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binder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7초

금 처리를 통한 PEDOT 마이크로튜브 전극의 과산화수소 검출 특성 향상 (Enhanced Sensitivity of PEDOT Microtubule Electrode to Hydrogen Peroxide by Treatment with Gold)

  • 박종서;손용근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809-814
    • /
    • 2014
  • 전류 감응형 바이오센서에 응용하기 위해 전도성 고분자 마이크로튜브 어레이를 제작하였다.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4-styrenesulfonic acid)(PEDOT/PSS) composite을 전도성 접착제로 하여 템플릿을 전극에 고정한 후 EDOT을 전기화학적으로 중합하였다. 마이크로튜브 어레이는 자체의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감도 높은 바이오센서로 응용될 수 있으나, 주요 표적물질 중의 하나인 과산화수소에 대한 전기화학적 반응이 느렸다. 과산화수소 산화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레이 전극에 금을 도포하였다. 증착법과 전기화학적 석출법 두 가지 방법을 시도하여 금을 처리하였는데, 이렇게 처리한 전극은 모두 과산화수소에 대한 반응이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전도성 고분자 마이크로튜브 어레이에 금을 도포함으로써 과산화수소를 표적물질로 하는 감도 높은 바이오센서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분자 전해질막 수소 연료 전지 분리판 용 흑연/폴리프로필렌/액정고분자 복합 재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Graphite/Polypropylene/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e for a Bipolar Plat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비라즈 둔가나;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627-3632
    • /
    • 2015
  •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용 흑연/폴리프로필렌(PP)/액정고분자 (LCP) 복합소재의 기계적, 유변학 특성 및 전기전도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저분자량 PP를 바인더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열가소성 고분자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전기 전도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점도가 낮은 PP에 의해 흑연 입자의 분산이 향상되어 나타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를 소량 첨가하면 복합재료의 전기전도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산처리를 하여 산소 관능기를 포함한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했을 때에는 전기전도도의 증가가 거의 없었다. 이로부터 탄소나노튜브는 비극성 고분자와 친화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저분자량 PP를 바인더로 사용하였을 때는 복합재료의 점도가 사출성형이 가능할 정도로 낮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계적인 강도는 다른 고분자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LCP를 혼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한 결과 전반적인 물성 밸런스가 잘 맞는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었다.

일체형 재생 연료전지(URFC)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이해 (Understanding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 (URFC))

  • 정호영
    • 공업화학
    • /
    • 제22권2호
    • /
    • pp.125-13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연료전지 기술로서 일체형 재생 연료전지(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 URFC)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URFC는 신재생 에너지원과 연료전지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필수 기술이며 21세기 수소경제 사회 완성을 위한 신기술로 평가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URFC 요소 기술로서 고분자 전해질 막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URFC 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URFC용 고분자 전해질 막은 기능적 특성상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 치수안정성, 기계적 물성 및 계면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에너지원인 수소의 생산, 저장, 이용을 일체화된 시스템으로 완성시킬 수 있는 URFC 기술은 향후 연료전지 기술과 더불어 풍력과 태양광 발전 등의 신재생 에너지 관련 기술을 함께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분야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crylate를 결합제로 사용한 수계 테이프 캐스팅에서 알루미나 슬러리의 분산 및 점성 특성 (Dispersion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umina Slurries in Aqueous Tape-casting Using Acrylate Binder)

  • 조유정;박일석;문주호;김대준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4-170
    • /
    • 2002
  • Acrylate 수계 결합제를 사용한 알루미나 테이프 캐스팅용 슬러리의 완전분산을 위한 최적의 분산제와 분산제량을 결정하기 위해 침강실험, 분말 함유량 실험, 점도 및 zeta 전위 측정을 행하였다. 알루미나 슬러리의 완전분산은 분산제를 polycarboxylic acid로 했을 때 얻어졌으며, 최적의 첨가량은 알루미나 100에 대하여 0.23∼0.24g 이었다. 분말에 대한 분산제량이 증가할수록 분산은 잘 이루어졌으나, 일정량 이상이 첨가되면 분산제가 용매 안에 과잉으로 존재하여 분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테이프 캐스팅용 슬러리는 100g의 알루미나 분말에 0.2g의 polycarboxyl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분산 및 테이프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 때 혼합한 결합제는 acrylate였고, 가소제는 Benzoflex를 사용하였다. 이 때 슬러리 최적 점도는 약 570 cps였고, 테이프 내 알루미나 량은 57 vol%이었다.

Silica sol 바인더를 적용한 백색 LED용 Ce:YAG remote 형광체 코팅 (Ce:YAG remote phosphor coating for white LED with silica sol binder)

  • 김수진;박하나;최재호;정윤성;김형준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12-217
    • /
    • 2021
  • Silica sol에 YAG 형광체를 첨가량별로 spin 코팅 후, 코팅막의 blue LED에서 백색광이 발현되는 정도와 표면 및 곡면 코팅용 binder로써,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EM, PSA를 통해YAG의 입자 크기는 D50: 9~10 ㎛ 내외이며, XRD를 통해 YAG의 결정구조가 garnet(Y3Al5O12), cubic인 것을 확인하였다. 코팅막은 crack이 없고 동시에 silica sol이YAG 형광체를 균질하게 도포된 형상을 보였으며, 첨가량 증가와 비례하게 코팅막 내에서 YAG 첨가량과 두께는 최대 40 ㎛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리고 YAG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L emission intensity 증가와 chromatic locus 곡선 끝 방향으로 색좌표 이동을 확인하였다. Soda-lime 유리기판 표면에 코팅 후, crack이 없으며 YAG 형광체가 균질하게 도포된 코팅성과 코팅막의 백색광 발현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직접적으로 LED에 다양한 형태의 형광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한 자체보수성 방수재 개발 (Development of self-sealing waterproof materials using GRT powder)

