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gonatum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3초

고추씨 기름에 대한 다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of Some Tea Materials on Red Pepper Seed Oil)

  • 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316-1320
    • /
    • 1999
  •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of various tea materials(Camellia sinensis, Cassia tora, Lyc ium chinense, Polygonatum odoratum, Schizandrae chinensis) on red pepper seed oil was investigated. Ethanolic extracts were added to red pepper seed oil at a concentration of 0.05%(w/v). Two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employed : 50$\pm$0.1oC for 45 days and 150$\pm$3oC for 24 hours. Oxidation of red pepper seed oil was determined by measuring peroxide value and acid valu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each extract were also determin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tracts possess an antioxidative activities. The effectiveness of them was in the following order: C. sinensis>C. tora>P. odoratum>S. chinensis >L. chinense. Ethanolic extracts of C. sinensis showed substantially higher EDA value and total phenol contents than other tea materi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oxidative effect was strongly related with EDA and total phenol contents.

  • PDF

왕둥굴레의 생약학적연구(生藥學的硏究)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Rhizome of Polygonum robustum Nakai)

  • 김정규;이용주
    • 생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9-74
    • /
    • 1980
  • The rhizome of Polygonatum robustum Nakai (Liliaceae) has been used as a crude drug for the purpose of tonic and thirst cure in Korea. The dried rhizomes were extracted with hot ether, then the residue was extracted with hot alcohol. 1) The three kinds of chemical constituents, substance, I, II and III were isolated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from ether and alcohol extracts of the rhizomes. Substance I was confirmed as ${\beta}-sitosterol$, $C_{29}H_{50}O$ by mass and IR spectroscopy. Substance II was identified as stigmasterol by GLC. 2) Substance III was obtained by crystallization from the column chromatography of alcohol fraction. It was suggested as diosgenin based on chemical and spectral discussions. 3) The concentration of blood suga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administered the ether extract with 20% dextrose and adrenaline in comparison to that of 20% dextrose and adrenaline along.

  • PDF

자생초화류의 고속도로 조경식물 활용성 연구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ing)

  • 전기성;정태건;소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74-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e. The field and nurse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of 1996 to December of 1998 on the Chonju Arboretum and Honam highway in Korea Highway Corporation. We have investigated thirty species of native plants and came to a conclusion that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koraiensis, Iris nertschinskia, Fennisetum alopecuroides, Viola kapsanensis are very suitable for highway landscaping. And, if the problems raised during this investigation are resolved, it is clear that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jlorum, Belamcanda chinensis, Allium thunbergii, Ophiopogon japonicus,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Disporum sessile, Lilium tigrinum, Caryopteris incana,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Pulsatilla koreana, Aster spathulifolius etc. can be useful plants at highway landscaping.

  • PDF

천연물 복합 추출물 (HAE-06)의 기관지 확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Product Complex Extract (HAE-06) on Bronchial Dilation)

  • 김대성;김혜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45-552
    • /
    • 2021
  • HAE-06 extract is a mixture of four medicinal plants, namely Lonicerae Folium et Caulis (Lonicera japonica), Scutellariae Radix (Scutellaria baicalensis), Adenophorae Radix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and Polygonati Oddorati Rhizom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The HAE-06 extract demonstrated a concentration-dependent relaxing effect and enhanced cAMP production in bronchial smooth muscle that had been stimulated to contract with acetylcholine. Using a blocker,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through the β2-adrenergic receptor/cAMP/PKA pathway.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HAE-06 extract has a bronchial smooth muscle relaxation effect by reducing the inflow of Ca2+ through the K+ and Ca2+ channels present in the sarcoplasmic membrane. If research continues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se it as a material for pharm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Determination of Sulfur Dioxide in Herb Drugs

  • Ko, Suk-Kyung;Seung, Hyun-Jeung;Yu, In-Sil;Kim, Hwa-Soon;Park, Noh-Woon;Kang, Hee-G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03.1-103.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ulfur dioxide in herb drugs.(Puerariae Radix, Lycii Fructus, Platycodi Radix, Dioscoreae Rhizoma, Mori Radicis Cortex, Nelumbo Seed, Paeoniae Radix, Remotiflori Radix, Astragali Radix, Polygonatum Rhizome) Experimental subjects included 105 cases of 10 species of herb drugs collected in Kyung-dong market from December in 2001 to February in 2002. Sulfur dioxide was determined by Optimized Monier-Wiliams method. In 65 cases(61.9%) of the 105 cases, we detected $SO_2$ over 10mg/kg. (omitted)

  • PDF

한국산 둥굴레속(Polygonatum) 수집종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lygonatum species indigenous to Korea)

