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visualization of Interaction on Game Character's Quest Play : Towards of Narrative Structure

내러티브 구조 관점에서 본 게임 캐릭터의 퀘스트 플레이에 대한 인터랙션 사전 시각화

  • Kim, Mi-Jin (Dept. of Digital Contents, DongSeo University) ;
  • Woo, Kim-Sang (Dept. of Digital Contents, DongSeo University)
  • 김미진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 김상우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Received : 2010.11.03
  • Accepted : 2011.01.04
  • Published : 2011.04.20

Abstract

A game designer is the initial design of the quest based on narrative. It is important that to predict game character of play experience to establish these static content. This paper deal with player's affective interaction distinguishing among game characters are perform quest-play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 status. To achieve this, First of all, previous studies regarding pre-visualization of narrative structure for other visual media are reviewed. Secondly, it is specified that quest-play experience and player's cognitive behavior. At last, these features of status by character were pre-visualized with QUG(Quest Unit Graph), which could be represented differences in precess of quest-play through analysis on world of warcarft game. Previous research is about of numerical balance in terms of character's achievement, wherea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s proposed that visual model of quest-play interaction focused on narrative structure to predict game designer's architecture of quest experience.

게임기획자는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퀘스트의 초기 설계를 한다. 이러한 게임의 정적 컨텐트 수립에 있어 게임캐릭터의 플레이경험을 사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은 게임캐릭터가 고유한 스테이터스를 바탕으로 퀘스트 플레이를 수행함에 있어 캐릭터간 구별되는 정서적 인터랙션을 시각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 영상매체에서 내러티브 구조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둘째, 퀘스트플레이 경험과 플레이어 인지행동을 구체화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해 캐릭터별 퀘스트플레이 과정에서의 차이를 QUG(Quest Unit Graph)로 시각화하여 직관적인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존 연구가 캐릭터별 성취(achievement)관점에서의 수치적 밸런스 대한 것에 반해, 본 논문은 내러티브 구조 관점에서 퀘스트플레이 인터랙션에 대한 시각화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기획자의 퀘스트 경험설계를 사전 예측해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Rich Vogel, "Static vs. Dynamic Content in MMOG", Game Developer Conference, 2004.
  2. 박동숙, 전경란, "상호작용 내러티브로서의 컴퓨터 게임 텍스트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 45, no. 3, pp.69-106, 2001.
  3. Chris Klug, "Implementing Stories in Massively Multiplayer Games", Gamasutra Magazine, CMP media inc, 2002
  4. 김미진, 김재준, "RPG 게임캐릭터의 정적 발란싱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5, no. 5, 2005
  5. Ernest Adams, "Balancing Games with Positive Feedback", Gamasutra Magazine, CMP media inc, 2002
  6. Seymour Benjamin Chat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1980.
  7. 김미진, 윤선정, "PG게임캐릭터 중심의 게임스토리텔링 구성요소 분석"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5권 제3호, 2005.
  8. Michael G. Dyer, "Understanding computer understanding of narrative text", Mathematical Social Sciences, Vol. 6, Iss. 3, pp.353-395, 1983. https://doi.org/10.1016/0165-4896(83)90068-9
  9. Wendy G. Lehnert, "The role of affect in narrative structure", Cognition & Emotion, Vol. 1, Iss. 3, pp. 299-322, 1987. https://doi.org/10.1080/02699938708408053
  10. 김미진, 김재호, "게임플레이 가능성을 위한 감정요소 분석 프레임워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2010.
  11. Kavakli& Thorne, "A cognitive modelling approach to capturing the context of complex behavior in gameplay", Proceeding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 applications (ICITA), 2002.
  12. 월드오브워크래프트(World of warcraft) 공식홈페이지 (http://www.worldofwarcraft.co.kr/)
  13. Sweller, John, "Cognitive load during problem solving: Effects on learning", Cognitive Science :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 12, No. 2, pp. 257-285, 1988.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1202_4
  14. 송승근, 김미진, "MMO게임의 게임플레이 행동 패턴에 관한 프로토콜분석", 한국디자인학회논문지, 통권 79호, 제 21권, 제 5호, 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