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shed barle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1초

${\alpha}$화 보리쌀의 제조에 관한 연구 -제 2 보 : ${\alpha}$화 보리쌀의 취반특성-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Polished ${\alpha}-Barley$ -II. Cooking Characteristics of ${\alpha}-Barley$-)

  • 김형수;강옥주;류은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0-163
    • /
    • 1983
  • 1. ${\alpha}$화 보리쌀의 끓는 물중에서의 수분흡수율은 호화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며, 열탕처리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고 가압솥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나 모두 무처리구 보다는 증가하였다. 2. ${\alpha}$화 보리쌀로 취반하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경도는 정백도가 높을수록 낮았으며, 가압솥 처리구가 가장 낮았고, 무처리구는 모두 높았다. 3. ${\alpha}$화 보리쌀 20%와 쌀 80%로 혼합취반하여 관능 검사한 결과 질감은 S-60에서 현저히 높았고 색깔에서는 모든 ${\alpha}$화 시료가 낮게 평가되었으나 총점에서는 무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PDF

${\alpha}$화 보리쌀의 제조에 관한 연구 -제 1 보 : ${\alpha}$화 보리쌀의 수율과 호화도-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Polished ${\alpha}-Barley$ -I. The Yield and Degree of Gelatinization-)

  • 김형수;강옥주;류은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5-159
    • /
    • 1983
  • 겉보리 품종 중 부농, 쌀보리 품종 중 세도하다가를 각각 50%와 65%, 60%와 75%로 도정수율을 달리하고, 수침, 가열, 건조하여 ${\alpha}$화 보리쌀을 제조하였다. 각 시료의 일반성분을 분석하고, 여러 가지 열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가열 건조한 보리쌀의 수율 및 호화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pha}$화 보리쌀의 수율은 microwave oven가열, 생증기처리, 가압솥처리시 $95{\sim}98%$이며 열탕처리의 경우는 $74{\sim}89%$로서 낮았다. 2. ${\alpha}$화 보리쌀의 호화도는 microwave oven 1분 가열로서 $31{\sim}42%$, microwave oven에서 5분, 생증기처리 10분과 20분에서 90% 내외를 보였고, 생증기처리 30분, 열탕처리, 가압솥처리에서 95%이상의 호화도를 보였다.

  • PDF

TLC법에 의한 장류 및 공류중의 Aflatoxin검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tection of Aflatoxins in the Fermentation Products and Cereals)

  • 한양일;김광호;오영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0
    • /
    • 1978
  • Aflatoxin, a mixture of the at least four toxic and carcinogenic metabolites, is known to be produced by only a few fungi. The toxins were designated aflatoxins because they were produced by the mold Aspergillus flavus(A. flavus). However, at least four other toxins and other species of the genus A. niger, A. parasiticus A. ruber and wentii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flatoxins. And also the identical compounds may also be produced by molds, the Pencillium. At least four different species of Penicilliurn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flatoxins (P. citrinurn, P. frequentans, P. puberulurn. and P. variable). So it is now known that the problem of Aflatoxin is not restricted to the single species A. flavus, even though that is a very common mold. Also additional aflatoxins have been discorvered. For sereral years, only four aflatoxins were known: $B_1, B_2, G_1$ and $G_2$, so designated by reason of their fluorescence and chromatographic charateristics. It is now known that there are really two new toxic materials in the milk. During the past year(1966) they were christened aflatoxin $M_1$ and $M_2$, since they were first found in milk. The two other and most recently discorvered aflatoxins were isolated late in 1966 from cultures of A. flavus, and were designated aflatoxin $B_2a$ and aflatoxin $G_2a$. In order to obtain a breaf information about extent of contamination of foodstuffs by aflatoxin which is known to produce eight different mold, aflatoxin detection of cereals and fermented foods on sale, such as polished rice, barley, wheat, wheat flour, lentil, red bean, soy bean, noodle, kochuj ang and Dwenjang (fermented soy bean paste) and chong Kuk,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xane:$CHCl_3$ extracts of polished rice, barley wheat, wheat flour, lentil, red bean, noodle and kochujang yielded fluorescent spots on thin layer plates. However their Rfvalu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hentic aflatoxins. The fluorescent substances of the extract from soy bean, Dwenjang and chong kuk showed very similar Rf values to those of the standard aflatoxins. By two dimensional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comparison of ultra violet absorption spectra, it was found that these fluorescent substances were not aflatoxins. To conclude, aflatoxins themselves were not detected directly in those samples tested.