  • 윤종선;손석용;홍의연;김익환;윤태;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4-171
    • /
    • 2002
  • 약용, 식용 및 관상용으로 유망한 자생 둥굴레속 식물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둥굴레 10종을 수집하여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에 걸쳐 충북 청원군 소재의 시험포장에서 재배한 후 생육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15~102cm 범위 였으며, 용둥굴레가 가장 짧았고, 층층갈고리둥굴레가 가장 길었다. 줄기는 경사형과 직립형으로 구분되었고, 절수는 6.2~23.2개로 종간에 차이가 심하였으며, 줄기에는 능각이 있는 종과 없는 종으로 구분되었다. 엽서는 호생형과 윤생형으로, 엽형은 타원형과 세장형으로 구분되었다. 엽수는 5.2~63.4개로 역시 종간에 차이가 컸으며 , 포는 존재형과 부재형으로 구분되었다. 꽃은 5월 7일에서 5월 30일 사이에 개화하였으며, 개화 기간은 5~13일 이었다 화서형은 총상형, 산방형 및 산형으로 구분되었다. 줄기당 화수는 층층갈고리둥굴레가 125.2개로 가장 많았고, 용둥굴레가 1.5개로 가장 적었으며, 꽃의 길이는 13.I~30.2mm로 종간에 차이 가 큰 편이었다. 그리고, 화피의 형태는 통형, 협착형 및 호형으로 구분되었다. 근경 표면의 색은 연황색 또는 연갈색이 많았고, 둥굴레는 진한 갈색으로 다른 종들과 구별이 되었다. 근경의 길이는 3.0~15.0cm, 근경의 굵기는 4.6~23.6mm 범위였으며, 각시둥굴레의 근경은 가장 긴 반면 가장 가늘었고, 층층갈고리둥굴레의 근경은 가장 굵고 수량성이 높았다. 층층갈고리둥굴레, 둥굴레 및 산둥굴레는 약용과 식용작물로, 무늬둥굴레, 큰둥굴레, 죽대, 용둥굴레, 안면용둥굴레, 각시둥굴레 및 통둥굴레는 관엽 및 관화를 위한 원예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입되는 환경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라우트재가 해안 또는 매립지에 적용될 경우 해수와 침출수에 의한 강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한 결과 초순수 중에서 양생 시켰을 때 보다 강도발현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시멘트 종에 따라서는 ‘보통포틀랜트 시멘트>마이크로 시멘트>슬래그’ 시멘트의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도의 저하로 인한 오염물질의 누출 및 6가 크롬의 용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라우트재의 종류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은 현재 규제치를 초과하여 용출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과압 또는 과량의 주입이 6가 크롬의 용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 현장과 다른 특수한 현장에서는 강도 및 pH에 따른 6가 크롬의 용출량을 고려한 재료 선택 및 배합비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한 인자로 제시 되었다. 따라서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격건강을 위하여 단백질의 급원이 되는 식품의 섭취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_2$는 여자가

90% 췌장 절제 백서에서 둥굴레뿌리의 물추출물이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on Insulin Resistance in 90% Pancreatectomized Rats)

  • 박선민;안승희;최미경;최수란;최수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19-625
    • /
    • 2001
  • 현재까지 인슐린의 작용력을 향상시키는 약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은 thiazolidinediones이 있고 그외에도 몇가지 종류의 물질에 대해서 그 효과를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POD의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체중이 $338{\pm}35\;$ 인 Sprague Dawley 백서를 두군으로 나누어 한군은 sham 수술을 하여 정상군으로, 다른 한군은 90% 췌장 적제술을 하여 당뇨군(Px)으로 정하였다. Px 백서는 90% 췌장제거 수술을 한 후 2 주동안 혈당을 측정하여 공복 혈당이 9.4 mmol/L이상인 백서를 선택하였다. Sham 백서와 당뇨 백서는 다시 각각 2군으로 나누어 한군은(n=10) 하루에 POD을 0.3 g/kg 체중의 용량으로 식이에 섞어 공급하였고, 다른 한군은(n=10) 위약(P)을 8 주 동안 투여하였다. 식이는 40%지방 식이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7 주 째 되었을 때 인슐린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 경동맥과 경정맥에 도관을 삽입하였고, 8주째에 $15{\sim}18$시간 금식후 EH clamp 실험을 실시하였다. POD와 P를 투여하기 전에 Px 백서의 혈당은 $9.9{\pm}0.6\;mmol/L$이었고, 정상군의 혈당은 $6.4{\pm}0.5\;mmol/L$이었다. EH clamp를 할 때 체중은 Px 백서에 비해 Sham백서에서 높았으며, 혈당은 POD 투여와 당뇨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Px 백서가 Sham 백서에 비해 기초 인슐린 농도가 낮았고, Sham 백서에서는 POD군이 P군에 비해 낮았다. 체내 포도당 제거 속도는 Sham+POD군이 $53.9{\pm}7.7$, Sham+P군이 $38.7{\pm}13.6$, Px+POD군이 $36.0{\pm}10.6$, Px+P군이 $29.2{\pm}6.8\;mg/kg$ 체중/min이었다. 체내 포도당 제거속도는 POD군이 P군에 비해 높았고, Px군이 Sham군에 비해 낮았다(P<0.01). Soleus 근육의 글리코겐 양은 POD군에서 P군에 비해 높았다. Px 백서에서는 soleus과 quadriceps 근육의 글리코겐 양은 정상군에 비해 낮았다. Soleus근육의 glycogen synthase의 활성은 P군에 비해 POD군에서 높았고(P<0.05), Px 백서가 Sham 백서에 비해 낮았다(P<0.05). Px 백서의 quadriceps 근육내 중성지방 축적량이 Sham 백서에 비해 높았는데, P에 비해 POD를 공급하였을 때 중성지방의 축적양이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POD은 당뇨와 정상 백서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의 감소 현상은 근육에서의 glycogen synthase 활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길상산 (강화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Gilsangsan (Ganghwa-Isl.), Korea)

