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5초

에폭시/아민계의 경화 특성에 미치는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의 영향 (Effect of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on Cure Characterization of an Epoxy/Amine System)

  • 구푸종;이종근
    • 폴리머
    • /
    • 제37권1호
    • /
    • pp.41-46
    • /
    • 2013
  •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물질인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POSS)를 첨가한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 에폭시/방향족 아민계를 다양한 경화온도에서 등온으로 반응시킨 후 유리전이온도($T_g$)와 전환율(${\alpha}$)을 DS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등온 경화시간에 따른 $T_g$의 변화 데이터를 임의로 설정된 기준 온도에서 수평 이동시켜 반응초기에 해당하는 속도우세 구간에서 서로 겹치게 하여 이때 필요한 이동 인자를 구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결정하였다. 또한 POSS가 $T_g$${\alpha}$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관계를 알기위하여 DiBenedetto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PDM/POSS(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복합재료의 물성 연구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EPDM/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Composites)

  • 박현호
    • 공업화학
    • /
    • 제32권4호
    • /
    • pp.472-477
    • /
    • 2021
  •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 (POSS) 중 케이지 형태 8개의 아크릴레이트 그룹을 포함하는 POSS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 (EPDM) 과산화물 가교에서의 가교 거동,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열 안정성 등을 조사하였다. 고무 100 phr당 0~12 phr의 POSS를 함량 별로 혼합하고 과산화물 가교제를 첨가하여 EPDM/POSS 복합재료를 만들었다. 가교 특성 결과 POSS의 아크릴레이트 그룹이 과산화물에 의해 활성화 되었고, 과산화물 가교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PDM/POSS 복합재료에서 POSS의 분산안정성은 떨어졌지만, 복합재료의 파단 강도, 신장률 및 열 안정성은 향상되었다.

폴리우레탄 나노복합 발포체의 열적 성질 및 흡음 특성 (Thermal Properties and Sound-Damping Characteristics of Polyurethane Nanocomposite Foams)

  • 이준모;하창식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1호
    • /
    • pp.3-8
    • /
    • 2010
  • 1,2-propanediol isobutyl polyhedral silsesquioxane 올리고머(POSS)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나노 복합 발포체를 제조하고, 유리전이온도, 난연성 등과 같은 열적 성질과 흡음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소량의 POSS 입자 첨가 시에도 발포 폴리우레탄의 흡음 성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SS/Polyurethane Hybrids and Nanocomposites: A Review on Preparation, Structure and Performance

  • Diao, Shuo;Mao, Lixin;Zhang, Liqun;Wang, Yiqi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0권1호
    • /
    • pp.35-48
    • /
    • 2015
  •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is an important inorganic-organic hybrid material with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Polyurethane (PU) is a widely applied polymer that has versatile properties with the change of two phase structure. When POSS is incorporated into PU by physical or chemical methods, many properties can be greatly improved,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thermal stability, biodegradation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This paper reviews the recent progress in preparation,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POSS-modified polyurethane from the viewpoint of physical blending and chemical modification.

Synthesis of Norbornene Block Copolymers Containing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by Sequential 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 Kwon Young-Hwan;Kim Kyung-Ho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424-429
    • /
    • 2006
  • The synthesis of a series of poly(POSS-NBE-b-MTD) copolymers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taking advantage of sequential, ring-opening, metathesis block copolymerization using $RuCl_2(=CHPh)(PCy_3)_2$ catalyst. By using cyclopentyl-POSS-norbornene (POSS-NBE) monomer as the first block in the block copolymer, living poly(POSS-NBE) with controlled molecular weight and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was produced. Then, poly(POSS-NBE-b-MTD) copolymers were successfully prepared, in which sequential monomer addition of methyltetracyclododecene (MTD) to the living poly(POSS-NBE) chain ends was utilized to achieve quantitative crossover efficiency. Characterization by $^1H$ NMR spectroscopy and GPC confirmed the high definition and structural integrity of the poly(PO$S-NBE-b-MTD) copolymers. Thermal properties-and morphologies of the POSS-containing block copolymer nanocomposites were also investigated by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wide-angle X-ray scattering (WAXS).

