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물류 정보서비스의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ervice for Port Logistics

  • 이홍걸 (경남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투고 : 2014.02.15
  • 심사 : 2014.03.13
  • 발행 : 2014.03.31

초록

항만이 선사를 비롯한 항만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업무 수행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들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항만이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역시 항만이 선사에게 제공하는 중요한 서비스 중 하나에 해당되나, 이와 관련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항만물류 정보서비스의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6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평가기준을 확립하고, 만족도의 수준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만족도 지수체계를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부산항 이용자들의 정보서비스의 만족도 지수는 61.9로 나타났다. 또한, 3가지 평가영역 모두가 63이하로 나타나, 정보서비스 전반에 관한 개선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보처리의 신속성과 통합된 정보의 제공의 측면에 있어, 부산항의 정보서비스가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ormation which port provide to users including shipping companies is essential information for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us, information service of several services which port provide to shipping company is also very important port-logistics service. However, despite of this importance, there have been little research related to port-logistics information servi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information service for port logistics. To achieve this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consisting of 16 item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as established. And satisfaction index that can effectively show the current level of information service for port logistics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atisfaction index of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Busan port was 61.90. And from the data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current level of information service in whole area was less than 63 points. It was implied that improvement for overall port-logistics information service was needed. Finally, from the follow-up research,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Busan port have weakness in the aspects of unification of information and celerity of inform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민진, 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 김홍섭, "항만물류정보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3집, 1997, 267-302.
  3. 류형근, 이홍걸, 이철영,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보화 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권 3호, 2008, 199-205
  4. 류형근.이홍걸.이철영, "항만의 정보화 수준 제고를 위한 통합평가지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1권 6호, 2007, 491-496.
  5. 명승환.홍필기, "정보공동이용의 비용절감 효과: 해양수산부의 항만운영정보망(Port-MIS EDI)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1997년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1997.
  6. 여기태.박준배, "전라북도 지역발전을 위한 물류진단시스템 구축 및 개선방안 제시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집 제1호, 2006, 87-103.
  7. 이홍걸,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이용한 항만물류 정보서비스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제22호, 2012, 89-109.
  8. 이홍걸,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지식경영 수준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권 제3호, 2008, 89-107.
  9. 이홍걸,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보보호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제10호, 2009, 735-742.
  10. 조재형.최형림.이창섭.박용성.권태우.정재운, "항만물류정보의 표준화 실태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2, 2009, 159-169.
  11. 최봉한, 컨테이너 터미널 정보화 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2. 최형림.박남규.김칠호, "PORT-MIS 사용자 시스템 개선방안", 한국항만학회 '98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998, 6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