  • PDF

유색보리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ntent and Activity in Methanolic Extracts from Colored Barley)

  • 박수민;최용민;김영화;함현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043-1047
    • /
    • 2011
  • 본 연구는 할맥(Spb), 정맥상태의 흑맥(Pbb), 현맥상태의 유색보리(황맥: Hyb, 자맥: Hpb, 흑맥: Hbb)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추출수율은 할맥, 정맥상태의 흑맥, 현맥상태의 유색보리(황맥, 자맥, 흑맥)에서 각각 2.85, 3.62, 4.62, 4.41과 6.58%를 나타내었다.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은 시료 100 g당 Spb가 57.93과 24.02 mg, Pbb가 64.01과 27.92 mg, Hyb가 122.88과 36.38 mg, Hpb가 134.94와 36.51 mg, Hbb가 163.43 and 39.70 mg으로 분석되었다. 항산화 활성도 이와 비슷하게 현맥상태의 유색보리가 할맥과 정맥상태의 흑맥보다 높았다. 이는 유색보리의 항산화 성분이 겨(bran) 층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유색보리의 기능성 연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리의 수발아정도가 재발아,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prouted Degree of Barley on Viviparity for Regermination, Yield and Grain Quality)

  • 남중현;송현숙;박문웅;이춘기;박형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5-120
    • /
    • 1994
  •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양질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찰성 및 과성인자가 도입된 계통들이 육성, 보급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들 인자를 도입함에 따라 흡수성, 퍼짐성이 좋아지고 호화개시온도, 호화시간이 짧아졌으며 쌀보리의 재배지대 북상에 문제가 되던 내한성도 해결되었다. 그러나 찰성인자가 흡수성이 빠른 점과 쌀보리의 종피가 과실과 분리되어 수분을 보지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찰 쌀보리는 수발아의 위험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보리 수확시기에 수발아는 품종육성 및 재배, 이용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재해이다. 본 시험에서 수발아정도에 따른 수량의 감소와 품질변화 및 수발아된 종자를 종자로 이용시 재발아정도를 조사하여 얻은 몇가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아된 종자의 재발아율은 발근장 2mm시 68%, 4mm에서 49%이었으나 그이상에서는 급격히 낮아졌으며, PI는 대조구에 비해 발근장 2mm 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2. 발근정도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발근장이 길어지면 커지는 경향이었고, 3. 발근장이 길어지면 쌀보리 72%, 겉보리 64%로 도정하는 정맥시간이 짧아졌으며, 4. 발근정도에 따른 도정후 완전입율은 대조구(2시간 침적)에서 98∼96.5%이나 발근장 14mm 에서는 64∼82.4%로 크게 저하되었으며, 5. 도정된 보리쌀의 백도는 무처리구보다도 침적2시간 및 발근장 2mm처리에서 높았으나 발근장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낮아졌다 6. 발근장이 길어짐에 따라 Sedimentation value는 점차 낮아졌다.

  • PDF

붉은곰팡이병에 감염된 맥류의 실험동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in Mice of Cereals Infected with Fusarium graninearum)

  • 이제봉;정미혜;성하정;이해근;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2-67
    • /
    • 2001
  • 붉은곰팡병에 감염된 곡물의 인축에 대한 안전성평가를 위하여 붉은곰팡이병에 30%감염된 밀, 쌀보리 및 겉보리를 마우스먹이에 섞어 먹이는 식이혼입시험을 수행하였다. 붉은곰팡이병에 30% 감염된 밀, 쌀보리 및 겉보리에 대하여 밀은 밀가루로서, 쌀보리와 겉보리는 도정수율을 각각 68% 및 58%로 도정한 것을 마우스사료 중 10, 30, 및 50% 함유되게 사료와 동일한 형태로 조제하여 5주령의 마우스에 2개월 동안 섭식시키면서 영향을 조사하였다. 곡물을 먹이중 혼입비율별로 투여한 모든 군에서 사료섭취량, 음수섭취량 및 체중 등에 영향은 없었다. 또한 임상관찰, 육안적 부검소견, 장기중량 변화, 혈구분별측정 및 혈액생화적 검사 등에서도 모든 투여군에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시험에 사용된 가공곡류 중 곰팡이 독소함량으로는 마우스에 대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보리 수확 후 관리 시스템 종류별 특성 비교 (Characters on the Post-harvest Bulk Treatment Systems for Barley)

  • 이춘우;백성범;손영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04-107
    • /
    • 2005
  • 보리를 산물처리하는 4개 RPC에서 건조, 저장, 출하시스템등 보리 수확후 관리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J RPC는 쌀보리를 S RPC는 겉보리를 처리하였으며, 운반은 S RPC는 3종, J RPC는 7종, S RPC는 3종류의 운반수단을 사용하였다. 수확 후 관리는 원료곡의 투입에서 저장까지 8단계를 사용하였으며, J RPC는 제망기, 2대의 열풍기, 냉풍기를 사용하였고, S RPC는 가열은 하지 않고 송풍만으로 건조를 하였다. 계량은 S RPC는 차량계근과 투입시 계량등으로 2회 계량하여 중량에 대한 신뢰성을 높였다. 건조방법은 S RPC는 $20\%$ 이하의 수분에서는 연료비를 절감하면서 급격한 열풍건조에 의한 품질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만으로 건조하였다. J RPC는 냉풍기를 사용하여 저장중 곡온을 $19^{\circ}C$이하로 유지하여 품질의 변화를 방지하고 있었다. 처리한 물량은 J RPC는 정맥후 1, 40kg단위로 년중 출하하고 S RPC는 원료곡을 산물로 9월 말 이전에 출하를 완료하였다. 본 조사의 결론은 보리 재배맥종이나 경영방향에 적합하게 보리 수확 후 관리 특성이 차이가 있었고, 농촌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쉽게 보리농사를 지을 수 있는 보리산물처리에 대한 정책지원이 더 증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국산(韓國産) 보리의 화학조성(化學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대맥품종별(大麥品種別) P, K, Ca, Mg 함량(含量)과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과의 관계(關係) (Studies on Chemical Constituents of Barley in Korea II. Relationship between protein content and P, K, Ca, or Mg among barley varieties)

