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lar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8초

오존 환경에 대한 잡종 포플러 묘목의 가스 교환과 생장에 관한 연구 (Ozone-environmental Effects on Gas Exchange and Growth of Hybrid Poplar (Populus trichocarpa $\times$ P. deltoides) Seedlings)

  • 우수영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4호
    • /
    • pp.239-244
    • /
    • 1997
  • Hybrid poplar (Populus trichocarpa $\times$ P. deltoides) clones were fumigated with ozone. Fumigation was applied for 6 to 8 hours each day for approximately 3 months at ozone concentrations of 0.090 to 0.115 ppm using by open-top chambers. Growth and biomass of hybrid poplar seedlings were reduced by ozone exposure. Mean percentage of falling leaves in ozone-treated plant was 6 times higher than that of charcoal-filtered plant. Among physiological responses, rate of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initial Rubisco activit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edlings grown in ozone environment compared seedlings grown in charcoal-filtered air. All these physiological results supported that biochemical process to be a key feature to understand reduction in photosynthesis.

  • PDF

Organosolv Pretreatment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of Liquid Fertilizer-Treated Yellow Poplar for Sugar Production

  • Kim, Ho-Yong;Gwak, Ki-Seob;Jang, Soo-Kyeong;Ryu, Keun-Ok;Yeo, Hwanmyeong;Choi, In-Gy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5호
    • /
    • pp.578-590
    • /
    • 2015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SCBLF) treatment on the biomass characteristics of yellow poplar, and the optimization of organosolv pretreatment for sugar production. After SCBLF treatment, total exchangeable cation contents of yellow poplar was increased from $3.1g\;kg^{-1}$ to $4.4g\;kg^{-1}$, and as a result, biomass production of yellow poplar was also enhanced by 82.3%. Organosolv pretreatment was conducted with three independent variables: 1) reaction temperature: $133.2^{\circ}C$ to $166.8^{\circ}C$; 2) acid concentration: 0.2% to 1.8%; and 3) reaction time: 1.6 min to 18.4 min. Reaction temperatur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in water insoluble solid (WIS) recovery rate. High overall sugar yield was attained from pretreatment conditions approximately 50% of WIS recovery rate, and the highest overall glucose yield (44.0%) was achieved from pretreatment at $140^{\circ}C$ with 1.5% acid concentration for 5 min. Consequently, 21.1% of glucose and 5.8% of xylose were produced from the organosolv pretreatment of SCBLF-treated 8-year-old yellow poplar.

소나무목(林)과 포플러목(林)에 공생(共生)하는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동정(同定) 및 비교(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in Pine and Poplar Stands)

  • 이경준;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3
    • /
    • 1983
  • 수원근처(水原近處)에 있는 리기테다소나무림(林) 포플러(은사시나무)림(林)의 임상(林床)으로부터 1981년(年) 6월말(月末)부터 11월초(月初)까지 그리고 1982년(年) 7월초(月初)부터 9월말(月末)까지 외생균근(外生菌根)을 형성(形成)하는 버섯을 채취(採取)하여 그 분포(分布)를 구명(究明)하고 두 임분(林分)의 균종(菌種)의 상이점(相異點)을 비교(比較)하였다. 소나무림(林)에서는 15속(屬) 39종(種)을 구명(究明)하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포플러림(林)에서는 8속(屬) 16종(種)을 분류(分類)하였으며, 이 중 13종(種)은 소나무림(林)에서도 채취(採取)된 동일균종(同一菌腫)이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Boletus는 두 임분(林分)에서 한 균근(菌種)(붉은 그물버섯)만이 확인(確認)되었다. Lactarius는 포플러림(林)에서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1982년도(年度) 채집중(採集中) 한국말기록종(韓國未記錄種)인 Cantharellus lutescens를 소나무림(林)에서 채취(採取)하여 확인(確認)하였다.

