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ic material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2초

항공기용 복합소재의 개발 및 연구동향 (Recent Trends in Composite Materials for Aircrafts)

  • 김득주;오대윤;정문기;남상용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252-258
    • /
    • 2016
  • 중량의 감소 및 향상된 기계적 특성은 항공 우주 산업으로의 적용을 위한 재료의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주요한 인자이다. 복합소재는 가벼운 무게와 탁월한 물성으로 항공기와 타 교통수단용 소재로써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경우 금속을 대신할 소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금속과 고분자 소재보다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복합소재는 비행기의 구조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리뷰에서는 항공기에 적용된 복합소재의 장점과 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소재 소재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금속 소재 하이브리드 구조의 방열기구 설계 및 방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cooling of the heat sink with hybrid structure of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nd metal)

  • 유영은;김덕종;윤재성;박시환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0권3호
    • /
    • pp.14-19
    • /
    • 2016
  • Thermally or electrically conductive fill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are extensively being developed as the demand for light weight material increases rapidly in industiral applications need good conductivity such as heat sink of the electronics or light. Carbon or ceramic materials like graphite, carbon nanotube or boron nitride are typical conductive fillers with good thermal or electical conductivity. Using these conductive fillers, the polymer composites in the market show wide range of thermal conductivity from approximately 1 W/mK to 20 W/mK, which is quite enhanced considering the thermal conductivity lower than 0.5 W/mK for most polymeric materials. The practical use of these composites, however, is yet limited to specific applications because most composites are still not conductive enough or too difficult to process, too brittle, too expensive for higher conductivity. For practical use of conductive composite, the thermal conductivity required depending on the heat releasing mode are studied first for simplified unit cooling geometry to propose thermal conductivities of the composites for reasonable cooling performance comparing with the metal heat sink as a reference. Also, as a practical design for heat sink based on polymer composite, composite and metal sheet hybrid structures are investigated for LED lamp heat sink and audio amplication module housing to find that this hybrid structure can be a good solution considering all of the cooling performance, manufacturing, mechanical performance, cost and weight.

충격량-운동량 이론을 접목시킨 발포 폴리프로필렌의 구성방정식 (A Constitutive Equation with Impulse-Momentum Theory for the Expanded Polypropylene)

  • 김병길;조재웅;정광영;김남훈;오범석;한영원;전성식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91-9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준정적 및 충격 하중에 대한 구성방정식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충격량-운동량 이론을 연계하였다. 또한, 구성방정식을 이루는 물리적으로 의미있는 변수들에 대해, 상대밀도의 함수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연립 비선형 뉴튼-랩손 방법을 사용하여, 준정적 시험결과에 맞는 구성방정식의 변수값을 선정하였다. 또한, 충격량-운동량 이론이 구성방정식과 연계되어, 충격시 응력-변형률 선도를 변형률 속도에 따라 구하였고, 충격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향후에는 다른 재질의 발포고분자에도 본 구성방정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RP를 활용한 수상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의 요소기술 개발 (Development of Element Technique for the Floating PV Generation Structure Using FRP)

  • 서수홍;최진우;주형중;남정훈;윤순종
    • Composites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03-108
    • /
    • 2014
  • 섬유강화복합재는 단위중량당 강도와 강성이 뛰어나고, 단위중량이 작으며, 내부식성이 뛰어난 점 등의 다양한 재료성질의 장점이 있는 재료로서 건설분야에 적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섬유강화복합재의 건설분야에 활용한 예로 수상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이 있다. 수상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은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의 대표적인 사례로 각광받고 있으며, 안전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또한 수상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은 최근 국내에 상용화 단지가 시공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화 과정에서 경제성 및 시공성을 위해 개발된 수상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의 요소기술의 연구 개발 내용을 제시하였다.

Compatibility of biodegradable poly (lactic acid) (PLA) and poly (butylene succinate) (PBS) blends for packaging application

  • Bhatia, Amita;Gupta, Rahul K.;Bhattacharya, Sati. N.;Choi, H.J.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25-131
    • /
    • 2007
  • Biodegradable polymeric blends are expected to be widely used by industry due to their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comparabl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Poly (lactic acid) (PLA) and poly (butylene succinate) (PBS) are such biodegradable polymers which aim to replace commodity polymers in future applications. Since cost and brittleness of PLA is quite high, it is not economically feasible to use it alone for day to day use as a packaging material without blending. In this study, blends of PLA and PBS with various compositions were prepared by using a laboratory-scale twin-screw extruder at $180^{\circ}C$. Morphological, thermal,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on the samples obtained by compression molding to explore suitability of these compositions for packaging applications. Morphology of the blends wa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Morphology showed a clear phase difference trend depending on blend composition. Modulate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MDSC) thermograms of the blends indicated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of PLA did not change much with the addition of PBS, but analysis showed that for PLA/PBS blend of up to 80/20 composition there is partial miscibility between the two polymers. The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were measured by the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ensile strength, modulus and percentage (%) elongation at break of the blends decreased with PBS content. However,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values of PLA/PBS blend for up to 80/20 composition nearly follow the mixing rule. Rheological results also show miscibility between the two polymers for PBS composition less than 20% by weight. PBS reduced the brittleness of PLA, thus making it a contender to replace plastics for packaging applications. This work found a partial miscibility between PBS and PLA by investigating thermal,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실란 처리된 실리카 및 절단 유리섬유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장강도 향상 (Improvement of Tensile Strength of Polyester Resin Using Silica/Chopped Glass Fiber Modified by Coupling Agent)

