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otting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38초

수치지도 갱신을 위한 SPOT5 영상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SPOT5 Image for Renewal of Digital Map)

  • 강준묵;윤희천;박준규;엄대용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96
    • /
    • 2005
  • 최근 전자광학 및 항공우주 기술의 발달로 인해 위성영상의 획득이 용이해 지면서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지형정보 구축과 분석에 많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OT5 위성영상의 입체영상 및 단영상을 이용하여 수치도화 및 디지타이징 작업을 수행하고 기존 수치지도 성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정확도를 평가 하였다. 입체영상을 이용하여 획득한 수치도화 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한 축척 1:25,000 수치지도 성과를 기준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입체영상 20개의 검사점에 대한 정확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RMSE 성과의 경우 X(Easting)에서 5.369m, Y(Northing)에서 4.718m로 산출되었으며, 단영상을 이용한 디지타이징 성과의 RMSE는 X에서 7.616m, Y에서 6.532m로 산출되었다. 이는 공공측량의 작업규정 세부기준(건설교통부 고시 제 2003-326호)의 평면위치 허용정확도인 17.5m를 최대편차 및 RMSE 성과 모두가 만족하는 결과이며, 디지타이징 작업이 수치도화에 비해 정확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으나 경제성을 고려한 갱신 작업에서는 디지타이징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아리랑위성 2호 입체영상을 이용한 지도제작 가능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for Mapping Using The KOMPSAT-2 Stereo Imagery)

  • 이광재;김윤수;서현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7-210
    • /
    • 2012
  • 아리랑위성 2호는 다양한 공간정보 생성 및 활용을 위해서 서로 다른 두 궤도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체영상을 지도제작 등에 활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리랑위성 2호 입체영상을 이용한 지도제작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입체영상 기반의 수치도화를 수행하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수치고도모델 및 정사영상을 제작한 후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RPC 기반의 모델링 결과를 GPS 측량점과 비교한 결과 수평, 수직 모두 ${\pm}1.5m$ 이내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도화한 성과를 기존 축척 1/5,000 수치지형도와 비교한 결과 수직방향으로는 지형특성에 따라 최대 5m 이상의 차이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비록 실험에 사용된 영상자료 내에 일부 불규칙한 시차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축척 1/5,000 수치지형도에서 요구되는 레이어에 대해서 최소 70% 이상은 판독 및 도화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작된 도화 DEM을 기존 라이다 DEM 등과 비교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제작된 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가 축척 1/5,000 정사영상지도에서 요구하는 정확도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역특성인자(流域特性因子)에 의한 홍수량(洪水量)의 결정(決定) (Determining Floodflows from Basin Characteristic Parameters)

  • 안상진;류병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35-41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미계측지점(未計測地點)의 홍수량(洪水量)을 추정(推定)하는 빈도홍수량(頻度洪水量) 공식(公式)을 유도(誘導)하는데 목적(目的)이 있다. 금강(錦江) 수계적(水系的) 주요수위표지점(主要水位標地點)을 대상(對象)으로 하였으며, 여기서 얻은 홍수량(洪水量)의 자료(資料)는 Weibull-plotting position에 의한 분석(分析)으로 T년(年) 빈도홍수량(頻度洪水量)을 구(求)하였다. 홍수량(洪水量)을 분석기준(分析基準)은 미국지질조사소(美國地質調査所)가 채택(採擇)하고 있는 수문(水文) 및 지형인자(地形因子)를 이용(利用)한 홍수량(洪水量) 합성방법(合成方法)을 채택(採擇)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Model은 유역(流域)의 평균적(平均的) 홍수량특성(洪水量特性)을 파악(把握)하고 있기 때문에 유역내(流域內) 미계측지점(未計測地點)의 홍수량(洪水量)을 추정(推定)하는데 사용(使用)될 수 있다.

  • PDF

건축물 정보 관리를 위한 수치 판독현황도 제작 기법 해석 (Analysis of Digital Photographic Interpretation Status Map Production Technic for the Architecture Information Management)

  • 김원대;김정훈;유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1-138
    • /
    • 2010
  • 서울시의 건축물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판독을 실시하여 판독현황도를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판독현황도는 인쇄된 형태이며 수기로 제작되어 많은 오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갱신에도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판독현황도의 수치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면 스캐닝에 의한 방법, 정사영상 및 진정사영상을 활용하는 방법, 수정도화에 의한 방법, LiDAR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치수정도화에 의한 수치 판독현황도를 제작하는 것이 건축물 정보의 정확도와 경제성 측면에서 타당한 방법임을 제안할 수 있었다.

