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ning for Residential Space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6초

노인동거가족의 주택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in Housing of a Three generation Family)

  • 이연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55-16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ribe the stress in housing of a three generation famil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m 467 housewives living in a three generation family households. Major finding were as follow: The female elderly was the most popular type. Married children tended to live together with the forced feeling of responsibility rather than with a volunteering attitude. Many good points steming from three generations living together. however, were recognized by the housewives. This will provide suport to reevaluationg the value of the elderly in this industrial society. The felt stress and expressed various undesirable behavioral adjustments and constraints in relation to the stress. Several planning concepts including privacy, storage space, and soundproof were suggested to enchance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family.

  • PDF

학교건물의 정보통신기반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for Educational Buildings)

  • 박동소
    • 교육시설
    • /
    • 제9권5호
    • /
    • pp.5-12
    • /
    • 2002
  • High-speed telecommunication has brought variety of changes in every field of the world at large. In the field of education, use of multimedia has been positively introduced as teaching and learning tools. In addition, introduction of remote education as well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as led an educational system gone into melting pot. These changes have known to be impossible without the provision of the infrastructure of telecommunications such as cabling, cable pathway, telecommunication equipments, and space for the equipments. Although the infrastructure of telecommunications should be fully considered from the early stage of the building design, most of the existing buildings have only cabling for voice communication such as telephone. As a result, heavy expenses ar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new telecommunication equipments. Such problems as defilement of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and a falling-off in reliability of telecommunication line are caused by the exposed cabling, when the cabling pathway and/or the space for the equipments are not reserved. Considering over 70% of error in telecommunication is coming from the cabling in building, it is necessary to reserve the space for efficient maintenance of the cabling and the equipments. In recent years, the national standard(TTAS.KO-04.0005) on the reservation of space for telecommunication cabling and equipments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 is established and applied for the building design. As well, the standard is in force for the educational buildings. In this study, we try to provide the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in educational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operation of education information and ICT.

아파트의 형태에 따른 범죄유형과 범죄예방 방법 모색 (The Search of the Crime Prevention Method through the Crime Pattern to Apartment Type)

  • 최환영;채종민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31
    • /
    • 2007
  •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비하여 인구밀도가 높아 광복 이후 도시에는 아파트에 많은 인구가 살아 왔고, 최근 재개발 및 재건축으로 도시를 재정비함에 있어서도 아파트가 주된 건설 형식으로 진행 중이다. 그러나 도시화와 산업화로 이웃 간에 온정이 사라지고, 개인주의와 사생활 보호, 익명성 등으로 아파트 거주민들은 이미 범죄에 노출되어 있고, 이러한 현상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시 되었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1960년대 말부터 도시의 환경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방어공간(Defensible Space)이론,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이론(CPTED)을 통하여 환경과 범죄간의 연구를 발전시켜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판교신도시 건설 및 부천시의 도시개발 계획 등에서 환경과 범죄의 관계를 반영하여 범죄가 발생하기 어려운 도시환경을 만들고자 민(民), 관(官), 학(學), 경찰(警察) 등 여러 분야에서 머리를 맞대고 연구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시각으로 아파트의 형태별 범죄유형을 분석하였다. 아파트의 분류 방법 중 평면의 형식에 따른 분류로 계단실형 아파트와 편복도형 아파트를 기준으로 하고, 거주민들이 발생면(發生面)이나 빈도면(頻度面)에서 가장 많이 체감(體感)한다고 볼 수 있는 절도사건의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창원시내에서 발생하여 경찰에 신고된 절도사건을 중심으로 주거침입절도, 오토바이 및 차량 등 절도, 노상에서 발생하는 날치기, 기타 등으로 분류를 하였고 창원시내 아파트 중 서로 인접하여 비슷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비교대상 아파트 12개를 선정하여 계단실형 아파트와 편복도형 아파트를 분류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거침입절도는 계단실형과 편복도형 아파트에서 비슷한 비율로 발생하였고, 오토바이 및 차량 등 절도는 편복 도형에서, 날치기는 계단실형 아파트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특히, 다양한 여러 세대가 함께 거주하는 아파트에서는 다른 지역과 달리 오토바이 및 차량 등 절도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지상 및 지하 주차장에 대한 방범대책이 요구된다.