  • 이전규;김시영;주창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30-34
    • /
    • 2012
  • 선박용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고분자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실리카와 절단 유리섬유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리카와 절단 유리섬유의 첨가량 및 표면 개질에 사용된 커플링제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 개질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유리섬유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인장강도가 증가하였으나, 실리카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가 감소하였다.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첨가제의 표면을 개질하면 인장강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개질된 실리카와 절단 유리섬유를 혼합 첨가하면 인장강도의 증가에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d-doped $CeO_2$ 와 Sr-doped $LaMnO_3$ 분말의 합성 및 그 계면에서의 상 안정성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Gd-doped $CeO_2$ and Sr-doped $LaMnO_3$ Powders and Phase Stability in Their Interface)

  • 정승훈;김남진;이덕열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52-658
    • /
    • 1997
  • The phase stability in the interface of Sr-doped LaMnO3(LSM)/Gd-doped CeO2(CGO) was examin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heck the feasibility of using LSM as the cathode material in a low-temperature SOFC(solid oxide fuel cell) using CGO as the electrolyte. For the purpose, CGO powders of Ce0.82Gd0.18O0.91 and two LSM powder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La0.9Sr0.1MnO3(LSM10) and La0.5Sr0.5MnO3(LSM50), were synthesized using Pechini method. Then, specimens having the LSM/CGO interface were prepared, heat-treated at 130$0^{\circ}C$ for up to 3 days, and analyzed by XRD and STEM/EDX. Face-centered cubic CGO powders of less than 10 nm size were obtained by calcination of polymeric precursor formed in the process at 45$0^{\circ}C$. Higher calcination temperature of $700^{\circ}C$ was necessary for monoclinic LSM10 and cubic LSM50 powders. LSM powders were coarser than CGO and observed to be in the range of 50~100 nm. No trace of LSM-CGO interaction product was found in the XRD pattern. Also it was known from the concentration profile in the vicinity of the interface that interdiffusion was occurred over only a small penetration depth of ~100 nm order.

  • PDF

유전성 탄성체를 이용한 전기변형 고분자 구동체의 특성 연구 (A Study of Electrostrictive Polymer(EP) Actuator Using Dielectric Elastomers)

  • 황성덕;이경섭;김홍경;최혁렬;김훈모;전재욱;이영관;남재도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113-120
    • /
    • 2002
  • 전기변형(electrostriction)이란 물체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맥스웰 응력이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물체가 변형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성질은 대부분의 유전체에서 나타나는데, 특히 탄성계수가 낮은 엘라스토머에 적용하면 전기에너지가 효율적으로 변환되어 큰 변형과 힘을 발현한다. 이렇게 전기변형을 크게 일으키는 고분자를 전기변형 고분자(electrostrictive polymer, EP)로 분류하며, 이들은 구동체 및 센서, 인공근육, 음향전달 장치 분야로의 활용이 유망한 재료로 예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탄과 아크릴 고무 등의 유전성 탄성체(dielectric elastomer)를 이용하여 전극-EP-전극의 적층을 이루는 유니모프 구동체를 제조하여 구동시켰고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작동시킬 때 구동체의 운동범위가 감소하는 현상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해석하고자 유전율과 탄성율을 주파수에 따라 측정하는 한편, 고전적 적층이론을 이용하여 EP의 구동역학을 모델링 하였다. 실험결과, 주파수 증가에 따른 구동체의 운동 변위 감소는 재료의 유전 완화시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음을 알 수 있었고, 고전적 적층이론으로 해석한 유니모프 구동체의 운동은 실제 적용한 우레탄 구동체의 운동과 상당히 유사한 거동을 보였다.

볼록한 지붕을 갖는 이방성 고분자 입자의 곡률반경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몰딩 기술 (Micromolding Technique for Controllable Anisotropic Polymeric Particles with Convex Roof)

  • 정재민;손정우;최창형;이창수
    • 청정기술
    • /
    • 제18권3호
    • /
    • pp.295-300
    • /
    • 2012
  • 입자의 크기, 모양, 및 기능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조 기술은 화학, 생물, 재료과학, 화학 공학, 의약 그리고 생명공학과 같은 다양한 적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볼록한 지붕을 지니는 이방성 고분자 입자의 곡률 제어를 위해 젖음성 유체를 도입한 새로운 미세몰딩(micromolding technique)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몰드의 종횡비 조절을 통하여 입자의 곡률 반경을 $20{\mu}m$에서 $70{\mu}m$까지 제어할 수 있었으며 서로 다른 습윤특성을 지닌 젖음성 용액을 이용하여 이방성 고분자 입자의 높이와 곡률반경을 조절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세몰딩 기술은 저렴하고, 간단하고, 쉽고 빠른 방법으로 이방성 입자를 제작할 수 있으며 3차원 입자 모양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새로운 방법으로 판단된다.

FRP를 활용한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시스템의 성능 향상 (Performance Enhancement of Floating PV Generation Structure Using FRP)

  • 최진우;주형중;남정훈;황성태;윤순종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05-110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시스템의 형태와 비교했을 때 구조적, 경제적인 면에서 향상된 새로운 형식의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을 제안하였다. 펄트루젼 FRP는 다른 일반적인 구조 재료들에 비해 좋은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특히, 펄트루젼 FRP는 내부식성, 경량성, 비강도 및 비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해한 환경에 설치되는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을 설계하고 제작하는데 매우 적합한 재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식의 부유식 태양광발전 구조물과 새롭게 적용된 구조부재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