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시의화(詩意畵) 읽기 - 텍스트의 해석을 중심으로 -

Reading Korean and Chinese Paintings Expressing the Ideas of Classical Literary Works - Focused on Interpretation of The Text

  • 투고 : 2013.02.28
  • 심사 : 2013.03.22
  • 발행 : 2013.03.30

초록

본고는 중국 고전문학 작품을 원텍스트로 한 중국과 한국의 시의도(詩意圖)를 통해 문학작품이 그림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지, 또 그 그림들이 원텍스트를 어떤 방식으로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작업으로 문학을 통해 그림을, 그림을 통해 다시 문학작품을 읽는 하나의 실험이다.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와 "도화원기병시(桃花源記幷詩)",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소식(蘇軾)의 "적벽부(赤壁賦)", 구양수(歐陽脩)의 "추성부(秋聲賦)"와 이들을 화제(畵題)로 삼은 중국 및 한국의 시의도(詩意圖)를 대상으로 하여 중국과 조선에서 공유했던 중국 문학 작품이 각기 어떤 식으로 수용되고 향유되었는지 그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시의도(詩意圖)의 특징을 귀납하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사실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각 시의도(詩意圖)의 전형적인 양식들이 조선의 회화에도 모두 보이는 점을 통해 조선시대 화가들은 중국의 회화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국제적인 감각을 잃지 않았다. 둘째, 중국 시의도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시각화된 이미지와 전달하려는 중심주제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중국의 전통에서는 볼 수 없었던 미감이 전해지기도 하고 새로운 양식이 창조되기도 하였다. 셋째,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같은 문학작품에 대한 중국과 한국의 수용과 해석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how the original text of Chinese classical literary works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paintings of China and Korea, and inspect the ways how of these original text interpreted in paintings. It is an experiment of trying to analyze through literature with painting and read again painting through literature. Qu Yuan(屈原) Prose Poem of Fisherman("漁父辭"), Tao Yuanming(陶淵明) Prose Poem of Returning Home("歸去來辭") and the prose with a poem on the peach blossom spring("桃花源記幷詩"), Du Fu(杜甫), Song of Eight Drunken Celestials("飮中八仙歌"), Su Shi(蘇軾), Odes on the Red Cliff("赤壁賦"), Ou Yangxiu(歐陽脩), Odes of the Sounds of Autumn("秋聲賦") and the paintings which based on these texts were the target of examination. These literary texts shared by Chinese and Korea have been compared in the aspects of acceptance and enjoyment. And on the basis of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aintings expressing the ideas of classical literary works was induced.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are derived. First, By the emergence of the typical style which was formed historically in China at the korean painting shows that korean painters not only actively embraced the art style of China also did not lose the international sense. Second, through the profound study for chinese painting, they transformed it in accordance with korean aesthetic view and finally revealed typical korean characteristics. Third, the results as described above showe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literary works between China and Korea.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