  • PDF

서울시 도시환경정비사업 내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Policies for Activating Public Open Space in Urban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 of Seoul City)

  • 김도경;김건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1-32
    • /
    • 2011
  • 지구단위계획에서는 형식적으로 조성되는 경직된 제도의 모습을 벗어나기 위하여 구역 내 총체적인 계획의 일부분으로 건물 세부 기준뿐만 아니라, 공개공지의 배치, 형태 및 포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2005년 수립)이 그동안 도심부의 여건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재정비되면서 구역별 개발유도 지침에 공개공지 부문이 세분화 되었다. 이러한 제도가 공개공지계획에 있어 실효성 있는 제도인지 개정 전 후를 비교해 본 결과, 도시 및 주거 환경정비법 상 공개공지 관련 수립지침의 부재로 공개공지계획 시 공통적으로 지켜야 하는 건축법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 항목이 신설되어 개정되기 전과 괄목할만한 변경사항이 없다는 분석 내용이다. 지구단위계획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지구단위계획 상 공개공지계획은 상위법인 건축법, 서울시 건축조례와 동일한 조성 기준이 한가지만 존재하고, 대부분은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을 통해 신설된 조성 기준들이다. 반면,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상 공개공지계획의 속성은 절반이 상위법인 건축법과 서울시 건축조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이다. 건축법과 같은 공통적으로 지켜야 하는 상위법에서는 설치기준 등과 같은 필수적인 요소들의 나열이라면, 하위법에서는 주변 환경과 공개공지의 적극적인 연계로 공개공지의 의의에 맞게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미시적인 측면의 조성 기준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공간구문론과 GIS를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 (Locational Decision of the Viewpoint Using GIS and Space Syntax)

  • 최철현;정성관;이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3-68
    • /
    • 2011
  • 경관평가에 있어서 선행되어져야 할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과정이 바로 조망점의 선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조망점의 선정방식은 정확한 지표나 근거없이 평가자의 주관적이고 인위적인 방식에 의해 선정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조망점 선정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삼덕3주거 개선지구를 대상으로 거리 및 방위에 의해 24개의 섹터로 가시권 범위를 분절하였다. 그 후, 공간구문론의 축선도 분석과 가시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는 후보조망점을 선정하였다. 조망점 가치판단지수를 통해 최종적인 조망점을 선정한 결과, 근경인 VP-2 조망점의 VEI값은 112.63, 중경인 VP-10 조망점은 18.31, 원경인 VP-18 조망점은 5.55로 분석되었으며, 모두 국채보상로 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선정된 조망점은 공공기관, 공원, 고밀도 주거공간 등과 같이 인구유동량이 많아 조망기회가 높고, 동시에 경관변화율이 큰 지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조망점 가치판단지수는 조망점을 정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밀양(密陽) 경덕단(景德壇)과 만운재(萬雲齋)의 건축적 특성 - 근대한옥의 성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Kyungduk-Dan and Manun-Jae in Miryang -Mainly about the Characterics of Traditional Houses in modern era(1876-1945)-)

  • 이호열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1호
    • /
    • pp.9-23
    • /
    • 2001
  • This study is for the Kyungduk-Dan(as a altar of Milsung-Daegun) and The Manun-Jae the characteristics(lay out and planning, window patterns, structure, materials) of the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during the modern era. Before Manun-Jae was used for the house. The Kyungduck-Dan was constructed in August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er in 1927. The Manun-Jae(house for Ki-hun Kang, millionaire ) was completed in 1924. Modern Architectures brought to Korea with the bricks, the tiles, the flash doors, the plate grasses, the brass hardwares. These architectural material was used in positive. During the construction of Manun-Jae in 1924, it happened the architectural exchage among a korean, a chinese and a japanese constructor. Though using the air exhaust valve at the kitchen of Ukyung-Kak( old Anchae), it could be assume that the modern convenience and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s was considered at that period during the construction of Manun-Jae. That construction was elected with the brick($222mm{\times}106mm{\times}50mm$), the chinese colored tile and plate glass such a modem materials. The new shape of the korean lattice window and the wooden flash-door with glass was used. In Ukyung-Kak, the Chan-Maru(service space) and the kitchen such as a service space or concise utility zone was organically connected. Especially, considered the domesitic activity and circulation, the western kitchen sink and the Chan-Maru(service space) was rationally placed. At the Manun-Jae and the Kyungduck-Da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is that the new shape of windows was used. The lattice window at the Ondol room of Ukyung-Kak, was rgadually added the plate glass and the wood plate. The lattice window with the grid shape at kitchen of that building was adapted japanese grid lattice window in korea at that period. It is the sample that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typically influenced from the japanese resident culture. The Manun-Jae and the Kyungduck-Dan as the modern house kept the form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was partially adapted a modern characteristic space and modern architectural materials. During the japanese occupancy, these residence can be showed the transition in formally.

