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 Contents

검색결과 1,169건 처리시간 0.057초

서울지역 어린이집의 실외놀이 환경 구성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Planning Guidelines of Outdoor Play Environment a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 변혜령;최목화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9-22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environment and management of outdoor play a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to present a planning guideline for outdoor play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subjects were 164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general facts about the respondent and facility, environmental condition, managerial condition, and director's understanding about outdoor play.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crosstab. The major results have shown the following: 1) Mos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had some space for outdoor play. 62% of them used front yard and 11 % a rooftop. 2) The space usually included fixed play instruments such as slide and complex unit structures, sand play area, and open area. It also had many natural elements as shrubs and earth. 3) 78% of the centers had a schedule for outdoor play. The schedule operates flexibly according to each center's own day schedule. Generally, a time for outdoor play was 21 to 30 minutes. 4) The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thought highly of outdoor play for it contributes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 They answered that equipments and spaces, program devices, and teacher's understanding are som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active outdoor play. 5) Most of them wanted wood-working area (construction activity area), water play area, and cages.

  • PDF

로봇과 증강현실 기반의 유아 극놀이 콘텐츠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Robot and Augmented Reality Based Contents and Instructional Model Supporting Childrens' Dramatic Play)

  • 조미헌;한정혜;현은자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21-43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로봇과 증강현실 기술을 통합하여, 유아 극놀이 활동을 지원하는 콘텐츠와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극놀이 활동 지원을 위해서 로봇은 다양한 표정 변화와 액션을 보이면서 나레이터와 음향담당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마커와 유아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극놀이 활동을 영상매체로 촬영하여 추후 활동을 위해 이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프로젝터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 객체와 직접 상호작용하도록 하였다. 한편, 증강현실 기술은 다양한 캐릭터 변신과 소품 제공 뿐아니라 다양한 무대 배경과 전경의 효과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물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증강된 콘텐츠와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배우와 관객의 상호작용 기회도 제공하였으며, 유아가 학습 상황을 조작하거나 선택하여 그 결과를 경험하는 경험 중심 학습 환경을 구현하여 감각적 몰입을 유도하였다. 이와 더불어서 콘텐츠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모형은 '교사의 사전 준비', '극놀이 이야기 소개와 이해', '극놀이 활동 계획과 진행' 그리고 '극놀이 활동 평가와 정리' 등과 같은 4가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결정하고 진행해야 할 세부 활동들을 제안하였다.

국내 놀이치료연구 동향 : 놀이치료 관련 학회지 게재논문 중심으로 (1997-2003) (Analysis of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s of Play therapy)

  • 박수영;이재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57
    • /
    • 2005
  •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e researches published for a 7-year period (1997-2003) in the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and The Journal of Play Therapy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for Children). Specifically, we analyzed a total of 156 articles for research contents, instruments, subjects, statistical analytic methods, and refer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 areas of research activity and publication were specific theoretical review, personality, and adjustment research. Most outcomes, processes, and outcome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a form of case study. Second, typical samples contained 4 to 6 year old children or elementary schoolers. A lot of them were counseling center clients or normally adapted children. Third, 37% of the articles used ANOVA-related statistical analytic methods, and 35% of them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tic methods. Lastly, many articles averagely cited foreign references written 11 years prior to domestic references.

  • PDF

디지털 게임의 부분유료화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e-to-Play Model for Digital Games)

  • 이동은;이유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7-120
    • /
    • 2015
  • 디지털 게임의 부분유료화 모델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신규 게임 유입의 장벽을 낮추고 동시에 소액 결제를 통해 소비를 유도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촉발한다는 점에서 게임 업계의 대표적인 수익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부분유료화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종류와 적용 대상, 적용 양상이 다양해지면서 있는 플레이어들의 게임 플레이 경험에 불균형을 양산하는 문제를 만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부분유료화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고, 획득방법, 지속성, 기능 발현 대상에 따라 2가지 유형, 7가지 세분류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부분유료화 모델이 가지는 세 가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첫째, 게임 플레이 경험의 불평등 유발, 둘째, 게임 세계 경제의 불균형 양산, 셋째 게임 플레이 지속성 파괴가 바로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 문제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해결책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의 부분유료화 모델이 한국 게임 시장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통영오광대 복식의 의도성에 관한 연구 : 대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ntions of Tongyeng Ogwangdae Costume : Focused on dialogs)