  • 이동민;최중소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4호
    • /
    • pp.22-33
    • /
    • 2005
  • 폐타이어 분말(GRT)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sheet type 4그룹과 soft type 1그룹의 자체보수성 방수재를 제조하였다. 각각 방수재의 방수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방수재들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방수재는 GRT/ 고흡수성수지/ binder로 구성되었으며, internal mixer로 혼합한 후 hot press로 성형하여 제조 되었다. 방수재 제조에 사용된 CRT의 평균입도는 -40mesh 이었고, 고흡수성 수지는 상용품과 poly(AM-SAS-AA)를 제조하여 사용하였고, binder는 PU, EVA, LDPE, SBR, poly(2-EHA)을 사용하였다. 또한 방수재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재로 PU film을 사용하였다.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하여 개발된 sheet type 자체보수성 방수재 중 GRT/ CE-500F/EV-600/PU film 과 GRT/GE-500F/SBR(vulcanization)/PU film 로 구성된 방수재가 기존 상용제품의 물성에 근접하였다. 또한 soft type 방수재는 GRT/GE-500F/Poly(2-EHA)와 GRT/P(AM-SAS-AA)/Poly(2-EHA)로 구성된 방수재가 상용제품의 흡수능보다 4-20배의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촉매층 바인더를 위한 Sulfonated Fluorenyl Poly(ether sulfon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lfonated Fluorenyl Poly(ether sulfone)s as Catalyst Binders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 조원재;이미순;이연식;윤영기;최영우
    • 전기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9-44
    • /
    • 2016
  • 연료전지에서 산소 환원 반응 (ORR)은 전체 반응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막과 바인더 간의 낮은 호환성은 연료전지 효율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러한 두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Biphenol 대신 입체적 구조를 갖는 9,9_Bis(4-hydroxyphenyl) fluorine를 이용한 고분자를 합성하여 각각의 전극 바인더를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나피온 막과 탄화수소 막 위에 스프레이 기법으로 MEA를 제조하여 전기화학적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류-전압 곡선에서의 0.6 V의 성능이 두 종류의 다른 막을 적용 했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탄화 수소 막의 타펠 기울기의 정도가 나피온 막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적용된 아이오노머 바인더가 연료 전지성능 향상에 더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한국 고대 붉은 간토기의 적색 안료 및 교착제에 대한 과학적 분석 (Study on Scientific Analysis about Red Pigment And Binder - The Korean Ancient Red Pottery -)

  • 이의천;박정혜;이제현;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06-61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대 붉은 간토기 중 국립김해박물관 소장품인 적색마연완 붉은 간토기(신석기시대), 단도마연 붉은 간토기(청동기시대), 적색마연가지문 붉은 간토기(청동기시대)에 사용된 적색 안료와 교착제를 확인하여 고대 붉은 간토기에 사용된 적색 안료와 교착제의 종류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과학적 분석 결과, 붉은 간토기 3점 모두 소지층과 적색의 표면층으로 구분되었으며, 적색의 표면층에서는 적색 안료 입자와 광물의 결정이 보였다. SEM-EDS, Raman 분석을 통해 적색 안료는 산화철(Fe2O3)을 주 발색원으로 하는 토양성 안료 중 석간주로 추정하였으며, FTIR-ATR을 통해 Urushiol polymer의 특징에 의한 성분 피크가 검출되었다. GC/MS 분석 결과, 적색층에서 옻칠의 방향구조에 기인하는 성분인 Benzenemethanol-2-propenyl, 4-heptyl phenol, 1-Tetradecanol, Heptafluorobutyroxytridecane 성분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국립김해박물관 소장품인 붉은 간토기 3점의 적색 안료는 석간주(Fe2O3)를, 교착제로는 옻칠을 사용하여 제작된 토기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폴리머 바인더의 선처리를 통한 압축형 복합화약으로부터 octahydro-1,3,5,7-tetranitro-1,3,5,7-tetrazocine의 회수 공정 개발 (Process Development for Recovery of octahydro-1,3,5,7-tetranitro-1,3,5,7-tetrazocine from Compressible Polymer-Bonded Explosives Through the Pretreatment of Polymer Binders)

  • 김혜주;김동우;허유진;박세원;이창하;안익성;이근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3-531
    • /
    • 2020
  • Extraction and anti-solvent crystallization were proposed to recover octahydro-1,3,5,7-tetranitro-1,3,5,7-tetrazocine (HMX) from pressed polymer bonded explosives(PBXs). DXC-57 and DXC-59, whose polymeric binders are Estane and HyTemp with dioctyl adipate plasticizer, respectively, were used as pressed PBX models. Estane of DXC-57 was removed by washing with tetrahydrofuran prior to extraction, which enabled the crystallization of HMX at a low degree of supersaturation, sufficient to obtain β-form HMX. Using dimethyl sulfoxide and ethanol as the extraction solvent and the anti-solvent for crystallization, respectively, HyTemp and dioctyl adipate in DXC-59 were separated from HMX. The purity of recovered β-form HMX was higher than 99 %.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고분자 화합물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High Molecular Compound for Development of Eco-friendly Concrete)

  • 류재석;이용수;송일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A호
    • /
    • pp.299-305
    • /
    • 2012
  • 본 연구는 수용성 폴리머의 일종인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이하 PVAc)를 사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평가를 통하여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VAc를 혼입하지 않은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와 결합재 대비 3%, 6%, 9%, 12%의 PVAc를 각각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폴리머 혼입에 따라 늘어나는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첨가하여 PVAc 콘크리트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PVAc가 혼입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압축강도는 낮아지나 휨강도와 건조수축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크리트의 경우 혼입율이 6%일 때가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및 탄성계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