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em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과 중국의 시의화(詩意畵) 읽기 - 텍스트의 해석을 중심으로 - (Reading Korean and Chinese Paintings Expressing the Ideas of Classical Literary Works - Focused on Interpretation of The Text)

  • 강경희
    • 동양고전연구
    • /
    • 제50호
    • /
    • pp.261-294
    • /
    • 2013
  • 본고는 중국 고전문학 작품을 원텍스트로 한 중국과 한국의 시의도(詩意圖)를 통해 문학작품이 그림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지, 또 그 그림들이 원텍스트를 어떤 방식으로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작업으로 문학을 통해 그림을, 그림을 통해 다시 문학작품을 읽는 하나의 실험이다.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와 "도화원기병시(桃花源記幷詩)",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소식(蘇軾)의 "적벽부(赤壁賦)", 구양수(歐陽脩)의 "추성부(秋聲賦)"와 이들을 화제(畵題)로 삼은 중국 및 한국의 시의도(詩意圖)를 대상으로 하여 중국과 조선에서 공유했던 중국 문학 작품이 각기 어떤 식으로 수용되고 향유되었는지 그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시의도(詩意圖)의 특징을 귀납하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사실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각 시의도(詩意圖)의 전형적인 양식들이 조선의 회화에도 모두 보이는 점을 통해 조선시대 화가들은 중국의 회화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국제적인 감각을 잃지 않았다. 둘째, 중국 시의도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시각화된 이미지와 전달하려는 중심주제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중국의 전통에서는 볼 수 없었던 미감이 전해지기도 하고 새로운 양식이 창조되기도 하였다. 셋째,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같은 문학작품에 대한 중국과 한국의 수용과 해석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조선 후기의 산수(山水) 와유(臥遊)와 경산(京山) 이한진(李漢鎭)의 <속어부사(續漁父詞)> (Wayu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and Gyeongsan Lee Han Jin's )

  • 조은별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185-210
    • /
    • 2018
  • 본고는 이한진 편 "청구영언(靑丘永言)"의 편찬자인 경산(京山) 이한진(李漢鎭)(1732~1815)의 <속어부사(續漁父詞)>가 이한진의 문예 활동과 풍류적 지향, 그리고 조선 후기 사족들의 산수(山水) 와유(臥遊) 취미를 배경으로 창작되었으리라 보고 <속어부사>를 살폈다. 이한진은 외가인 안동(安東) 김문(金門)의 혈연을 바탕으로 연암 일파와 교유하였는데, 이들의 풍류 현장에 대한 기록에서 이한진의 음악적 기질과 풍류적 지향을 알 수 있었다. 이한진은 노년에 경기도 영평에 은거하였는데, 이때 편찬한 가집인 이한진 편 "청구영언"에 수록된 작품들의 주제적 지향과 이한진이 창작한 시조 작품들에서도 역시 이한진의 풍류적 모습이 확인 되었다. 한편 조선 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들은 번화한 도시 공간을 떠나 자연 속에 머물 수 없는 자신들의 현실적인 문제를 산수 자연을 추체험함으로써 극복하고자 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와유(臥遊)였다. 이들에게 산수 유람의 실제 경험 유무는 그리 긴치 않은 문제였으며, 이들은 효과적인 와유를 위해 제 문예 장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한진과 그 주변 인물들의 문예 활동은 이 같은 당시의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한진이 경기도 영평에서의 산거(山居)에도 불구하고 <속어부사>를 창작한 것 역시 현재 자신이 경험할 수 없는 하나의 자연 형상을 좀 더 효과적으로 추체험하기 위한 것이었다. 때문에 이한진의 <속어부사>는 어부 형상을 소재로 한 여타의 국문시가에 비해 좀 더 초속적인 자연 형상이 그려졌다. 실재의 자연 형상을 볼 수 없다는 현실적 정황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핍진하게 묘사하여 효과적인 와유를 가능케 하고자 했던 욕망 사이의 긴장은 집구시의 성격을 강하게 띤 <어부사>라는 형식 안에서만 해결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왕사정(王士禎)의 시가 창작과 이론에 대한 왕사록(王士祿)의 영향 고찰(考察)

