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que pH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1초

구취발생과 구강환경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Developments and Oral Environmental)

  • 지윤정;김정술;이정화;전은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1-107
    • /
    • 2010
  • 본 연구는 구취의 원인을 분류하고, 각 성분들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환경 요인들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여 구취환자 개개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구취관련의 올바른 보건교육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으며, 2009년 3월 1일부터 2010년 3월 1일까지 1년간 대도시 소재 치과병원 외래환자 9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취의 각 성분인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및 Ammonia의 평균 수치는 Hydrogen sulfide 36.71 ppb, Methyl mercaptan은 31.46 ppb, Dimethyl sulfide는 54.33 ppb, Ammonia는 22.60 ppm로 나타났고, 정상과 역치 이상의 검출비교 결과 Dimethyl sulfide는 46.9%가 역치 이상으로 검출되었고, Ammonia는 연구대상자 중 52%가 역치 이상으로 검출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Hydrogen sulfide 성분의 양에 따라 Dimethyl sulfide 성분의 양, 설태의 양과 타액 분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Methyl mercaptan 성분의 양은 Dimethyl sulfide의 성분과 설태량, 타액 분비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4. Dimethyl sulfide성분의 양은 Hydrogen sulfide성분, Ammonia성분과 관련이 있었으며, 설태의 양, 타액분비율, 타액내 수소이온농도지수와도 관계가 있었다(p<0.05). 5. Ammonia성분은 Methyl mercaptan성분과 Dimethyl sulfide성분, 치주필요지수(CPI), 타액 분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유산구균 1370의 수용성 글루캔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SOLUBLE GLUCAN BY LACTOCOCCUS LACTIS 1370)

  • 오인근;양규호;정진;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5-191
    • /
    • 2000
  • Streptococcus mutans가 치태를 형성할 때, 유산구균 1370 (Streptococcus lactis 1370)이 생산하는 수용성 글루캔이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인자에 의한 수용성 글루캔 형성 정도를 유산구균 1370배양 상청액의 흡광도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5% 자당이 첨가된 M17 broth에서 유산구균 1370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는 높고 Streptococcus mutans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는 낮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2. M17 broth에 10% 자당을 첨가하여 유산구균 1370을 배양할시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는 첨가하지 않을 때보다 높았다. (p<0.05), 배지 pH가 5에서보다 7에서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가 더 높았다(p<0.05). 3. $32^{\circ}C,\;37^{\circ}C,\;42^{\circ}C$$37^{\circ}C$에서 배양시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가 가장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고, 호기성 배양시보다 혐기성 배양시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가 더 높았다(p<0.05). 4. 배지의 $CaCl_2$ 농도가 1.0mM에서 (p<0.05), KCl 농도가 2.5mM에서 (p<0.05) 배양 상청 액의 흡광도가 높았다. 5. M17 broth에 5% 자당을 첨가한 배지에 유산구균 1370을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 상청액과 배지를 1:3으로 가한 비커와이어 검사에서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하여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5.6mg으로 5% 자당을 첨가하지 않을 때의 103.0mg에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유산구균 1370에 의한 수용성 글루캔의 형성은 자당이 함유된 배지나 세균 증식이 잘 되는 조건에서 증가하였으며, 수용성 글루캔이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였다.

  • PDF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Grown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 Lee, Jae-Hoon;Cho, Soo-Muk;Kim, Hwan-Mook;Hong, Nam-Doo;Yoo, Ick-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52-55
    • /
    • 1997
  • Polysaccharides were extracted from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grown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The in vitro immunostimulating activity was measured by plaque-forming cell (PFC) assay. The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s was different from that of mycelia from which was extracted. The number of PFC's ranged from 40 to 600 depending on the media. When P. linteus was cultured on a medium with mannose or starch as a sole carbon source, the fungus produced polysaccharide with the highest activity of 960 PFC. Activity was therefore increased by $50%$ compared with polysaccharide which was extracted from mycelia grown on medium with glucose. pH had little effect on the change in activity. All polysaccharides on media with different pH stimulated about 600 PFC.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ity could be increased by polysaccharide modification through changes in physiological conditions.

