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stabilizer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9초

올레핀 촉진수송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내구성에 대한 Brij98의 효과 (Effect of Brij98 on Durability of Silve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 강용수;김종학;박혜헌;원종옥
    • 멤브레인
    • /
    • 제16권4호
    • /
    • pp.294-302
    • /
    • 2006
  • 은 고분자 전해질은 올레핀/파리핀 혼합물 분리에 매우 효과적인 분리막 재료이다. 이는 고분자 매질속에 녹아 있는 은이온이 올레핀과 선택적, 가역적 반응을 통해 올레핀만을 분리막속으로 통과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은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은 실제 공정에 응용되기에는 다소 약한 장시간 운전 성능 안정성을 보인다. 즉 분리 성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데 이는 은이온이 은 나노입자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 pyrrolidone) (PVP)와 $AgBF_4$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C_{18}H_{35}(OCH_2CH_2)_{20}OH$ (Brij98)를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분리막속에서 은이온의 은 나노입자로의 환원현상을 원자전자 현미경과 자외선 분광학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Brij98이 첨가된 분리막의 경우 은 나노입자의 성장이 늦춰졌으며, 프로판/프로핀렌 선택도가 장시간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닥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Cosmeceuticals의 제조: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Preparation of Cosmeceuticals Containing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s: Optimization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ethod)

  • 홍세흠;박보라;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682-68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사용하여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cosmeceuticals 유화액의 안정성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유화 최적화 조건으로 계량인자는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로, 반응치는 ESI와 PDI로 설정하였으며 ESI의 목표값은 60% 이상, PDI의 목표값은 최소값으로 하였다. 유화 최적화 결과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는 각각 3.73, 3.07 wt%이었으며, 이때 예상 반응치 ESI는 60%, PDI는 0.585로 산출되었다.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조한 유화액의 안정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두 가지의 계량인자 중 ESI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유화제였으며, PDI에 대한 두 인자의 영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의 실험조건으로 제조한 cosmeceuticals 유화액의 ESI는 적어도 약 45% 이상의 안정성을 보였으나 제조 후 4주 뒤에는 모두 분리되었다. 유화제의 농도가 3.72 wt% 이상일 때 ESI의 값은 6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화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층 분리 속도는 감소하였다.

폴리염화비닐(PVC)의 열안정성에 제올라이트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eolites on Thermal Stability of Poly(vinyl chloride))

  • Xu, Jiayou;Liang, Qinghua;Xian, Xiumei;Li, Kaidan;Liu, Jie
    • 폴리머
    • /
    • 제39권1호
    • /
    • pp.1-5
    • /
    • 2015
  • The effects of zeolite on the thermal stability of poly(vinyl chloride) (PVC) were investigated by the static thermal stability test, pyrolysis experiment and ultraviolet spectr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rous zeolite could absorb hydrogen chloride (HCl), which suppressed the catalysis of HCl on thermal degradation of PVC, thus improved the thermal stability of PVC. The oxidizing acid which was loaded on zeolite had oxidated on the double bond that formed during the dehydrochlorination of PVC. This process could prohibit the growth of the conjugated polyene and improved the color of PVC. Hence, zeolite might be possible to come up with a high performance thermal stabilizer.

Increased production of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hGM -CSF) by the addition of stabilizing polymer in plant suspension cultures

  • 김난선;이재화;김영숙;권태호;양문식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5-98
    • /
    • 2001
  • The effect of stabilizing polymer on hGM-CSF production was investigated in suspension cell cultures of transgenic tobacco. Secreted human GM -CSF from cell suspension cultures was detected in the medium at a maximum concentration of 180 ${\mu}g/L$ by ELISA. However, the secreted hGM -CSF was unstable in the medium, and rapidly degraded after day 5. In order to stabilize the secreted hGM-CSF, three stabilizing polymers were tested, polyethylene glycol, polyvinylpyrrolidone and gelatin. Gelatin was the most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secreted GM-CSF. Following the addition of 5% (w/v) gelatin, the maximum GM -CSF concentration reached 783 ${\mu}g/L$, a 4.6-fold increase over control.

  • PDF

Epoxidized Polybutadiene as a Thermal Stabilizer for Poly(3-hydroxybutyrate). II. Thermal Stabilization of Poly(3-hydroxybutyrate) by Epoxidized Polybutadiene

  • Choi, Ju-Yol;Lee, Jong-Keun;You, Young;Park, Won-Ho
    • Fibers and Polymers
    • /
    • 제4권4호
    • /
    • pp.195-198
    • /
    • 2003
  • Epoxidized polybutadiene (EPB) was prepared by polybutadiene (PB) with m-chloroperbenzoic acid (MCPBA) in homogeneous solution. EPB was blended with poly(3-hydroxybutyrate) (PHB) up to 30 wt% by solution-precipitation procedure.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PHB/EPB blends was studi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The thermograms of PHB/EPB blends contained a two-step degradation process, while that of pure PHB sample exhibited only one-step degradation process. This degradation behavior of PHB/EPB blends, which have a higher thermal stability as measured by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 and residual weight, is probably due to crosslinking reactions of the epoxide groups in the EPB component with the carboxyl chain ends of PHB fragments during the degradation process, and the occurrence of such reactions can be assigned to the exothermic peaks in their DTA thermograms.

