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docyt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42초

Pathogenesis of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an immunological concept

  • Kim, Seong Heon;Park, Se Jin;Han, Kyoung Hee;Kronbichler, Andreas;Saleem, Moin A.;Oh, Jun;Lim, Beom Jin;Shin, Jae 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5호
    • /
    • pp.205-211
    • /
    • 2016
  • Idiopathic nephrotic syndrome (INS) in children is characterized by massive proteinuria and hypoalbuminemia.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MCNS) is the most common form of INS in children. The pathogenesis of MCNS still remains unclear, however, several hypotheses have been recently proposed. For several decades, MCNS has been considered a T-cell disorder, which causes the impairment of the glomerular filtration barrier with the release of different circulating factors. Increased levels of several cytokines are also suggested. Recently, a "two-hit" theory was proposed that included the induction of CD80 (B7-1) and regulatory T-cell (Treg) dysfunction, with or without impaired autoregulatory functions of the podocyte. In contrast to the well-established involvement of T cells, the role of B cells has not been clearly identified. However, B-cell biology has recently gained more attention, because rituximab (a monoclonal antibody directed against CD20-bearing cells) demonstrated a very good therapeutic response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and adult MCNS. Here, we discuss recent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of MCNS in children.

Selenium이 adriamycin에 의해서 유발되는 랫드 신장병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enium on renal lesions induced by adriamycin in rats)

  • 박은성;이준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1-57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enium on the adriamycininduced renal lesions in male Sprague Dawley rats. A total of 60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2 control groups(C1: saline, C2: selenium) and 2 treatment groups(T1: adriamycin, T2: adriamycin+selenium). The rats of the C1 and T1 groups were given normal saline(0.15ml/rat), the rats of the C2 and T2 groups were given sodium selenite(0.5mg/kg) intraperitoneally three days a week for 4 weeks. The treatment groups were dosed intraperitoneally with adriamycin(2mg/kg/day) five days at the second week. Animals were sacrificed at the 1st week, 2nd week and 3rd week after dosing with adriamycin. The morphologic abnormalities of the glomeruli and tubules in the kidney of male rats were examined histopathologically and electron microscopically.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The mean body weight of adriamycin dos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at 4th week(p<0.05). In adriamycin and selenium dosed group, the mean body weight was decreased until the end of 2nd week but gradually increased from 3rd to 4th week.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the renal corpuscle in adriamycin dosed group were parietal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vacuolization of glomerulus, and thickened basement membrane of the parietal epithelium. Proximal convoluted tubules were significantly dilated and the lumens were filled with renal cast. These lesions were generally not very significant in the rats given adriamycin and selenium. The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of the renal glomerulus in the adriamycin dosed group were focal loss and fusion of the pedicels of the podocyte, and some vacuoles in the cytoplasm of the podocytes. There were numerous cytoplasmic vacuoles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nvoluted tubular cells. However, these ultrastructural changes were not significantly observed in the renal tubules of the rats of adriamycin and selenium dos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enium may act as an inhibitor of the renal lesions induced by adriamycin in male rats.

  • PDF

당과 후기당화합물에 의한 사구체 상피세포 ZO-1 발현의 변화 (Effects of High Glucose and Advanced Glycosylation Endproducts (AGE) on ZO-1 Expression in cultured Glomerular Epithelial Cells (GEpC))