  • PDF

포플러를 이용한 활성탄 제조 시스템에 대한 전과정 평가 (Life Cycle Assessment of Activated Carbon Production System by Using Poplar)

  • 김미형;김건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725-732
    • /
    • 2014
  • 식물정화공법(Phytoremediation)은 식물을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 또는 폐수의 유해한 오염물질을 흡수, 제거, 안정화, 무독화 시키는 기술을 의미하며, 친환경적, 경제적인 오염정화 방안이다. 포플러는 생장이 빠른 속성수종으로써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수제거하므로, 유기오염물질, 중금속 등 유해물질 제거에 높은 효율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정화공법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포플러를 원료로 이용한 활성탄 제조시스템을 대상으로 전과정평가 기법에 의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적의 탄화 및 활성화 조건에서 이동식 소규모의 로터리킬른 회전로를 사용하여 에너지소비를 최소화 하였을 때 환경편익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시스템경계확장방법을 적용하여 야자각을 원료로 한 활성탄 제조시스템의 환경영향의 회피분석결과 자원고갈을 제외한 환경영향 범주에서 마이너스 효과를 보이므로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자생 포플러나무에 의한 디젤오염토양 정화특성 연구 (Phytoremediation Study of Disel Contaminated Soil by Indigenous Poplar Tree)

  • 장순웅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5호
    • /
    • pp.51-5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포플러나무중 양황철을 대상으로 토양칼럼에서의 디젤(TPH) 제거 특성 및 식물체에 미치는 독성효과를 평가하였다. 포플러 삽목은 2달간 생장시킨 후 본 실험에 이용되었으며, 다양한 디젤농도(0, 200, 500, 1000, 2000 mg/kg)를 대상으로 60여 일간 진행되었다. 양황철에 의한 디젤 제거 실험에서 낮은 디젤농도에서는 효과적인 처리가 관찰된 반면, 농도가 증가할수록 처리효율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뿌리생장이 활발한 토양칼럼 하부에서의 처리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양황철 생장과 증산량을 비교하여 디젤의 양황철에 미치는 독성효과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양황철의 황백화 현상, 뿌리생장 저하, 증산량 감소 현상 등이 관찰 되었다. 또한 토양칼럼 깊이별 측정한 미생물 활성도 결과는 뿌리 생장이 많은 토양 칼럼 하부와 영양염류 및 디젤 분해미생물을 추가로 주입해준 경우가 높았다. 이러한 식물의 정화효과는 근권에 있는 토양미생물에 유용한 뿌리 분비물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의 활발한 번식 및 분해활동이 더욱 촉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현사시나무(Populus alba × P. glandulosa)에서 분리한 non-specific Lipid Transfer Protein (ns-LTP) 프로모터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a non-specific Lipid Transfer Protein (ns-LTP) promoter from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 조진성;노설아;최영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56-363
    • /
    • 2015
  • 나무의 유전 공학적 연구를 위해서는 목본 고유의 유전자 및 프로모터 연구가 필수적이다. 우리는 포플러(P. alba ${\times}$ P. glandulosa)의 Pagns-LTP 유전자의 867 bp 프로모터를 분리하였고, ${\beta}$-glucuronidase (GUS) reporter 유전자를 이용한 프로모터의 형질전환 포플러를 제작하여 특성 분석하였다. Pagns-LTP 유전자는 어린뿌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어린잎에서는 약하게 발현되었으며, 그밖에 다른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프로모터의 활성은 뿌리와 어린잎에서 한정되었으며 어린뿌리의 세포 전체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포플러 ns-LTP 프로모터 내의 cis-element를 조사하고 현사시나무에서 Pagns-LTP 프로모터를 분리한 후 활성을 분석하였다. 프로모터 내의 cis-element를 분석한 결과, 조직 특이적 발현과 호르몬 및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다양한 cis-element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포플러의 ns-LTP는 생장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에도 관여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목본의 유전자 기능 분석 및 다양한 응용 연구를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백합나무 스킨팀버의 압축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essive Capacity of Yellow Poplar Skin-timber)