SPG 유화법을 사용하여 현탁중합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열팽창 마이크로캡슐 제조: 가교제 및 안정제의 영향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s with Core-Shell Structure Using the SPG Emulsification Technique: Influence of Crosslinking Agents and Stabilizers)

  • 부지현;김영선;하진욱;심상은
    • 폴리머
    • /
    • 제39권1호
    • /
    • pp.78-87
    • /
    • 2015
  • $30-50{\mu}m$의 입도를 갖는 마이크로캡슐을 목표로 poly(acrylonitrile-co-methyl methacrylate)를 쉘로, n-octane을 코어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을 합성하였다. SPG 멤브레인 유화 후 현탁 중합하여 기존의 현탁 중합대비 균일한 입자를 합성하였다. 또한 네 가지 안정제 및 다섯 가지 가교제의 종류와 함량에 따른 캡슐의 합성을 진행하였다. Poly(vinyl alcohol)을 안정제로 하여 합성한 캡슐의 표면이 매끈하면서도 균일한 형태를 보였으며, 액체 탄화수소가 코어에 캡슐화된 양 또한 우수하였다. 또한 가교제로 1,4-butnaediol methacrylate (BDDMA)를 첨가했을 때 평균입경 $36.8{\mu}m$의 입자가 균일하게 합성되었다. 또한 BDDMA를 0.05 mol% 함량으로 합성한 입자의 캡슐화 정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투수성 도로포장재의 내구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hancement of the Durability of Permeable Pavement Material)

  • 오헌수;홍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2권2호
    • /
    • pp.93-10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투수성 도로포장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 포장재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PU) 접착제를 개발하고 다른 첨가제의 투입에 따른 물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PU중합은 무용제형의 벌크중합법을 사용하였으며 첨가제로는 카본블랙, 탄산 칼슘$(CaCO_3)$ 및 자외선(UV)안정제를 사용하였다. 물성으로는 도로포장재에 요구되는 압축강도를 통하여 환경조건에 따른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중합된 PU 중에 에스터기로 형성된 폴리올과 가교를 형성할 수 있는 사슬연장제가 포함된 경우에 $$4.9kgf/cm^2$로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기존에 사용하던 1액형 PU접착제보다 약 $15kgf/cm^2$ 향상된 결과이다. 또 첨가제로서 카본블랙과 탄산칼슘을 각각 20 wt%를 함께 투입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강도를 보였으나, UV안정제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뚜렷한 내후성의 향상을 관찰할 수는 없었다.

t-Butyl Alcohol/$H_2O$ 혼합 용매에서 아크릴아미드의 분산중합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in the Media of t-Butyl Alcohol/$H_2O$ Mixtures)

  • 이기창;이성은;송봉근;이동주
    • 폴리머
    • /
    • 제24권5호
    • /
    • pp.629-637
    • /
    • 2000
  • Hydroxypropyl cellulose와 ammonium persulfate를 각각 입자안정제와 개시제로 사용하여 t-butyl alcohol/$H_2O$ 흔합 분산매에서 아크릴아미드의 분산중합을 다양한 중합 조건하에서 수행하여 생성되는 poly(acrylamide)(PAM) 라텍스의 평균입자경, 라텍스 고분자의 점도평균분자량, 수용화 정도 등을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PAM 라텍스의 평균입자경은 개시제의 농도, 분산매 중 물의 농도, 중합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또는 단량체의 농도, 입자안정제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라텍스상태로 얻어진 PAM 고분자의 점도평균분자량은 단량체의 농도, 입자 안정제의 농도, 분산매 중 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또는 개시제의 농도, 중합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PAM 라텍스는 0.1~0.5 $\mu\textrm{m}$의 평균입자경과 470000~2080000의 점도평균분자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은 물에서 순간적으로 수용화되었다.

  • PDF

리포익산 나노 입자의 식욕 억제에 대한 고분자의 영향 (Polymer Effects on Appetite Suppression by Lipoic Acid Nanoparticles)

  • 최혜민;박철호;이기업;박중열;고은희;김현식;이종휘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6호
    • /
    • pp.349-354
    • /
    • 2007
  • For decades, the various virtues of ${\alpha}-lipoic$ acid (ALA), a natural material synthesized in most cell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and proved.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ALA caused significant bodyweight reduction via appetite suppression. Unfortunately, the efficacy requires an administration over 50 mg/kg. The low bioavailability and the short plasma half life of ALA lead us to explore novel pharmaceutical dosage forms using nanoparticl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olymeric stabilizers on the bioavailability improvement of ALA nanoparticles was investigated. The reduction of particle size via nano-comminution technology was successful resulting in volume average particle sizes of 320 - 340 nm. The in vitro release rate of ALA did not reflect the decrease of particle size, possibly because of the self polymerization of ALA during nano-comminution. The type of polymeric stabilizers could not affect the release rate either. However, the in vivo food intake results of ALA showed that nano-suspensions were more effective than microparticles or a salt form. The nano-suspension containing polyvinyl pyrrolidone as the primary stabilizer and polyacrylic acid as the secondary stabilizer showed more improved efficacy for 2 hours.

아크릴 코팅의 성분 분석 연구 (Analytical Study for an Acrylic Coating)

  • 김석준
    • 분석과학
    • /
    • 제17권2호
    • /
    • pp.98-10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1H$ NMR 분광분석법 및 HPLC를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에 사용된 아크릴 코팅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하였다. $^1H$ NMR 분석 결과 아크릴 코팅은 88.40 wt%의 PMMA, 7.05 wt%의 MMA 및 2.36 wt%의 allyl methacrylate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고분자 첨가제로 벤조트리아졸 (Hisorb 328) 및 oxanilide 광안정제, BHT 및 DMP가 $^1H$ NMR 스펙트럼에서 확인되었고 정량적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Bondapak C18 칼럼, 메탄올 이동상, PDA 검출기를 사용한 역상 HPLC 분석을 통해서는 두개의 광안정제만이 확인되었다. 두 광안정제의 함량은 UV-Vis 흡광광도계를 이용한 정량분석법을 통해 측정되고 NMR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얻은 분석 정보들이 HPLC에서 얻는 것들 보다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