  • 김초영;김은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41-549
    • /
    • 2015
  • Korean traditional mask play was done at outdoor to let spectators join the play and take mask at performance and to have disadvantage of poor transfer of dialog to the spectators. Performers transferred dialog directly and/or indirectly by using visual costume, and Tongyeong Ogwangdae with many dialogue expressions concerning the costume made use of proper intention to help spectators understand. In this study, the author watched performance of Tongyeong Ogwangdae to collect and investigate not only image material but also photograph material and to classify intention of the costume into three: First, contents of the dialog were intended to make shape. The costumes of Hongbaek Yangban, Meoktal Yangban and Jorijung of the 2nd section gave spectators contents of the play, and the costume of Halmi Yangban of Nochangtal of the 4th section described dialog of Halmi. Second, dialog had connotative metaphor. The costume of Yeongno of Yeongnotal of the 3rd section symbolized an unfinished dragon, while that of Halmi of Nongchangtal of the 4th section did sacred of Halmi. And, Nongchagtal Ai's costume of the 4th section prayed for value of Ai, richness of the life and fecundity. Third, conflict between characters was intended by indirect media. The costume of Maltukee of metaphor mask of the 2nd section became base of the assertion supporting that Maltukee had better birth history than Yangban had, and the costume of Yeongnoyangban of Yeongnotal of the 3rd section produced conflict at disclosure of identity.

Storytelling을 기반으로 한 즉흥연극, 플레이백 씨어터(Playback Theatre) 연구 (A Study on the Playback Theatre, the Improvisational Theatre based on Storytelling)

  • 정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32-540
    • /
    • 2017
  •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플레이백 씨어터(Playback Theatre)'를 즉흥연극과 비교 분석하면서 특징과 가치를 논하고 있다. 1975년 죠나단 팍스에 의해 창안된 플레이백 씨어터는 대본 없이 관객의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구성되는 상호소통적인 즉흥연극 형식이다. 스토리텔링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요구하며, 화자와 청자의 공감을 전제로 하고, 타인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중요시한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의 가치를 근거로 즉흥연극과 구술문화의 현장성, 사이코드라마의 교육적 치유적 가치를 오늘날에 맞게 재창조한 연극 형식이다. 플레이백 씨어터는 관객에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연극형식 속에서 제공하며, 배우들은 관객의 이야기를 듣고, 들은 이야기를 즉흥적으로 연기하여 화자와 관객에게 다시 보여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플레이백(play-back)'이다. 이 과정에서 개인과 공동체는 교육적 치유적 효과를 경험하게 된다.

Comparative Study of U-Healthcare Applications between Google Play Store and Apple iTunes App Store in Korea

  • Nam, Sang-Z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3호
    • /
    • pp.1-8
    • /
    • 2014
  • In this paper, we collect and analyze the status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hereafter apps) in the healthcare and fitness category of the Apple iTunes App Store and Google Play Store. We determine the number of apps and analyze statistical aspects such as classifications, age rating, fees, and user evaluation of the popular items. As of September 30, 2013, there were 236 popular apps available from iTunes. Google Play offered 720 apps. We discover that apps for healthcare and fitness are diverse. Apps for physical exercise have the greatest popularity. The proportions of apps that are suitable for all ages among the Google and iTunes popular apps are 55.8% and 89.4%, respectively. The user evaluation of apps in iTunes is relatively less positive. We determine that the proportion of paid apps to free apps in Google is higher than that of the apps in iTunes. We perform hypothesis tests and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rating and perceived satisfaction between the apps of the Apple iTunes App Store and Google Play Store. However, we find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classification and price of the apps between the two app stores. We perform hypothesis test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age rating and perceived satisfaction between the paid and free apps within and across the Google Play Store and iTunes App Store.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rating between the paid and free apps in the Google play store, between the Google free and iTunes free apps, between the Google paid and iTunes paid apps, between the Google free and iTunes paid apps, and between the Google paid and iTunes free app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satisfaction between the Google free and iTunes free apps, between the Google paid and iTunes paid apps, between the Google free and iTunes paid apps, and between the Google paid and iTunes free apps.

