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form strategy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36초

멀티 플랫폼 기반 온라인 서비스 전략: 온라인 트레이딩 서비스의 플랫폼 간 비교를 중심으로 (Online Service Strategy For Multi-Platform Age: Comparison of Online Trading Service Platforms)

  • 심선영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1호
    • /
    • pp.29-52
    • /
    • 2014
  • As the advance of multi-platform and multi-channel online services, brokerages are now offering three representative online trading systems - HTS(Home Trading Systems), WTS(Web Trading Systems), MTS(Mobile Trading Syste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impact of different systems on the performance of brokerages. Using the panel data of 29 brokerages of 4 periods, we empirically tested the impact of online trading systems and the commissions of trading services. We found out that there exist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impacts of online trading systems based on the platforms. HTS was identified as the main platform for online trading services. However the role of MTS was also significantly identified while WTS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brokerage performances. Commission also showe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in case of HTS and MTS platforms. Finally, offering MTS was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dummy variable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brokerages. The results provides some implication for the multi-platform strategy for online services.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혁신 생태계 구축 지원을 위한 이종데이터 기반 통합 플랫폼: 생명·보건분야를 중심으로 (Integrated Platform on the Basis of Heterogeneous Data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n Innovative Ecosystem for National High-Performance Computing: Focusing on Life Science & Public Health Area)

  • 이도연;고명주;함재균;김근환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14
    • /
    • 2023
  • To secure national future competitiveness,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National Ultra-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 Innovation Strategy (2021.5.28.)』 and set three innovation strategy goals throughout establishing an innovation ecosystem. This study presented a heterogenous data-based strategic support framework that allowed to understand both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 foreign R&D areas and domestic industrial economy areas in terms of strategic fields related to ultra-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life science and public health area. The HPC innovation ecosystem platform based on the connection of heterogeneous data (domestic R&D project-technology-industry-overseas R&D project)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d useful and essential information that allowed establishing a specific action plan for the national HPC innovation strategy and contributing to vitalizing the innovation ecosystem. Since the evidence-based policy assumes that a more reasonable consensus is reached through a non-biased decision- making process among stakeholders, the proposed platform may contribute to enhancing policy momentum by increasing legitimacy and trust of planning of the national HPC strategy.

플랫폼기반 ERP+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latform-Based ERP+ System Design)

  • 승지초;김창해;권영직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4호
    • /
    • pp.95-103
    • /
    • 2015
  • In this paper, we designed a platform-based $ERP^+$ system, which integrates ERP system and SCM system. With platform-based technology we can connect online and offline platforms, enterprise management systems, and government systems. In our research, first we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ERP systems, and second we discussed all basic tasks of our $ERP^+$ system. We also designed several modules for this platform-based system and system network. Our results showed that a platform-based $ERP^+$ system can effectively manage the information and the human/material resources, by using O2O (online to offline) technic. Even different systems can be integrated effectively. It can reduce the costs of enterprise management activities, enhance the enterprise competitiveness.

뉴노멀 시대의 디지털 기반 전략경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based Strategic Management on the New Normal Era)

  • 노규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51-160
    • /
    • 2021
  • 본 연구는 뉴노멀 시대에의 경쟁우위 확보 및 생존을 위한 전략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경영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기업 CEO 10인의 집중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19에 의한 뉴노멀과 이로 인해 야기된 경영환경 변화 트렌드 및 대응 전략 유형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과 분야에서 전개될 수 있는 전략 대안 가운데 기업의 디지털 기반 경영 및 사업 수준의 전략 대안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기업 수준의 디지털 기반 전략 대안으로는 사업구조 리디자인 전략,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 ESG 경영전략,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제시하였다. 사업 수준의 디지털 기반 전략 대안으로는 산업구조 리딩의 디지털전략, 디지털 혁신의 경쟁전략, 개방형 혁신의 플랫폼 전략, 고객 가치 지향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의 전략을 보다 체계화하고자 하는 시도였다는 점과 어려운 상황을 슬기롭게 대처해야 하는 기업들의 전략적 대응을 보다 체계적으로 시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여를 하였다.

승강장 혼잡관리를 위한 열차의 정차시간 예측모형 (Development of the Train Dwell Time Model : Metering Strategy to Control Passenger Flows in the Congested Platform)

  • 김현;이선하;임국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5-27
    • /
    • 2017
  • 열차 정차시간 증가는 열차 서비스 빈도를 감소시켜 열차와 승강장의 혼잡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열차 정차시간(Train dwell time)에 관한 연구는 열차 운행 계획수립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 왔다. 본 논문은 계획된 정차시간을 준수할 수 있도록 승객의 유입을 관리하여 승강장 혼잡을 줄일 수 있는 전략들에 활용할 수 있는 실시간 열차 정차시간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특징은 실시간으로 수집 가능한 승차인원, 하차인원, 그리고 열차의 중량 등 3가지 독립변수를 적용하였고, 모형의 설명력(${\bar{R^2}}=0.809$)이 대체적으로 정확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시간 정차시간 모형은 열차가 계획된 정차시간을 준수하도록 승차 승객 수를 조정하는 게이트 미터링 전략에 활용될 수 있다.