  • 박훈;이동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2-84
    • /
    • 1975
  • 스물두개 품종(品種)의 보리쌀중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Mg와 P 함량(含量)과 1%에서, K 함량(含量)은 5%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나 Ca와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색소결합능(色素結合能)(dye binding capacity)과는 Mg 와 P 함량(含量)과만 1%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었다. Mg 및 P 는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식별지표(飾別指標)로 사용(使用)될 가능성(可能性)을 보였다. 이들 4개무기성분함량(個無機成分含量)과 탄수화물(炭水化物)과는 모두 유의성(有意性)없는 부상관(負相關)을 보였다. P,K,Mg 상호간(相互間)에는 1% 수준(水準)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였다. 보리쌀 중 $K_2O$,$P_2O_5$, CaO 및 MgO 의 평균(平均) 함량(含量)은 각기 0. 30, 0. 29, 및 0. 08, 0. 043%였다.

  • PDF

율무쌀의 경구투여(經口投與)가 백서(白鼠)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earl Barle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lbino Rats)

  • 조수열;박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7
    • /
    • 1977
  • 율무쌀의 영양적(營養的)인 가치(價値)를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체중(體重) $55.6{\pm}3.5g$의 Leuise계(系) albino rats 암수 각(各) 40수(首)를 8 group으로 나누고 각(各) group에 casein 15%+starch 75%+oil 8.0% diet(A), 율무쌀 98% diet(B), 쌀 98% diet(C), 보리쌀 98% diet(D), 쌀 49%+율무쌀 49% 혼합 diet(E), 쌀 73.5%+율무쌀 24.5% 혼합 diet(F), 보리쌀 49%+율무쌀 49% 혼합 diet(G), 보리쌀 73.5%+율무쌀 24.5% 혼합 diet(H)의 8종류(種類)의 diet에 각각 비타민 mixture 1% 및 salt mixture 1% 씩을 첨가(添加)한 것을 7주간(週間) 급여(給與)하여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 소화율(消化率), liver의 중량(重量), liver 및 plasma중의 protein 양(量), plasma 중의 free amino acid양(量), hematocrit 및 hemoglobin양(量)을 측정(測定)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은 율무쌀 98% diet(B) group 이 가장 낮았고, 다음이 쌀 49%+율무쌀49% 혼합 diet(E) group으로써 이들 사이에는 유의(有意)한 차(差)가 없었으나 쌀 98% diet(C) group, 보리쌀 98% diet(D) group 및 기타 혼식(混食) group과는 유의(有意)한 차(差)(P<0.01)가 있었다. 2. 율무 현미(玄米) 및 백미(白米)의 소화율(消化率)은 protein과 carbohydrate는 백미(白米)가 높았고 fat는 현미(玄米)가 높았다. 3. liver의 중량(重量)은 율무쌀 98% diet(B) group은 쌀 98% diet(C) group과는 유의(有意)한 차(差)(P<0.05)가 있었으나 기타 group과는 유의(有意)한 차(差)가 없었다. 그리고 단위체중(單位體重)에 대한 무게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4. live 및 plasma의 total protein과 plasma의 A/G ratio는 율무쌀 98% diet(B) group이 가장 낮았다. 5. plasma 중의 free amino acid 조성(組成)은 식이(食餌)의 조성(組成)과 비슷하였다. 6. hematocrit와 hemoglobin content는 율무쌀 98% diet(B) group이 가장 낮았다. 7. 혼식(混食) group에 있어서는 쌀과 율무쌀 및 보리쌀과 율무쌀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이 1:1보다 3:1이 더 좋은 결과(結果)이었다.

  • PDF

주요 5종의 농작물 중 butachlor의 잔류 monitoring (Monitoring Survey of the Herbicide Butachlor in Five Major Crops)

  • 문영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3
    • /
    • 2001
  • 수도용 제초제 butachlor의 작물잔류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주산단지 및 광주, 대구, 부산지역의 시장에서 쌀, 보리, 마늘 양파, 딸기 등 106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제초제 butachlor가 등록되어 있는 작물의 수확물 중 쌀 27점과 보리 15점에서 butachlor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또한 벼 재배 후 이모작으로 재배되는 작물인 마늘21점, 양파 18점, 딸기 18점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