내러티브 구조 관점에서 본 게임 캐릭터의 퀘스트 플레이에 대한 인터랙션 사전 시각화 (Pre-visualization of Interaction on Game Character's Quest Play : Towards of Narrative Structure)

  • 김미진;김상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11
    • /
    • 2011
  • 게임기획자는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퀘스트의 초기 설계를 한다. 이러한 게임의 정적 컨텐트 수립에 있어 게임캐릭터의 플레이경험을 사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은 게임캐릭터가 고유한 스테이터스를 바탕으로 퀘스트 플레이를 수행함에 있어 캐릭터간 구별되는 정서적 인터랙션을 시각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 영상매체에서 내러티브 구조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둘째, 퀘스트플레이 경험과 플레이어 인지행동을 구체화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해 캐릭터별 퀘스트플레이 과정에서의 차이를 QUG(Quest Unit Graph)로 시각화하여 직관적인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존 연구가 캐릭터별 성취(achievement)관점에서의 수치적 밸런스 대한 것에 반해, 본 논문은 내러티브 구조 관점에서 퀘스트플레이 인터랙션에 대한 시각화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기획자의 퀘스트 경험설계를 사전 예측해 볼 수 있다.

문화콘텐츠로서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탈경계적 성격 (Trans-boundary Characteristics of the Post-dramatic Play as a Cultural Content)

  • 송은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7-164
    • /
    • 2019
  • 드라마 연극이 희곡 텍스트를 무대 위에 재현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면,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희곡 텍스트로부터 해방된 연극을 지향한다. 이 과정에서 드라마 연극이 만들어놓은 여러 경계들이 해체된다. 배우와 관객, 허구와 현실, 연극과 비연극, 작품과 사건, 언어와 비언어 등이 대표적인 경계의 이름이다. 이러한 경계의 해체는 드라마 연극에 의해서 잊혀졌던 고대 그리스 연극의 축제적 성격을 복원하는 계기가 된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연극을 지배하였던 언어중심주의, 희곡중심주의를 해체하고 새로운 연극을 지향하게 한다. 언어중심주의, 희곡중심주의가 연극의 위기를 자초했다면,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그것들을 해체함으로써 새로운 문화콘텐츠로서 관객과 소통하는 방법을 찾게 한다. 그 방법은 무엇보다 연극성의 회복에서 발견된다. 드라마 연극이 연극성보다 문학성에 종속된 것에 비해서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문학성으로부터 해방된 연극성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극성이 강화된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탈경계적 성격은 대중성 획득의 발판이 될 것이며, 이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FPS게임레벨의 목표에 따른 플레이공간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Play Space by Game Level Goals in FPS)

  • 최규혁;오정;김미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9-26
    • /
    • 2017
  • 게임플레이어는 게임레벨의 목표에 따라 구성된 플레이공간에서 레벨디자이너가 설정한 게임플레이를 경험한다. 플레이어의 경험적 행동들은 게임레벨 공간구조와 구조물 배치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게임레벨디자인 초기단계에서 게임레벨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다. 본 논문은 공간이론을 바탕으로 FPS게임레벨의 공간구조 및 구성요소를 파악하였다. 3종의 FPS게임에서 게임레벨 204개를 대상으로 관찰실험을 진행하고 게임레벨 목표에 따른 공간 구성요소 분포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게임레벨의 목표에 따라 플레이공간에서의 경험적 행동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이것을 유도하는 공간구조는 차별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