  • PDF

정신지체 장애인의 구강보건 교육에 따른 구강보건 행태 변화 (Oral Health Behavior Changes Based on Oral Health Education of Mental Disabilities)

  • 최주현;이명희;서화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4-412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인의 구강건강을 위해 특수교사 및 보호자의 구강건강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장애인 스스로 올바른 구강용품 사용과 행위로 구강청결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 지역 H 장애인 복지시설과 E 장애인 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정신지체 장애인 총 93명을 대상으로 보호자 및 특수교사로부터의 설문지 응답과,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잇솔질 교육, 식이조절, 구강보조용품 사용 등의 구강보건 교육과 간이구강위생지수, 치면세균막 지수, 개량 구강위생상태를 확인하는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신지체 1급과 2급, 3급의 잇솔질 교육 후 실천도를 조사한 결과, 정신지체 1급의 경우, 아침식사 전에는 변함이 없었다. 아침식사 후는 2차 교육 이후에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지만 3차 교육 후에는 다시 교육 전과 같았다. 둘째, 장애유형과 교육 횟수에 따른 간이구강환경지수의 변화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으나 장애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횟수와 간이구강환경지수의 차이가 있는지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간이구강환경지수는 시간에 의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961, p<.01). 넷째, 장애유형별 치면 세균막 상태의 변화는 시간에 의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사후검증결과 1차와 4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5.126, p<.05).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도 변화는 성별, 연령, 장애유형, 교육기관, 학력 정도 등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인의 잇솔질은 2차교육 때까지 잇솔질 횟수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이후 잇솔질 횟수의 감소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잇솔질 교육을 받은 후, 처음에는 흥미를 갖고 잘 실천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흥미를 잃어 원래의 생활 패턴으로 돌아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간이구강환경지수나 치면 세균막 지수 등의 결과로 볼 때 올바른 잇솔질 방법으로 구강청결도는 증가함을 보였다. 장애인의 구강보건 교육은 잇솔질 교육을 장기간 하는 것보다는 주기적으로 흥미를 유발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장애인의 구강건강 향상을 증진시키는 것이라 생각한다.

수종의 유기산이 법랑질 인공우식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UR KINDS OF ACID AND CONCENTRATION ON THE FORMATION OF ARTIFICIAL CARIOUS LESION IN HUMAN TOOTH ENAMEL)

  • 금기연;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2호
    • /
    • pp.470-488
    • /
    • 1996
  • The end products of the metabolism of the oral microorganism, organic acids, are an element that produces dental caries. Four organic acids in plaque fluid, lactic 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 propionic acid which take the important role in producing dental caries, were chosen to evaluate the effect of acid type and concentration. The subject, $100{\mu}m$ in thickness, were immersed in acid-buffer solution which has the different acid concentration of 10mM, 25mM, 50mM, 100mM and pH 4.3 and degree of saturation was $0.153{\pm}0.003$ kept in constant and were operated to produce artificial caries under different demineralization time (1, 2, 3 day) at x25.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observing under polarizing microscope at x25. 1. The subsurface lesion, specific finding of incipient enamel caries, showed positive birefringence. but surface zone and sound enamel showed negative birefringence. 2. The demineralization rate of enamel was increased as the acid concentration increased. 3. The subsurface lesion showed increasing depth in the order of lactic, acetic, propionic acid, succinic acid. 4.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acid in artificial caries system had an independent effect on demineralization rate in enamel under the constant pH and degree of satur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not only pH and the acid strength but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acid had an independent effect on demineralization rate in early enamel caries. And through the further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enamel demineraliz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caries preventive therapy.