  • PDF

단독주택 거주 고령자의 주거공간 만족도 및 일상생활행위 수행정도 (Housing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Daily Life Activities of Elderly in the Detached House)

  • 김현진;임희경;안옥희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
    • /
    • 2002
  • In this study, we made a survey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daily life activities on independent elderly households in the detached ho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for elderly housing design to be considered elder's characteristics. A survey carried out for 110 respondents with face to face interview visiting each house between May and June, 1999 with modified and drawn questionnaire from analysis of preparatory investigation data.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housing space, performance degree of the elder's daily activities. To analyze the data of 106 case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s, one-way ANOVA, reliability analysis and Scheffe test were used by running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n the housing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in daily life of elderly in the detached house were as follows.: In this survey, the elderly had high value in satisfaction with the size of current house as the mean 3.14 points, bu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rising of house as the mean 2.82 points. The satisfaction with living room space was the highest but the satisfaction with toilet space was lower than others. Among the activities of daily life in housing space, housing related activity was the hardest to perform as the mean of 3.15 points. In consequence, consideration on and interest in the planning of residential spaces are needed so that the elderly can perform the action of housing lif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 PDF

한.중 대학생의 주거관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Housing Viewpoi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안옥희;조영미;학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21-129
    • /
    • 2009
  • Today, we are living while interchanging with various countries in multilateral measures and residential culture have been changed while interchanging in the same manner. In order to become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er in this environment, we must understand the housing viewpoint of residents in that country first.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obtain the useful material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of Korea and China by comparing the housing viewpoint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Korean students. A survey us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05 Korean students and 193 Chinese students (Chinese race) from Y University on a random sampling basis. The result of survey is as follows. First, as bo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a similar tendency on previous house type, current house type, and desired house typ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y are similar each other in the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house type. Second,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and as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residence, bu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more functions of residence than Korean students. And,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consider a living room as the most important space among housing spaces, but Chinese consider a private room more importantly than Korean. Thir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stronger desire to possess houses, and desire to purchase houses with larger and more rooms at earlier time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urth, when selecting the hous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give a higher consideration in terms such as , , , , and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Fifth,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students on current houses was average as a whole, and most Chines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houses. Sixth, as both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consideration in the items such as safety>, , , , , , , , , , and compare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thought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ose items in housing planning.

Landsat 8 영상과 취약성 분석을 활용한 폭염재해 취약지역의 특성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t Wave Vulnerable Areas Using Landsat 8 Data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Analysis)

  • 김지숙;김호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4
    • /
    • 2020
  • 도시는 인구 및 기반시설의 집중과 집약적 토지이용으로 인해 재해 취약성이 높으며 이들 지역이 가진 지역적, 공간적 특성에 따라 취약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도 다양하다. 본 연구는 폭염지역의 취약원인을 살펴보기 위한 방법으로 Landsat 8 위성자료에서 추출한 지표온도와 폭염 재해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표온도가 높은 지역과 재해취약성이 높은 지역이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두 분석에서 공통으로 취약한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첩분석을 수행한 결과, 고밀도로 개발된 상업지역과 준주거지역의 비중이 높은 대상지 내 일부 지역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노출요인과 취약인구, 주거불량지역 비율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녹지확충과 주거환경정비와 같은 대안들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폭염피해 저감과 적응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수립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도시 내부의 지역적,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 폭염 원인의 정확한 진단과 그에 맞는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여 향후 그에 맞는 중장기적 대안들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이프스타일 기반 다학제적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 환경 선호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ference and Needs of the Multi-academic Young Single Family Based on Life Style)

  • 임준형;최인영;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1호
    • /
    • pp.249-260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2035년에 들어서는 34.6%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되며 이들 중, 우리나라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청년층 1인가구는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청년 주거지원을 확대실시하여, 공공지원 임대주택과 민간 청년임대주택, 청년 기숙사 공급 등 다양한 정부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른 청년층 1인가구의 정확한 주거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보급될 청년 주택 계획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청년층 1인가구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청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청년층 1인가구의 주거환경 선호 및 요구에 대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셋째, 청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공간사용특성과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 실내디자인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 12월에서 2019년 1월 초까지 학생과 직장인을 포함한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청년층 1인 가구 150명을 대상으로 SNS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간사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작은 면적인 청년 1인 주거에서 침실과 거실이 기본적 기능 외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계획시 이에 대한 추가적 고려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2)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별도의 침실과 거실 공간 확보를 요구하며,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거실공간에 대한 확장요구와 침실공간의 드레스룸 등의 수납 추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실내디자인 선호를 살펴본 결과, 모던스타일과 대표적 컬러인 무채색계열 색채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감재료를 선호하며, 조명은 간접조명 및 벽면을 이용한 은은한 조명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층 내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학생과 직장인의 차별적 실내디자인 선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실제 공공임대주택의 사례분석과 사용자 범위확대를 통하여 실질적인 주거환경니즈와 계획방안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