  • 이진석;이해수;윤옥자;하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2호
    • /
    • pp.138-148
    • /
    • 2004
  • 목적: 단백뇨 질환에서 볼 수 있는 사구체 상피세포(glomerular epithelial cells, GEpC) 족돌기(foot process)의 병리학적 변화에 있어서 GEpC사이의 세극막(slit diaphragm)과 세포골격을 연결하는 ZO-1 단백의 당뇨조건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백서 GEpC을 배양하고 고농도의 당과 후기당화합물(advanced glycosylation enduroducts, AGE)를 적용하여 당뇨병 환경에 가까운 조건을 설정한 후, ZO-1 단백양은 Western 분석으로, 분포 변화는 공초점 현미경으로, 유전자 표현의 변화는 RT-PCR로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당의 농도를 5 또는 30 mM로, AGE와 BSA를 첨가하고 osmotic control로서 당 5 mM에 mannitol 25 M을 섞은 것을 조합하여 A5, A30, B5, B30, Aosm로 하였다. 결과: 공초점 현미경 상 ZO-1은 정상적인 환경인 B5에서 B30, A5, 가장 병적인 A30 환경으로 진행할수록 세포질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ZO-1 단백양은 B5 결과를 대조군으로 비교하여 당을 첨가한 B30에서 11.1%, AGE를 추가한 조건인 A5에서 2.3% 감소하였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당과 AGE가 동시에 첨가된 A30에서는 19.0%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mRNA의 발현도 A30에서만 12.0%의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단백질과 mRNA의 감소 소견은 osmotic control (Aosm)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고농도의 당과 AGE에 의한 GEpC의 ZO-1의 분포 변화와 유전자 수준에서의 억제로 단백의 생성 감소를 초래함으로써, 장기간 당뇨 환경체서 족돌기의 형태학적 변화를 설명할 수 있으며, 추후 이의 변화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만성신부전 백서에서 항고혈압제의 종류에 따른 신부전의 진행과 사구체의 형태학적 변화 (Effects of Antihypertensive Drugs on Renal Function and Glomerular Morphology in Chronic Renal Failure Rats)

  • 홍성진;김교순;김병길;박경화;김기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2호
    • /
    • pp.169-177
    • /
    • 2002
  • 목적 : 만성신부전은 신장에 병적 손상이 있어 지속적으로 신기능이 저하되어 말기신부전에 이르게 된다. 만성신부전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인자 중 혈압조절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부분 신절제를 이용하여 만성신부전을 유발시킨 후 항고혈압제로 enalapril과 nicardipine을 투여하여 만성신부전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백서에서 5/6 신절제술로 만성신부전을 유발시킨 후 무작위로 대조군, enalapril 투여군(E군), nicardipine 투여군(N군)으로 나누어 4주 간격으로 꼬리 동맥압을 측정하고 12주째 24시간 소변 단백량과 creatinine배설량, 혈청 creatinine을 측정한 후 희생시켜 신조직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사구체의 형태학적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 1. 신절제 후 대조군은 지속적으로 혈압이 증가하였으나 E군과 N군에서는 정상 혈압이 유지되었다. 2. 12주째 E군에서 요단백량은 대조군과 N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 3. 12주째 조사한 신장의 형태계측학적 검사에서 E군과 N군 모두에서 mesangium의 증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으나 사구체 용적은 E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하여 적었다. 4. 대조군, E군, N군간의 상피세표 족돌기의 형태학적 변화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부분 신절제로 유발한 만성신부전 백서에서 enalapril, nicardipine 모두 고혈압을 예방하였으나 enalpril 투여군에서 단백뇨의 감소와 신병변 발생 예방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상피세포 족돌기의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한국인에서의 소아 IgA 신병증과 HLA-G유전자의 promoter haplotype과의 관계 (Association of HLA-G gene promoter haplotype with childhood IgA nephropathy in the Korean population)