  • PDF

황색포도상구균 박테리오파지의 저감화를 위한 물리화학적 처리 효과 (Eff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for Reduction of Staphylococcal Phages)

  • 백다윤;박종현;조성래;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6-114
    • /
    • 2019
  • 본 연구는 황색포도상구균 박테리오파지를 물리화학적 방법을 통해서 제어하기 위해 황색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하는 SAP 84 와 SAP 89를 신규 분리하였다. 그리고, 황색포도상구균 박테리오파지에 대해 물리적 방법으로 $55^{\circ}C$$60^{\circ}C$ 열처리와 pH 4, pH 7, pH 10 처리하였다. 그 결과 SAP 84는 $60^{\circ}C$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SAP 89는 $60^{\circ}C$에서 25 분 만에 모두 활성을 잃었다. SAP 84는 pH 4 ~ 10에서 매우 안정적이었고 SAP 89는 pH 10 이상에서 비교적 불안정해지는 것을 보였다. 화학적 방법으로는 에탄올과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FAS 처리를 하였다. SAP 84가 50%, 70% 에탄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살균력이 좋은 100 ppm의 차아염소산 나트륨에서도 SAP 84와 SAP 89는 상당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Virucidal agent로 사용되는 FAS를 10%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SAP 84와 SAP 89 모두 처리 직후부터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SAP 84와 SAP 89 모두 화학적 처리 방법인 FAS 처리를 통해서 제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SAP 84는 물리적 방법인 열처리의 저감화 효과가 좋았으며 SAP 89는 화학적 방법인 에탄올 처리의 저감화 효과가 비교적 좋았다. 이렇듯 물리화학적 처리방법으로 황색포도상구균 박테리오파지를 제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플란트 환자의 계속구강건강관리 효과 (The Effect of Following Oral Health Care on Implant Patients)

  • 김영선;오미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91-496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H치과의원에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내원한 임플란트 환자 152명을 대상으로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치면세균막관리점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치면세관균막리점수는 4차 방문(교육종료)이 65.37로 1차 방문(교육전)의 32.89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 = .000), 계속관리주기별 점수는 3개월이 56.27로 교육종료시 점수보다 다소 회귀되었으나, 6개월 60.44, 9개월 64.72로 계속관리가 지속되면서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 = .000). 2. 성별에 따른 치면세균막관리점수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은 치면세균막관리점수를 보였으며, 계속관리주기 3개월이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39). 3. 교육종료 시 치면세균막관리점수를 69점 이하인 A그룹과 70점 이상인 B그룹으로 나누어 계속관리주기별 점수와 비교 분석한 결과 3개월, 6개월, 9개월 모두 B그룹이 A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0). 이상의 결과에서 교육전 낮은 치면세균막관리점수가 반복 교육 및 계속관리를 통해 높아졌으며, 이는 체계화된 맞춤형 계속구강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인지적 행동변화가 일어나 올바른 구강관리 습관이 정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treptococcus sobrinus의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INSOLUBLE GLUCAN BY STREPTOCOCCUS SOBRINUS)

  • 정진;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0-97
    • /
    • 2000
  • 치태의 형성은 이온, 효소, 영양물질, 화학물질 등과 같은 구강내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들과 이들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치태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강내 연쇄상구균인 Streptococcus sobrinus를 공시균으로,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과 세균 증식 에 미치는 여러 인자들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treptococcus sobrinus 배양 배지의 pH가 7.0일 때 비수용성 글루캔이 가장 많이 합성 되었고, pH 5.5와 pH 8.5에서는 그 합성이 감소하였다. 세균 증식도 pH 7.0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2. 효모 추출물은 2.5%일 때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과 세균증식이 모두 활발하였다. 자당의 경우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은 감소하여 1.25%보다 20%에서 합성이 10배 정도 감소하였으나, 세균의 증식은 20배 정도 증가하였다. 3. 배지의 calcium chloride 농도가 1.0mM, potassium chloride 농도가 40mM, magnesium chloride 농도가 0.1mM 이었을때 비수용성 글루캔의 합성이 가장 활발했으나, 세균의 증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Sodium bicarbonate 10mM에서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과 세균의 증식 이 모두 활발하였으며 100mM 이상에서는 모두 억제되었다. Tris 10mM에서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과 세균의 증식이 모두 억제되었으며 100mM 이상에서는 모두 증가되었다. 5. Sodium phosphate와 potassium phosphate는 10mM 이상에서 비수용성 글루캔 합성과 세균증식이 모두 억제되었다.