L-모멘트 및 LH-모멘트에 의한 GEV 분포모형의 실계홍수량의 유도 (Derivation of Design Flood by L-Moments and LH-Moments in GEV distributiion)

  • 이순혁;박명근;맹승진;정연수;김동주;류경식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479-485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d design floods by Generalized Extreme Value(GEV) distributiion for the annual maximum series at ten watersheds along Han, Nagdong, Geum , Yeongsan and Seomjin river systems. Adequency for the analysis of flood data used in this study was established by the test of Independence, Homogeneity , detection of Outliers. Coefficient of variation , skewness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by the L-Moment, and LH-Moment ratio respectively.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the Method of L-Method of LH-Moment. Design floods obtained by Method of L-Moments and LH-Moments using different methods for plotting positions in GEV distributions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batined using the Method of L-Moments and LH-Moments by the Relative Mean Errors and Realtive Absoulte Errors. It was found that desgin floods derived by the method of L-Moments and LH-Moments using Cunnane plotting position foumula in the GEV distribution are much closer to those of the observed data in comparison with those obtained by methods of L-moments and LH-moments using the other formula for poltting postions from the viewpoint of Relative Mean Errors and Relative Absoulte Errors. In view of the fact that hydraulic structures indcluding dams and levees are generally usiong design floods with the return period of two hundred years or so, design floods derived by LH-Moments are seemed to be more reasonable than those of L-Moments in the GEV distribution.

  • PDF

Maritime radar display unit based on PC for safe ship navigation

  • Bae, Jin-Ho;Lee, Chong-Hyun;Hwang, Chang-Ku
    • International Journal of Ocean System Engineering
    • /
    • 제1권1호
    • /
    • pp.52-59
    • /
    • 2011
  • A prototype radar display unit was implemented using inexpensive off-the-shelf components, including a nonlinear estimation algorithm for the target tracking in a clutter environment. Two custom designed boards; an analog signal processing board and a DSP board, can be plugged into an expansion slot of a personal computer (PC) to form a maritime radar display unit. Our system provided all the functionality specified in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solution A422(XI).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board was used for A/D conversion as well as rain and sea clutter suppression. The main functions of the DSP board were scan conversion and video overlay operations. A host PC was used to run the tracking algorithm of targets in clutter, using the discrete-time Bayes optimal (nonlinear, and non-Gaussian) estimation method, and the graphic user interface (GUI) software for Automatic Radar Plotting Aid (ARPA). The proposed tracking method recursively found the entir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the target position and velocity by converting into linear convolution operations.

도화원도를 이용한 LiDAR DEM의 정확도 평가 (The Evaluation on Accuracy of LiDAR DEM by Plotting Map)

  • 최윤수;한상득;위광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7-136
    • /
    • 2002
  • 수치표고자료(Digital Elevation Model ; DEM)는 영상처리, GIS, 건설, 수자원, 조경, 통신, 군사 및 기타 관련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정밀 DEM을 기반으로 하는 대축척 정사영상 제작, 3차원 GIS 데이터 구축 등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LiDAR(Light and Detection And Ranging) 시스템의 등장으로 기존의 항공사진측량과 비교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도시지역의 DEM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일반적인 검사점(Check Point)에 의한 비교방법은 건물에 대한 높이값이 아닌 지형에 대한 높이값만을 비교함으로 인하여 LiDAR자료에서 건물 등 구조물 정확도를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의 도심지를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항공레이저측량(LiDAR측량) 자료를 이용한 DEM 및 수치정사영상을 제작하고 해석도화원도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하면 LiDAR DEM은 건물의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x축 방향으로 0.30 m, y축 방향으로 0.62 m 편이가 발생하였으며 도화원도를 이용하여 제작한 DEM과의 비교 .분석한 결과, 편이가 $\pm$10 cm 범위에 36.2%, $\pm$10 cm$\pm$20 cm 범위에 43.53%가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LiDAR 자료의 정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규정하고 있는 1/5,000 도화축척의 최대오차 이내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ANALYSIS OF SOLUTIONS OF TIME FRACTIONAL TELEGRAPH EQUATION

  • Joice Nirmala, R.;Balachandran, 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18권3호
    • /
    • pp.209-224
    • /
    • 2014
  • In this paper, the solution of time fractional telegraph equation is obtained by using Adomain decomposition method and compared with various other metho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Adomain decomposition method. These methods are used to obtain the series solutions. Finally, results are analysed by plotting the solutions for various fractional orders.

천측계산의 전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uterization of the Sight Reduction)

  • 윤여정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43
    • /
    • 1988
  • The tedious work, connected to the altitude correction, the computation of altitudes and aximuths and the plotting of the position lines, has been a objection to celestial position fixing method. But using a computer , the severe objection will be practically overruled. The author had already studied on computerization of the sight reduction partially. This paper is to confirm reliability of coordinate of the moon and the navigational planet calculated by computer programming and to suggest a method of calculating ship's position fixed by two position li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