레이저 광산란법에 의한 폴리에스터/실세스키옥세인 나노복합재료 응집체의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Microphase-separated Aggregates of Polyester/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Nanocomposite by Laser Light Scattering)

  • 유영철;김장경;윤관한;박일현
    • 폴리머
    • /
    • 제31권6호
    • /
    • pp.461-468
    • /
    • 2007
  • 폴리에스터와 trisilanolisobutyl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TBPOSS)으로 제조된 나노복합재료에 존재하는 응집체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SEM-EDS 분석과 1,1,1,3,3,3-hexafluoro-2-propanol(HFIP) 용매에 녹인 뒤 레이저 광산란법이 실시되었다. SEM에서 평균 직경 120 nm로 나타난 구형 응집체는 가교화된 마이크로겔이 아니라, 320개의 TBPOSS 분자들과 폴리에스터 분절들이 교대로 연결된 선형 중합체 사슬(무게평균 분자량=$2.3{\times}10^6\;g/mol$)이며, 이들은 매트릭스의 폴리에스터와의 화학조성 차이 때문에 상분리된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에 무게평균 분자량이 $4.0{\times}10^4\;g/mol$인 매트릭스의 폴리에스터는 분자당 2.5개의 TBPOSS 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넣어준 TBPOSS의 약 93%가 매트릭스에 존재하며 나머지 7%는 구형 응집체에 분포하고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실세스키옥세인을 사용한 폴리스티렌 나노복합재료 (Organic-Inorganic Nanocomposites of Polystyrene with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 김경민
    • 폴리머
    • /
    • 제30권5호
    • /
    • pp.380-384
    • /
    • 2006
  • 구조가 제어된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을 무기물로 폴리스티렌(PS)을 유기고분자로 사용하여 유기용매에 가역적으로 용해될 수 있는 새로운 유기-무기 나노복합재료를 합성하였다. 페닐기가 도입된 POSS와 PS와의 복합화에서는 다양한 중량비에서 투명하고, 균일한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었다. 반면에 사이클로헥실기가 도입된 POSS와 PS와의 복합화에서는 불투명하구 불균일한 복합체를 얻었다. 따라서 페닐기가 도입된 POSS와 PS간의 물리적인 결합(physical bonding), 즉 aromatic(${\pi}-{\pi}$) 결합을 통하여 지금까지 유기물질과 무기물질을 복합화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었던 화학결합(chemical bonding) 없이도 두 성분이 서로 균일하게 나노 크기로 혼성된 새로운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POSS를 이용해 얻어진 나노복합체는 기존의 솔-젤(sol-gel)방법으로 얻어진 복합체와는 달리, 용매에 다시 녹고 물리적인 결합을 이용했기 때문에 가역적으로 반복해서 복합재료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합성되어진 복합재료의 균일성과 분산성은 시차 주사열분석기(DSC)와 주사전자현미경(SEM) 및 X-선 회절분석기(XRD)에 의해 확인하였다.

Amphiphilic Norbornene-Based Diblock Copolymers Containing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repared by Living 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 Park, Su-Dong;Xu, Wentao;Chung, Chan-Hong;Kwon, Young-Hwa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55-162
    • /
    • 2008
  • We report the successful synthesis of poly(NBECOOH-b-NBEPOSS) copolymers, taking advantage of the sequential, living 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of NBETMS and NBEPOSS using the $RuCl_2(=CHPh)(PCY_3)_2$/$CH_2Cl_2$/$20^{\circ}C$ system, followed by the hydrolysis of trimethylsilyl groups in poly(NBETMS-b-NBEPOSS) copolymers. The living behavior of ROMP of NBETMS was first investigated using two diagnostic plots, a first order kinetic plot and a $\bar{M}_n$ vs. conversion plot. The plots confirmed that no termination and chain transfer reaction had occurred during polymerization. Poly(NBECOOH-b-NBEPOSS) copolymers were prepared using the sequential monomer addition of NBEPOSS to living poly(NBETMS) chain ends, followed by the hydrolysis of trimethylsilyl groups in the poly(NBETMS-b-NBEPOSS) copolymers. The high structural integrity of poly(NBE-COOH-b-NBEPOSS) copolymers was confirmed by $^1H$-NMR, $^{13}C$-NMR spcctroscopy and GPC.

OG POSS의 첨가가 DGEBA/DDM의 열적,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OG POSS Filled DGEBA/DDM)

  • 최충현;김윤호;사라스 쿠마 사티시 쿠마;김천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6호
    • /
    • pp.379-383
    • /
    • 2017
  • 복합재료의 우주환경에서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복합재료의 우주환경저항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우주환경 중에서도 원자 산소는 복합재료의 기지재료와 반응하고 표면을 침식하여 이에 대한 보호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 산소 저항성 향상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POSS(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의 하나인 OG POSS(Octaglycidyldimethylsilyl POSS)를 DGEBA/DDM 에폭시에 첨가하여 OG POSS/에폭시 나노복합재료를 제작하였고 OG POSS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적,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FT-IR 분광기를 통하여 경화도와 나노복합재료 내의 OG POSS를 확인하였다. 나노복합재료의 열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열중량분석과 시차주사열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초기 질량감소온도가 향상되었고 char yield가 증가하였다. OG POSS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Tg는 OG POSS 5 wt.%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10 wt.%에서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G POSS 나노복합재료에 대하여 수행된 인장시험에서는 OG POSS가 10 wt.% 함유되었을 때까지 에폭시의 인장물성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