영역 모두가 63이하로 나타나, 정보서비스 전반에 관한 개선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보처리의 신속성과 통합된 정보의 제공의 측면에 있어, 부산항의 정보서비스가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동량 연동 항만개발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roughput-linked Port Development (Trigger Rule) System)

  • 이수영;이나영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9-189
    • /
    • 2023
  • 우리나라의 현행 항만개발제도는 장래 항만물동량을 기준으로 항만시설의 완공 시기와 규모를 조정한다. 물동량 연동 항만개발제도라 불리는 현행 항만개발제도는 효율적으로 한정된 예산을 집행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최근 국내 항만시설의 노후화가 가속화 되면서 국내 항만시설의 서비스 수준저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항만개발제도에는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 개발 결정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항만의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선택하고 지표 간 가중치를 도출하여 현재의 '물동량 연동 항만개발제도'과 연계될 수 있는 항만서비스 지수(PSI)를 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선행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선박 대기율, 선석 생산성, 선박 재항 시간, 선박 생산성을 항만 서비스 지수를 구성하는 4가지 지표로 선정하였다. AHP 및 엔트로피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네 개 지표의 가중치를 종합하여 적용하였으며 항만서비스 지수(PSI) 산식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컨테이너 및 벌크터미널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는 측정 결과를 6개 등급으로 범주화 하여 각 등급의 서비스 수준을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물동량이라는 정량적 지표와 "서비스" 수준이라는 정성적 지표를 연계시킬 수 있는 항만개발제도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인천항 물류애로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컨테이너 화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Bottlenecks of Logistics in Incheon Port;Focused on Container Freight)

  • 안우철;안승범
    • 한국항만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만경제학회 2006년도 국제학술대회
    • /
    • pp.159-179
    • /
    • 2006
  • As the current trend to the main index of the port competitiveness evaluation, the competitiveness index of the port service comes to more important than the part of expense, location and facility. To reform the bottleneck of port has an effect on improving port service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analyzing bottlenecks on logistics to improve port competitiveness. It collected recent questionnaire data which are the subject as the Custom Service, th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the Trade Association about bottlenecks of port logistics for working out bottlenecks of domestic port logistics and it produced the order of priorities of bottlenecks by multiplying each output priorities and weights of each process in user of Incheon inner-outer port which is focused on container freight by analysis of priority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Unlik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has important values. It presents the priority evaluation only focused on the container freight was produced by port users who are categorized into shipping company, terminal operation company and forwarder, car-ferry in Incheon inner-outer port and making a application of logistics process. It means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improvement plan can be presented more concretely and detailed than past competitiveness attributes such as location, facility, service and expense. If the analysis of port logistics bottlenecks which was focused on container freight is extended to the part of general cargo and sundries such as haul grain, car, scrap iron, those studies will be able to provide Incheon port users with useful information and a model of analyzing overall bottleneck of logistics in Incheon port.

  • PDF

Basic Architecture of Navigation Safety Module in S2 Service of Korean e-Navigation System

  • Yoo, Yun-Ja;Kim, Tae-Goun;Moon, Serng-Bae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11-316
    • /
    • 2018
  • IMO introduced the concept of e-Navigation and proposed MSPs(Maritime Service Portfolios) concept to reduce marine accidents, to improve efficiency of ship operation, port operation, and ship operation technology. Korean e-Navigation defines S1 ~ S5 services, as the service concept focused on domestic e-Navig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IMO MSPs, and is constructing a system as an ongoing project. S2 service (onboard system remote monitoring service) among the concepts of Korean e-Navigation services, is a service concept that judges the emergency level according to risk if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during navigation, and provides corresponding guidance to accident ships based on emergency leve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basic architecture proposal of Korean e-Navigation S2 service navigation safety module, based on the S2 service operation concept. To do th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ask experts with experience with sailors, to respond to the subjective risk experienced by sailors considering effects of anomalies, including equipment failure relative to sailing and navigational safety. Risk level for each abnormal condition was classified. The basic algorithm design of the navigation safety module is composed of safety index (SI) calculation module based on results of questionnaire and expert opinions, safety level (SL)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safety index, and corresponding guidance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safety level. To conduct basic validation of basic architecture of the navigation safety module, simulation of the ship anomaly monitoring was performed, and results have been revealed.

게임이론 비용배분규칙에 의한 항만서비스 가격산정 (Pricing the Seaport Service according to the Cost Allocation Rule of Game Theory)

  • 박병인;성숙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57-274
    • /
    • 2012
  • 글로벌공급사슬간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항만서비스도 항만의 존속과 경쟁력제고를 위한 시장지향적인 가격산정이 크게 필요하다. 협조적 게임이론의 오웬밸류는 선사주체의 시장지향적 항만서비스가격 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우리나라 광양항의 사례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해보았다. 본 연구결과 부두용 특성함수를 사용하여 선석별 비용배분 문제를 해결하고, Budescu(1993)방법을 통해 안벽사용지수를 구하기 위한 관련요인의 상대적 가중치를 합리적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주요 선사에 대한 사용료 우대방안과 선사간 전략적 제휴에 의한 항만서비스 가격할인방안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를 결과를 활용하여 대형선박을 자주 운항하는 주요 선사에 대한 체계적인 요금할인을 통해 항만서비스요금을 전략적으로 책정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상교통관제사의 위험태도 분석을 통한 선박 충돌 위험도 연구 (A Study on the Degree of Collision Risk through Analysing the Risk Attitude of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s)