Advantage of Online Platform of the Real Estate and Its Marketing Strategy

  • Samha, HA;Jaewoong, WON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3호
    • /
    • pp.1-8
    • /
    • 2023
  • Purpose: One of the eldest businesses in the realm is the real estate market and it has been dominated by offline sales and marketing tactics for decades. However, the home-buying process today is made simpler and more effective for purchasers thanks to internet platform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terms of advantage of online platform of the real estate and its marketing strateg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For checking and collecting proper literature resources, content literature investigation used and it would be fitted for this research based on numerous prior studies in the realm of marketing strategies and online platforms of real state. Results: Online real estate platforms provides the availability of a broad range of properties for buyers and sellers, and connects buyers and sellers with nearby real estate mediators and agents. Finally, we figured out that utilizing real estate agents might have a huge positive impact on real estate agents. Conclusions: As online platform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for real estate professionals, practitioners must be aware of the changes in technology and the resulting implications for how they market and sell property.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 effect of online platform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overall accomplishment of real estate businesses.

Platform 기반의 PCS 개발전략 (A Strategy for Developing a Platform-based PCS)

  • 조인준;강호현;고광수;김희중;김영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435-436
    • /
    • 2019
  • 본 논문은 Platform 기반의 PEBB(Power Electronics Building Block)을 이용한 계통연계형 에너지저장시스템(ESS) PCS의 개발전략과 효율적인 운용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Platform Design이란 표준제조 공정을 통해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 내는 기술을 뜻한다. 이 Platform으로 생산되는 Modular PEBB(Power Electronics Building Block)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량대의 제품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25kW에서부터 2MW제품까지 병렬확장이 가능하다. PCS의 Platform화로 시스템 용량 확장이 용이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의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부분 운전을 통해 운영 효율 향상과 PCS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latform 기반의 PCS의 물리적 및 제어적 구조를 설명하고, 개발전략의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공공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Digital Signage Services)

  • 안성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85-196
    • /
    • 2021
  •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의 시범사업 중 하나인 '세종특별시 디지털 사이니지 국가시범사업'을 위한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플랫폼인 '디지털 사이니지'를 '공공 서비스 콘텐츠 플랫폼'으로 보고 콘텐츠의 배치를 계획하기 위한 전략이 기술우위 공급자 대신 해당 지역 커뮤니티 또는 사용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전제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첨단 기술 기반의 공공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공공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개발 전략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동 전략을 쉽게 수립하거나 실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툴'들을 설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 기능'을 '디지털 광고 기능' 뿐만 아니라 '공공 및 문화 서비스 기능'으로 확대, 발전시키는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최종 목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혁신적인 활용을 통해 '세종시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가 창출하는 공공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방송 플랫폼별 콘텐츠 유통 성과 (Performance of Broadcasting Contents by Platforms)

  • 김숙;송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81-96
    • /
    • 2015
  • 본 연구는 멀티 플랫폼 시대 방송 콘텐츠 유통 특성에 대한 함의를 얻고자, 실시간 방송, VOD, SNS 등 각 플랫폼에서 경쟁력 있는 방송 콘텐츠가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그리고 이들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실시간 방송에서는 지상파 방송의 드라마 프로그램이 현저히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반면, 유료방송이 제공하는 VOD 서비스에서는 예능 프로그램이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시간 방송 시청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이라 할지라도, 상대적으로 젊은 시청층에 소구하는 경우 VOD 성과가 높게 나타날 개연성이 높았다. 교양 프로그램은 실시간 시청률과 VOD 성과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셋째, 실시간 방송에서의 성과와 후속 플랫폼인 VOD 성과 간에 분명한 상관관계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VOD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셜 미디어에서의 버즈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멀티 플랫폼 시대의 방송 콘텐츠 유통은 프로그램별 주요 시청자 층에 대한 세분화와 분석, 그에 기반한 플랫폼 전략이 함께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인공지능 비즈니스 생태계 연구: 다행위자 네트워크 관점에서 (Understand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Business Ecosystem for Digital Transformation: A Multi-actor Network Perspective)

  • 황윤민;홍성원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4호
    • /
    • pp.125-141
    • /
    • 2019
  • 알파고로 대변되는 딥러닝 기법의 등장으로 인공지능은 기업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주제로 급부상했다. 산업 내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방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재 진행 중인 인공지능 비즈니스 생태계 참여자들 유형 및 활동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행위자 네트워크(Multi-actor network)관점에서 인공지능 비즈니스 생태계 내부와 외부 참여자들의 활동을 분석하고 플랫폼 전략 유형을 규명하였다. 인공지능 비즈니스 생태계 내부 세 개 계층(인프라스트럭처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 데이터 계층)에서 사업자들은 네 가지 플랫폼 전략 유형으로(기술수직×비즈수평, 기술수직×비즈수직, 기술수평×비즈수평, 기술수평×비즈수직) 인공지능 비즈니스가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 비즈니스 생태계 외부에는 다섯 행위자들이(사용자, 투자자, 정부 정책가, 학계 등 컨소시엄, 시민단체) 공존 및 지속가능한 인공지능 비즈니스 생태계를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인공지능 비즈니스 생태계 분석 프레임워크 및 인공지능 플랫폼 전략 모델을 제시하였고, 실무적으로 플랫폼 관점의 인공지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방향과 지속가능한 인공지능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 학계 등의 역할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