  • 이동훈
    • 중국학논총
    • /
    • 제61호
    • /
    • pp.155-179
    • /
    • 2019
  • 淸初, 王士禎與長兄王士祿同上公車, 與海內文人論文定交, 一時馳聲藝苑, 傳譽京師, 人稱'二王'. 王士禎之所以成爲淸初詩壇領袖, 在文藝方面受到王氏前輩與兄弟的薰陶和影響. 家學的淵源是王士禎吸之不盡的營養寶庫. 王士禎對其兄弟們互相切磋. 勸學共勉, 尤其是長兄王士祿, 是王士禎詩的啟蒙人之一, 實際上是爲兄兼師, 對王士禎的詩歌創作與理論兩方面的影響無與論比的. 王士祿仕宦不達, 物役艱難, 尤經歷兩次被入獄的痛苦, 終生靠佛教, 又在香奩體詩見長, 故王士禎受到長兄王士祿的愛好. 王士祿的佛學修養對王士禎深有影響, 王士禎與不少禪僧交遊, 而且王士禎晩年自放逃禪, 深究佛理. 甚至, 王士禎所標榜的神韻說, 長期建樹在詩禪一致的角度, 其理論體系與參禪的原理與標準幾乎沒有差別, 所以嚴羽和王士禎共以禪喩詩, 從創作構思和作態度至於創作技巧, 皆與頓悟境地十分相似, 如王士禎《香祖筆記》卷八曰"捨筏登岸, 禪家以爲悟境, 詩家以爲化境, 詩禪一致, 等無差別. " 其次, 王士祿喜歡作香奩詩, 也有對王士禎的影響. 在中國古典詩歌的角度, 香奩詩不包含雅正文學的範圍, 反而有香奩詩爲淫靡之作的看法. 但是, 王士祿認爲香奩詩表現出人間純粹感情的抒情詩的特徵, 肯定香奩詩一定包含傳統抒情詩的領域, 具備登上中國詩歌之大雅之堂的資格. 王士禎同樣視香奩詩爲內質相同的文學, 甚至香奩詩也有諷諭功能, 能反映出當時現實與時代的眞相. 如此, 王士祿鼓吹香奩詩, 肯定重情思想, 這些顯然對王士禎産生了影響.

변형된 UK-POEM을 이용한 한국 논 농약살포자의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Operator Using Modified UK-POEM in Korean Rice Paddy)

  • 홍순성;유아선;정미혜;박경훈;박재읍;이영자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0-64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논농사 농약살포자의 농약 노출량 산정과 위해성 평가를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논에 사용되고 있는 약제 중 분무의 형태로 이용되는 단제 48품목에 대하여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이를 근거로 농약 노출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노출량을 세계 각 기관에서 발표된 농작업자 노출허용량과 비교하여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경우 개인보호장비(PPE)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17개의 품목에서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한 경우에도 6개의 품목에서 위해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논에서 농약을 살포하는 경우 농약살포자의 농약노출로 인한 위해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었다.

시조의 텍스트성(textuality) 연구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Sijo Poetry)

  • 임종찬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1집
    • /
    • pp.5-22
    • /
    • 2004
  • 시조를 문으로 짜여진 text라고 보고, 그 짜임 (textuality)을 1) 각 장의 수사적 표현 2) 각 장끼리의 연결성 3) 각 장의 통사적 짜임의 측면에서 고시조와 현대시조를 살펴보았다. 고시조에 있어서 1)은 논리 정연한 문장으로 되어 있고 논리를 방해할 수 있는 수식어를 극도로 배제하고 있음을 알았다. 2)는 각 장끼리의 응집성 혹은 응결성을 확보하여 확실한 연결을 이루고 있음을 알았다. 3)은 통사적으로 안정된 짜임을 갖고 있어 3장 6구의 형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았다. 현대시조에 있어서 1)은 수식어를 남용하여 정연한 논리로서의 시조가되지 못 할 뿐더러 3장 구성까지도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2)는 각 장끼리의 연결성이 애매하여 장과 장끼리의 유기적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3)은 3장 6구를 이루는 통사적 짜임을 몰각하여 시조형식을 파괴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현대시조의 경향은 현대시조의 존립근거를 위태롭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 PDF

서거정의 '대구십영'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A Geographical Study on 'Daegusibyeong(大丘十詠)' written by Seo, geojeong)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97-5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서거정의 '대구십영'에 대한 한시 해석과 고문헌 조사 및 현장답사를 통해 대구십영지의 장소 고증을 지리학적 관점에서 규명하여 보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그동안 논란이 있어 왔던 대구십영지에 대해 고문헌 및 현장답사를 통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고증하였다. 2) 제7영의 '동사심승' 중 잘못 사용된 한 개의 한자어를 찾아냄으로써 기존의 잘못된 해석을 바로 잡을 수 있었다. 3) "동국여지승람"을 토대로 발간된 "사가집"에 게재된 '대구십영'이 "신증동국여지승람"이나 "대구읍지"에 게재된 '대구십영' 보다 시제와 내용이 보다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대구십영'과 관련하여 시제와 시어가 고문헌별로 약간 다르게 나타나는 오류를 바로잡았다. 5) 본 연구에서 밝혀진 '대구십영지'를 복원하고, 활용 측면에서는 기존의 대구시티투어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면 대구시의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 제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ACIAL POEM: A New Type of Experimental Visual Interaction in 3D Virtual Environment