  • 김광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33-343
    • /
    • 2011
  • 백합나무(yellow poplar)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흡수율이 매우 뛰어나고 오존흡수율도 뛰어나 저탄소 녹생성장 시대에 적합한 수종이다. 속성수인 백합나무는 구조용 부재로의 성능은 약간 부족하지만 가구재나 내장재, 합판용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한 수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이용하여 대단면 스킨팀버를 개발하고 압축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용도 개발을 위해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정각형 스킨팀버는 소재에 대해 56.3%의 잔존 강도를 보여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원통형 스킨팀버의 경우 잔존면적율이 25%임에도 불구하고 소재에 대해 50% 가까운 압축 성능을 나타내어 가구용 뿐만 아니라 대단면 재료로써 다양한 쓰임새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정각형과 원통형 모두 Brooming or end rolling이 주요 파괴모드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splitting 파괴 모드도 나타났다. 잔존면적률이 큰 정각형 스킨팀버의 압축성능이 원통형 스킨팀버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두 집단간에 압축성능에 있어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대로 혼용하여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치해석 모델은 실제 압축성능 실험과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치수에 대한 수치해석 모델 적용을 통해 백합나무 스킨팀버의 다양한 용도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사시나무 Gibberellic Acid-Stimulated Arabidopsis (GASA) 유전자의 발현 특성 및 건조 스트레스 내성 구명 (Characterization of Gibberellic Acid-Stimulated Arabidopsis (GASA) gene to drought stress response in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 최현모;배은경;최영임;윤서경;이효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61-68
    • /
    • 2017
  • GASA는 GA에 의해 조절되는 식물 유전자로서, 여러 식물에 보존되어 있고 다양한 조직에서 식물의 생장과 발달 및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SA 유전자를 현사시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에서 분리하여 이를 PagGASA라 명명하고,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PagGASA 유전자는 9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아미노 말단에 시그널 펩티드 영역과 카르복시 말단에 12개 시스테인 잔기가 보존되어 있다. PagGASA는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1 ~ 2 copy 존재하며, 꽃과 뿌리에서 높게 발현하였다. 또한 PagGASA는 GA 뿐 아니라 ABA와 JA, SA와 같은 스트레스 관련 식물 호르몬의 처리에 의해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사시나무에 형질전환하여 PagGASA를 과발현시킨 결과 건조 내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agGASA는 스트레스 관련 식물 호르몬 신호전달과 연결되어 건조 스트레스 방어기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변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적합한 포플러 클론 선발 (Selection of Poplar Clones for Short Rotation Coppice in a Riparian Area)

  • 김현철;이솔지;이위영;강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103-107
    • /
    • 2016
  • 연구는 수변지에 포플러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을 조성한 후 2년생 포플러 클론들의 바이오매스 생산, 질소 및 탄소흡수량을 구명하여 수변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적합한 포플러 클론을 선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공시수종은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 및 현사시나무 72-30클론 등의 포플러 3클론이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줄기 수는 5.0개로 나타났으며,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이 5.9개로 가장 많았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줄기직경 생장은 23.2 mm로 나타났으며,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25.4 mm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포플러 클론별 연평균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16.1 ton/ha/year, 현사시나무 72-30클론이 12.3 ton/ha/year 그리고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이 5.4 ton/ha/year로 나타나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가장 우수하였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질소흡수량은 연간 46.5 kg/ha/year로 나타났으며, 현사시나무 72-30클론이 연간 63.1 kg/ha/year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균 탄소흡수량은 연간 5.3 ton/ha/year로 나타났으며,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연간 7.7 ton/h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고려할 때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수변지 포플러 목재에너지림에 가장 적합한 포플러 클론이라 판단된다.

라왕 푸라타누스 및 포푸라 단판(單板)을 구성(構成)한 합판(合板)의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plywoods constructed by sycamore. poplar and lauan veneers)

  • 유회관;임원순;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38-47
    • /
    • 197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it and utilize American sycamore (Platanus occidentalis) and poplar grown in Korea as veneer species for plywood manufacture. At this study to save the imported lauan logs and dollars, the effects affecting to the properties of plywood constructed by sycamore, poplar and lauan veneers were studied. Important items dealt with this study were dry and wet shear strength, moisture content, and specific gravities By the results and discussion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Sycamore core lauan plywood (A-II type) was shown best dry shear strength, and the next were all lauan veneer plywood (A-I type), poplar core lauan plywood (B-I type), lauan core sycamore plywood (A-III type) in order.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dry shear strength of A-II type and A-I type, A-II type and B-I type plywood. 2) Wet shear strength showed the same order with dry shear strength. A-II type plywood showed best wet shear strength and it showed more difference than other plwoods. A-I type, B-I type and A-III type plywood were all very goo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in wet shear strength. 3) B-I type plywood showed highest moisture content of all type plywood and the next were all sycamore(A-IV type) all poplar plywood (B-III type), A-III type, B-II type, A-II type pllywood in order. Generally high moisture content showed when two or three veneers were same species in the three layer plywood. 4) A-III type plywood showed highest specific gravity of all and the next was A-IV type plywood without a difference to A-I type plywood on the whole. plywoods constructed by lauan and sycamore were shown high specific gravities and the next was lauan, sycamore and poplar, lauan and poplar. It seemed to be that connected wi th the specific gravity of veneer itself in different species. 5) The plywood manufactured by extension of potato flour is not only superior but also profitable in the price aspect than the plywood manufactured by extension of wheat flou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