  • 정환희;한원호;조병수;김성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548-553
    • /
    • 2010
  • 목 적: IgA 신병증은 소아들의 만성 사구체 신염 중에서 가장 흔하게 일어나며, HLA유전자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과 자가면역질환과 연관이 있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건강한 대조군과 IgA 신병증 환자군을 비교하여 IgA 신병증 발생 감수성 및 병리, 임상 양상과 $HLA-G$ 유전자의 SNP와의 연관성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소아 IgA 신병증을 앓고 있는 174명의 환자군과 438명의 정상 대조군에서 $HLA-G$ 유전자의 promoter SNP (rs1736936과 rs2735022)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IgA 신병증 환자들을 단백뇨($4mg/m^2/hour$ 이하군과 이상군)의 유무, 족세포 돌기의 소실 유무, 간질의 섬유화 및 세뇨관 위축이나 미만성 사구체 경화와 같은 병리학적 소견상 진행성 질환의 표지자유무에 따라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 IgA 신병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간의 HLA-G에서의 SNP (rs1736936과 rs2735022) 빈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단백뇨의 유무, 족세포 돌기의 소실 유무, 질환의 병리학적 진행 정도을 의미하는 표지자의 유무와 SNP사이에서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일체 배형으로서 rs1736936과 rs2735022는 소아 IgA 신병증을 일으키는 감수성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haplotype T/C: dominant model OR 1.71, 95% CI 1.00-2.92, $P$=0.049; haplotype C/T: recessive model OR 0.54, 95% CI 0.31-0.94, $P$=0.030). 결 론: 이번 연구에서 $HLA-G$ 유전자의 SNP 중 rs1736936와 rs2735022로 이루어진 일체배형과 IgA 신병증의 발생간에 유의한 관계를 관찰하였으며, IgA 신병증 환자들의 단백뇨 발생 유무, 족세포 돌기의 소실 유무 및 질병 진행 정도로 구분된 하위그룹과 후보 SNP들간의 유의한 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Sirolimus 사용 후 사구체 기저막 세극막 관련 분자의 변화 (The Changes of Slit Diaphragm Molecules After Using Sirolimus)

  • 최정연;한기동;김용진;박용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2호
    • /
    • pp.143-153
    • /
    • 2010
  • 목 적 : 최근 신이식 환자들에서 cyclosporine A (CsA)의 대체로 sirolimus를 투여 받은 후 단백뇨가 발생한다는 임상보고가 있으나 단백뇨 발생기전의 정확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없다. 이에 sirolimus에 의한 여러 단백뇨 발생기전 중 sirolimus와 CsA 투여 후 족세포의 세극막 관련 분자 변화를 조사하여 족세포와의 직접적인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생체 외 실험- 마우스 족세포를 완충액, CsA ($10\;{\mu}g/mL$) 처리 후 sirolimus ($10\;{\mu}g/mL$) 처리군, sirolimus 단독군, CsA와 sirolimus 동시 처리한 군으로 나누어 RT-PCR을 이용하여 12, 24, 48시간에 족세포의 세극막 관련 분자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체 내 실험- SPF Wistar 쥐 24마리를 각각 4군(완충액, CsA 2주 투여 후 sirolimus 2주간 투여, sirolimus 4주간 투여, CsA와 sirolimus를 4주간 동시투여)으로 분류하여 하루 걸러서 한번 복강 내 약물을 주입하였다(CsA: 25 mg/kg, sirolimus: 0.5 mg/kg). 모든 쥐는 약물주입 후 4주에 희생되어 병리조직은 오른쪽 신장의 일부분을 이용하고, 나머지 신장은 RT-PCR을 이용하여 세극막 관련 분자의 mRNA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생체 외 실험에서 CsA와 sirolimus 동시투여 또는 CsA 처리 후 sirolimus 처리군에서 nephrin 발현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생체 내 실험에서 nephrin 발현은 sirolimus를 사용한 모든 군에서, podocin 발현은 CsA와 sirolimus 동시투여 또는 CsA 처리 후 sirolimus 처리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광학현미경에서 CsA 투여군은 세뇨관 상피세포에서 공포형성 및 석회화가 관찰되었으며, 면역 조직화학검사에서 사구체 모세혈관의 nephrin, podocin항체 침착은 감소되지 않았다. CsA 투여군의 전자 현미경소견에서 사구체 족돌기의 국소적 융합이 있었으며, sirolimus 단독군에서는 특이소견이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sirolimus로 발생한 단백뇨의 많은 기전 중 하나로 sirolimus가 세극막 관련 분자 중 nephrin 및 podocin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sirolimus 단독보다는 CsA와 함께 작용했을 때 효과가 더 커질 수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Puromycin aminonucleoside의 사구체 상피세포에 대한 영향 (Effects of puromycin aminonucleoside on the cytoskeletal changes of glomerular epithelial cells)