  • 김중현;김선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0-304
    • /
    • 2013
  • 본 연구는 길상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2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22과 359속 529종 7아종 51변종 2품종 3교잡종으로 총 59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길상산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참나무류림이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종 다양성이 높은 과는 국화과(11.0%), 화본과(10.7%), 사초과(6.38%), 콩과(3.86%), 장미과(3.52%)였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족도리풀, 외대으아리, 고광나무, 개나리, 늦둥굴레 등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의 관속식물은 위기종(EN)인 구상나무, 준위협종(NT)은 산닥나무, 흑삼릉, 관심대상종(LC)에 측백나무, 개쓴풀, 금붓꽃, 미평가종(NE)으로 늦둥굴레가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VI등급이 각각 2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3분류군, I등급 29분류군 등 45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6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10.7%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에는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등 8분류군이었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일년생식물(26.5%), 반지중식물(26.0%), 지중식물(14.0%) 등이 높게 나타났다.

주요 特用資源植物 抽出物이 무 發芽 및 초기 生長抑制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tracts of industrial plant resources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Raphanus sativus L.)

  • 이현모;임정대;김명조;유창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8-115
    • /
    • 2001
  • 우리 나라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작물과 출야에 자생하고 있는 주요 특용자원식물 10여가지로부터 추출한 추출액 이 무(radish) 의 발아 및 줄기, 뿌리의 생육과 줄기 뿌리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각각의 농도에서 무의 발아 및 생육을 억제함을 나타내었다. 1. 식물체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의 산도가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각각의 특용자원식물의 pH를 조사해본 결과 거의 중성이나 약 알칼리성을 나타냈으며 당귀의 추출물의 농도가 5%, 10%에서 pH 산성 반응을 나타냈다. 2. 해바라기추출물의 농도가 10% 농도 일 때 63% 정도의 발아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의 추출물에서는 10% 농도일 때 거의 발아가 되지 않아 무의 발아에 추출물이 강한 억제 영향을 나타낸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3. 줄기성장 관계를 보면 1% 농도에서는 무의 줄기 생장은 촉진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둥굴레 추출물에서 거의 2배의 성장 촉진을 가져 왔으며 까마중 추출물도 1.9배의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5% 농도일 때는 치커리 추출물에서는 control에 비해 2배로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황기추출물은 75%정도의 생장억제를 나타내었고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 추출물에서는 전혀 성장하지 못하여 강한 생장억제 작용을 나타냈다. 4. 뿌리 생장에서 추출물농도 1%에서는 해바라기를 제외한 다른 특용자원식물에서는 뿌리의 생장이 있었다. 5%농도에서 치커리, 둥굴레는 생장을 촉진 시켰고, 10% 농도 까마중, 도꼬마리, 당귀 추출물에서는 전혀 생장되지 않았다. 5. 줄기의 건물중을 비교해 보면 해 바라기는 1%, 5%에서는 건물중이 비슷하였으나 10% 농도에서는 6%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치커리. 둥굴레는 저농도에서 오히려 건물중이 향상되는 경향이었으나 10% 농도에서는 강하게 억제하였고 당귀, 도꼬마리, 까마중은 전혀 건물중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황기,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은 현저하게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6. 뿌리 의 건물중은 1%, 5%에서는 당귀, 까마중을 제외하고는 거의 억제되지 않고 10%에서는 황기,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은 뿌리의 자람이 억제되어 건물중의 증가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특용 식물에서는 약간의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도꼬마리, 당귀, 까마중 등은 무를 이용한 생물 검정법에서 강한 억제작용물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런 특용자원식물의 상호 억제작용을 이용한 잡초방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allelopathy 물질의 분리, 동정, 포장에서의 cover crop(피복작물)로 이용시 잡초 억제 효과를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