  • PDF

Streptococcus salivarius의 요소분해효소 활성에 관한 연구 (UREASE ACTIVITY OF STREPTOCOCCUS SALIVARIUS)

  • 정상백;최호영;민병순;박상진;이진용;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43-53
    • /
    • 1998
  • Dental caries is induced by organic acids produced by oral bacteria. In order to prevent dental cari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maintain neutral pH in the oral cavity. Urea plays a major role in oral pH homeostasis. Urea is hydrolyzed by bacterial ureases to ammonia, causing a pH elevation. Streptococcus salivarius has been shown to be a major contribution to oral ureolysis. Synthesis of urease by S. salivarius appears to be constituitive, but can be greatly enhanced by low pH. It is, therefore, conceivable that ureolytic activity of S. salivarius from a carious les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bacterium from a healthy tooth. In the present study, urease activity of S. salivarius isolates from dental plaque of carious lesions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isolates from plaques of the teeth and the dorsum of the tongue; 45 S. salivarius strains were isofated from carious lesions(>C2) of 21 individuals with dental caries and 30 strains from 10 individuals without dental ca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the 21 individuals with dental caries harbored ureolytic S. salivarius whereas 3 of 13 individuals without dental caries harbored non-ureolytic strains of S. salivarius. 2. All the 45 S. saliuarius isolates from carious lesions showed urease activity. In contrast, of 30 isolates from individuals without dental caries, 17 isolates(56.7%) did not demonstrate urease activity, or if any, very little(<5${\mu}mol$/min/mg). 3. Urease activity of the isolates from carious lesion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isolates from individuals without dental caries : the urease activity ranged from 42 to $381{\mu}mol$/min/mg and from 0 to $208{\mu}mol$/min/mg, respectively. 4. At acid pH(5.5), the isolates which showed intermediate urease activity at pH 7.0 demonstrated even higher activity whereas the isolate with no or lower urease activ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ctivity. However, the isolates with the greatest urease activity from both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dental caries, exhibited a rather much lower urease activity at pH 5.5.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isolates may have their own urease activity but the isolates exposed to chronic acidic environment of the carious lesion might elevate urease activity of S. salivarius, which in turn, might influence on survival of S. salivarius itself and other bacteria, establishing a new oral bacterial ecosystem.

  • PDF

Vp28 of Shrimp White Spot Syndrome Virus Is Involved in the Attachment and Penetration into Shrimp Cells

  • Yi, Guohua;Wang, Zhimin;Qi, Yipeng;Yao, Lunguang;Qian, Juan;Hu, Longbo
    • BMB Reports
    • /
    • 제37권6호
    • /
    • pp.726-734
    • /
    • 2004
  • White spot disease (WSD) is caused by the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which results in devastating losses to the shrimp farming industry around the world. However, the mechanism of virus entry and spread into the shrimp cells is unknown. A binding assay in vitro demonstrated VP28-EGFP (envelope protein VP28 fused with enhanced green fluorescence protein) binding to shrimp cells. This provides direct evidence that VP28-EGFP can bind to shrimp cells at pH 6.0 within 0.5 h. However, the protein was observed to enter the cytoplasm 3 h post-adsorption. Meanwhile, the plaque inhibition test showed that the polyclonal antibody against VP28 (a major envelope protein of WSSV) could neutralize the WSSV and block an infection with the virus. The result of competition ELISA further confirmed that the envelope protein VP28 could compete with WSSV to bind to shrimp cells. Overall, VP28 of the WSSV can bind to shrimp cells as an attachment protein, and can help the virus enter the cytopla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