  • 이준호;하태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54-61
    • /
    • 2008
  • 목 적 : 특발성 신증후군의 연구를 위하여 병태생리 및 임상소견과 유사한 실험적 puromycin aminonucleoside(PAN) 신증을 이용하는데 본 연구는 배양한 사구체 상피세포에 대한 PAN의 영향을 통하여 신증후군의 주 원인 병태생리인 단백뇨의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사구체 상피세포를 배양한 후 다양한 농도의 PAN과 항산화제를 투여하여 전자현미경관찰, 반응성 산소종 투과율 변화, confocal microscopy 등을 통하여 족세포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 사구체 상피세포의 초고배율소견에서 PAN에 의해 세포간극이 벌어지고 표면의 미세돌기가 단축되는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세포간극의 변화는 세포막부분의 ZO-1에 대한 면역형광검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DCF-DA로 측정한 반응성 산소종은 PAN에 의하여 농도에 따라 투여 2시간에 이미 유의한 증가를 보이나, 이러한 변화는 항산화제인 EGCG, probucol, vitamin C에 의해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단층모델에서 투과율은 PAN에 의하여 농도에 따라 증가하나 항산화제에 의해 증가가 억제되었다. 세포골격구조인 ${\alpha}-actinin$은 사구체 상피세포의 세포질과 바깥 세포막부분으로 actin과 같이 분포하나 고농도의 PAN에 의해 세포질 바깥쪽의 일부분에 집중하는 형상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항산화제인 vitamin C의 처치에 의해 예방될 수 있었다. 세극막성분인 ZO-1는 고농도의 PAN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하고 집중하는 형상으로 변하였으나, vitamin C의 처치에 의해 예방되었다. 이와 함께 ${\alpha}-actinin$과 ZO-1은 PAN에 의해 단백양이 감소하였으나 이는 항산화제에 의해 예방할 수 있었다. 결 론 : PAN은 사구체 상피세포의 반응성 산소종 생성을 증가시키고, 구조성분의 변화를 통하여 형태학적인 변화를 초래하며 이는 투과율의 증가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들은 항산화제에 의해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었음으로, PAN은 생체 외 사구체 상피세포에 산화스트레스기전을 통하여 구조적 변화와 이에 따른 단백뇨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배양한 사구체 상피세포에서 고농도 당과 후기 당화합물에 의한 P-cadherin의 변화 (High Glucose and Advanced Glycosylation Endproducts(AGE) Modulate the P-cadherin Expression in Glomerular Epithelial Cells(GEpC))

  • 하태선;구현회;이해수;윤옥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2호
    • /
    • pp.119-127
    • /
    • 2005
  • 목 적 : 단백뇨 질환에서 볼 수 있는 사구체 상피세포(glomerular epithelial cells, GEpC) 족돌기 사이에 위치한 세극막(slit diaphragm)의 P-cadherin의 당뇨조건에 따른 병리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백서 GEpC을 배양하고 고농도의 당과 후기당화합물(advanced glycosylation endproducts, AGE)을 적용하여 당뇨병 환경에 가까운 조건을 설정한 후, p-cadherin 단백양은 Western 분석으로, 유전자 표현의 변화는 RT-PCR로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당의 농도를 5 또는 30mM로, AGE와 BSA를 첨가하고 osmotic control로서 당 5 mM에 mannitol 25 mM을 섞은 것을 조합하여 A5, A30, B5, B30, Aosm로 하였다. 결 과 : P-cadherin 단백양은 B5 결과를 대조군으로 비교하여 당을 첨가한 B30에서 50.4$\%$의 감소, AGE를 추가한 조건인 A5와 A30에서 각각 7.4$\%$와 30.4$\%$의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 또한 P-cadherin mRNA의 표현은 B30에서 40.3$\%$의 감소, A30에서 27.2$\%$의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감소 소견은 osmotic control(Aosm)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 고농도의 당과 AGE에 의한 GEpC의 P-cadherin을 유전자 수준에서의 억제로 단백의 생성 감소를 초래함으로써, 당뇨환경에서 세극막 성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으며, 추후 이의 변화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연령에 따른 흰쥐 신사구체의 변화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Renal Glomeruli of the Aging Rat)