  • 최진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405-410
    • /
    • 2008
  • There is always a rhythm in our language and speech. As soon as we speech out, even just simple words and voice we make are edited as various emotions and information. Through this process we succeed or fail in our communication, and it becomes a fun communication or a monotonous delivery. Even with the same music, impression of the play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musician' s emotion and their understanding. We 'play' our language in the same way as that. However, I think, people are used to the variety, which is, in fact, the variation of a set format covered with hollow variety. People might have been living loosing or limiting their own creative way to express themselves by that hollow variety. SPACIAL POEM started from this point. This is a new type of 'real-time visual interaction' expressing our own creative narrative as real-time visual by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which is an emotional human behavior. Producing many kinds of sound by playing musical instruments is the same behavior with which we express our emotions through. There are sensors on each hole on the surface of the musical instrument. When you play it, sensors recognize that you have covered the holes. All sensors are connected to a keyboard, which means your playing behavior becomes a typing action on the keyboard. And I programmed the visual of your words to spread out in a virtual 3D space when you play the musical instrument. The behavior when you blow the instrument, to make sounds, changes into the energy that makes you walk ahead continuously in a virtual space. I used a microphone sensor for this. After all by playing musical instrument, we get back the emotion we forgot so far, and my voice is expressed with my own visual language in virtual space.

  • PDF

타이포그래피적 관점에서 본 한글구체시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고원의 한글구체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Hangul Concrete Poetry in the typographic point of view)

  • 이민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259-270
    • /
    • 2002
  • 한 편의 시를 대하는 마음은 읽는 이의 감정상태에 따라서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심상이 각각 다른 빛깔의 색으로 나타난다. 시는 세상과 작가의 세계를 이어주는 텍스트이자 하나의 다리이며 그 관계 속에서 활자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난다. 현대의 타이포그래피는 인터넷과 영상매체의 발달에 따라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방대하여지고 있으며, 표현방법 또한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지원으로 타이포그래피는 이미 움직이고 변화하여 마치 살아 숨쉬는 듯한 유기적 언어로 거듭나고 있다. 움직임과 시간, 공간을 연출하는 하나의 영상언어로서의 타이포그래피와 유사한 구조적 특성과 한글 글자체 고유의 조형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기존의 시들이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나 서술적 구조를 지니고 있음에 반해, 한글구체시에 나타난 활자는 한글의 고유의 조형성에서 빚어지는 다른 영역의 시이자 하나의 비선형구조의 타이포그래피적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글구체시를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조형성과 함께 비선형구조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타이포그래피의 연구 영역을 넓히고, 문학의 시각화의 시도로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아폴리네르, 폴 엘뤼아르, 이상(LEE Sang) 시의 상형적 시어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lligrams of Apollinaire, Paul Eluard, and Lee Sang)

  • 이병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33-54
    • /
    • 2016
  • 본 연구는 프랑스의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 폴 엘뤼아르와 한국의 이상의 시에 나타나는 상형적인 시어들에 대한 비교 분석이다. 그들은 글꼴이나 문장의 모양과 행간을 회화적으로 배열하는 타이포그라피 기법을 응용하고, 알파벳의 철자, 수학적 기호, 원이나 점, 선 등의 도형적 요소들을 혼용하여 특징적인 시화를 펼쳐 보인다. 시각적인 서정으로 평가되는 그들의 작품은 반시어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기존의 시어나 문법의 규범을 벗어난 글자와 기호들의 자유로운 구사는 병렬적이고 대립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그들의 상형적 시어들은 공간의 확장과 같은 역동적인 이미지를 불러오고, 이상의 기하학적인 기호들을 응용한 상형적 시어들은 형이상학적이고 추상적인 그림시로 형상화된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분석한 세 시인들의 상형적인 시어들은 조형의 미학으로 귀결된다. 변형된 글자와 암호와 같은 기호의 회화적 구성은 시적공간의 확장이 불러오는 입체적 미학을 구현하고 있다. 나아가 세 시인의 상형적인 시어들은 프랑스와 한국의 현대 시문학에 파격적인 표현기법으로 당대의 새로운 예술정신과 해방정신을 실현한 전위적인 시적 언어들로 평가할 수 있다.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 동시 특성 및 과학 동시 쓰기에 대한 인식 비교 (Comparing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Writing Science Poems for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김민지;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30-148
    • /
    • 2019
  •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poems written by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writing scientific poem. To do this, 5~6 graders (n=100) at two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and 5~6 graders (n=93) at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Scientific poems written by the stu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numbers and types. Their perceptions of writing scientific poems were also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group 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eneral students wrote more scientific poems than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for thirty minutes. The general students mainly named the titles in a direct way, whil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did it in an implicit way. The free verse poems in both general students and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ppeared most frequently, and the prose or narrative poems also often appeared. The general and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frequently used impersonation, and some students did not use metaphors. They didn't connect the scientific knowledge for multiple grade. While the poems of the general students evenly included the scientific knowledge for various academic fields, those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include the scientific knowledge for physics or chemistry. The poem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include more science process skills, especially in basic inquiry skills,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wrote scientific poems in a more expanded form regarding the scientific knowledge, than the general students.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perceived the educational benefits of writing scientific poems more positively based on variou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However, many scientifically-gifted and general students had also sever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es of writing scientific poem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