  • 이진석;송재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93-102
    • /
    • 2017
  • 일반적으로 VTSO(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는 양 선박의 충돌위험 정도를 판단할 때, 선박들의 침로와 속력, DCPA(Distance to CPA)와 TCPA(Time to CPA) 그리고 양 선박의 조우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TS(Vessel Traffic Service) 관점에서의 선박충돌위험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위험지수(Risk Index, RI)를 선박 조우 상황에 따른 위험, 선박 간 근접거리에 따른 위험 그리고 접근시간에 따른 위험으로 나누어 구하고, VTSO의 위험 태도를 반영한 충돌 위험도를 제안하였다. 위험지표의 각 계수와 위험 태도는 VTSO 설문을 실시하여 구하였고, 제안한 위험도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부산항의 실제 사고 사례에 ES(Environmental Stress) 모델의 교통 환경 스트레스치($ES_S$)을 함께 적용하여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Concept Design of Fire Safety Module for SV20 Service in the Korean e-Navigation System

  • Kim, Byeol;Moon, Serng-Bae;Hwang, Kwang-Il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23-330
    • /
    • 2018
  • The Korean e-Navigation system is a Korean approach to correspond with implementation of IMO e-Navigation. It provides five services, among them SV20 service, a ship remote monitoring system that collects and processes sensor information related to fire, navigation, and seakeeping performance safety. The system also detect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fires, capsizing, sinking, navigation equipment failure during navigation, and calculates the safety index and determines the emergency level. According to emergency level, it provides appropriate emergency response guidance for the onboard operator. The fire safety module is composed of three sub-modules; each module is the safety index sub-module, the emergency level determination sub-module and emergency response guidance sub-module. In this study, operational concept of the fire safety module in SV20 service is explained, and fire safety assessment factors are estimated, to calculate the fire safety index. Fire assessment factors included 'Fire detector position factor,' 'Smoke diffusion rate factor,' and 'Fire-fighting facilities factor.'

국내 항만의 선박 대기율 실증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Ship's Waiting Ratio in the Korean Seaports)

  • 김은수;김근섭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5-41
    • /
    • 2016
  • 항만 혼잡은 항만의 서비스 경쟁력 및 선화주의 항만 선택 요인으로 중요하게 인식된다. 우리나라 항만의 현행 체선지표인 체선율은 항만별 선박척수 비율로 단순 산정되어 항만의 고객인 선화주의 항만 선택 결정 및 항만관리자의 항만 개발 및 관리 운영 정책 수립 의사결정에 제한적으로 활용된다. 본 연구는 항만운영정보시스템과 해상교통관제시스템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항만의 선박 입출항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고자 약 10년간의 부두별, 선종별 대기율을 산정하였다. 컨테이너선박의 대기율은 4% 미만, 비컨테이너선박의 대기율은 15% 미만으로 UNCTAD, OECD에서 제시한 적정 수준을 만족했다. 대기율 분석 결과, 포항항이 57%로 가장 높았고, 세부 부두별로는 포항 신항의 1부두, 8부두, 4부두, 5부두, 선종별로는 철강재운반선, 일반화물선, 산물선(벌크선) 등의 순으로 높았다. 선박의 접안시간에 대한 묘박지 대기시간의 비율로 측정되는 대기율과 함께 선석점유율, 선박 대기 척수 및 시간 등은 항만 고객의 관점에서 항만별 부두별 서비스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고, 나아가 항만관리자의 항만 투자의사결정이나 관리 운영 정책 수립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항만분산화 현상에 관한 연구: 베트남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Deconcentration pattern of port system: Case in Southern Vietnam)

  • ;;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57-167
    • /
    • 2018
  • 최근 대규모 투자에 의한 항만의 질적 및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항만의 진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2007-2016 기간 동안 베트남 남부지역 항만의 집중화 및 분산화를 지니지수, 로렌츠커브 및 전이할당분석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분산화 현상이 관측되었으며, 특히 기존 항만에서 새로 신설된 신항만으로 전이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베트남 남부지역 항만의 진화현상을 종합적으로 제시함으로서 항만관리자, 운영자 및 선사, 화주, 물류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물류산업의 선진화를 위한 성과지표 분석: IT서비스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ey Performance Index for Advanced Logistics)

  • 장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5-3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국내 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물류 선진화를 도모하기 위한 성과지표를 분석하고 세부적인 IT서비스를 제시한다. 여기서 물류 기업의 성과는 크게 효율성, 지속가능성 및 경제성 측면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IT서비스는 기업 및 공공물류로 분류하여 기업들에게 필요한 IT서비스를 분석한다. 아울러 사례연구로서 평택항 관련 종사자 즉, 물류기업 및 무역업, 공무원, 지역주민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SPSS 분석)를 통하여 물류기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물류 IT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조사한다. 분석결과, 물류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인력의 확보와 표준화가 요구되고 시급한 IT서비스로서 물류자동화 기계화, u-Port 구축, 녹색친환경물류 그리고 물류보안 기술의 구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