  • 양남길;한종원;안의태;고정식;박경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17권1호
    • /
    • pp.47-64
    • /
    • 1987
  • Morphological difference of the renal glomerulus at different age groups have been studied in young (three month-old), adult (twelve month-old) and old (thirty month-old) Fisher strain 344 rats. Pieces of the tissues were taken from renal corticies prefixed with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following by post-fixation with 1% osmium tetroxide (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embedded within Araldite. The ultrathin sections contrast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were observed under a JEM 100CX electron microscope. The mean thickness of glomerular basal lamina and Bowman's capsule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thinnest portion of basal lamina, and by taking the average of 50 readings from electron micrographs at different ages. The numerical changes of the slit pores were compared based upon the numbers over the length of 10um of glomerular basal lamina.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thickness of glomerular basal lamina is increased during aging; 140.4 nm in young rats, 270.0 nm in adult ones, and 437.8 nm in old ones. 2. The thickness of basal lamina of parietal cells of Bowman's capsule is 187.5 nm in young rats, 914.0 nm in adult ones, and 2850.0 nm in old ones. 3. The numbers of the slit pores of basal lamina are reduced during aging, 30.3 slit pores/$10{\mu}m$ in adult ones, and 24.2 slit pores/$10{\mu}m$ in old ones. 4. Accumulation of dense intracytoplasmic filamentous material in the parietal cells of Bowman's capsule is increased in the vicinity of the basal lamina during aging. The proximal tubule-like epithelial cell in Bowman's capsule is observed at one glomerulus in a young rat. 5. The endothelial cells are edematous and form balloon-like structure protruding into capillary lumen in young and old rats. 6. Cytoplasm of the podocyte shows a variety of alteration during aging, such as swelling of mitochondria and of endoplasmic reticulum, and increase of microtubules, microfilaments, lysosomes and lamellated myelin structures, etc. Accumulation of dense intracytoplasmic material in the foot processes is increased in the vicinity of the basal lamina during aging. The podocytic membrane-like structures are seen in young and o]d rats. 7. The mesangial matrices and mesangial cells are increased during aging, and slight swelling of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cisternae in young and old rats.

  • PDF

절수에 의한 Mongolian gerbil 신장조직의 변화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Changes in the Kidney of the Water-deprived 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 김무강;이근좌;정영길;송치원;이경열;박일권;이철호;이기훈;현병화;김길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4호
    • /
    • pp.433-452
    • /
    • 1997
  • 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has been as an animal model for studing the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stroke and epilepsy because of the congenital incompleteries in Willis circle, as well as the investigation of water metabolism because of the long time-survival in the condition of water-deprived desert condition, compared with other species animals. In order to accomplish the this research, first of all another divided the laboratory animals 5 groups of which each group include the 5 animals. In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the histological structure in the kidney, measured the plasma osmolalities at the time of sacrifice of indivisual animals, and the body weights every day during water-depriv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body weights and decreasing rates of the body weight in water-deprived mongolian gerbil groups were continuosly decreased. 2. The plasma osmolalities were increased from the 5th water-deprived day, after then the gradually increasing reached nearly its equilibrium state at the 10th water-deprived day. 3. The urine volumes were abruptly decreased from the 2th water-deprived day, after then the gradually decreasing patterns were reached nearly its equilibrium state at the 10th day, and stopped the 11th day. 4. In the light microscopical observation of the kidney, glomerular capillary loop thickening, mesangial matrix increasing, sclerosis, glomerular cystic atrophy, interstitial fibrosis, tubular dilatation, mononuclear interstitial inflammation, interstitial mineralization, and hyperplasia of the collecting duct epithelium in the cortex area, were observed from the 10th water deprived day, and the lesions were gradually severe changed as the time lapse. 5. In the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of the kidney, the degenerative changes of endothelial cell, podocyte and mesangial cell in glomeruli were initially observed on the 10th water-deprived day as well as the degeneration of microvilli and intracellular organelle in the renal tubu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