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value

검색결과 1,276건 처리시간 0.026초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장소애착이 장소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Users' Place Attachment on the Value of Public Libraries)

  • 이정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09-234
    • /
    • 2011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 간의 영향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해보고, 이용빈도, 거주기간, 이용목적, 웹사이트 이용경험이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계층적 회귀분석결과, 이용빈도와 거주기간이 '장소의존성'과 상호작용하여 '체험가치인식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에 대한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용목적별로 집단을 구분하고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와의 관계를 집단별로 분석하였다. 도서관 웹사이트 이용경험은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장소애착도라는 이용자의 감정적인 지표가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서 활용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 (Levels of Elementary Mathematics Underachievers' Understanding of Place Value)

  • 장혜원;임미인;강태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347-366
    • /
    • 2015
  • 초등 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선수학습요소의 결여가 하나의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수학 학습부진의 원인으로 자릿값 이해의 결여 가능성을 고려하여,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을 분석하고, 그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자릿값 개념의 과제 유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학 학습에서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교 3학년 학습부진아 10명을 대상으로 자릿값 개념 이해 검사인 SToPV를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수학 학습부진아들은 이전 학년에서 자릿값을 학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릿값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 유형에 있어서도 경향성이 있음이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 및 그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초등 수학 학습부진아의 자릿값 개념 진단과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지명의 브랜드 가치: 경제지리학적 접근 (The Brand Value of Place Names: Topics in Economic Geography)

  • 주성재;김희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1-449
    • /
    • 2015
  • 이 연구는 장소의 이름인 지명이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브랜드로서 지명이 갖는 가치의 본질과 그 평가 방법을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했다. 지명 브랜드는 복합적 요소를 갖는 장소의 속성이 반영되는 것이기 때문에 주체로서의 지명 사용자와 객체로서의 장소를 함께 고려하는 이해의 틀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시된다. 지명의 브랜드 가치 평가를 위해 소비자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하는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 개념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 평가의 항목들이 어떻게 구체화될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지명 브랜드 가치의 본질, 장소 정체성과의 관계, 장소마케팅의 영향, 지명의 노출이 갖는 의미, 지리적 표시제가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 지리적 표시 제품의 생산 범위 설정 등이 향후 연구가 필요한 개념적, 실증적 주제로 제안된다.

  • PDF

재래시장 장소성 해석을 위한 백화점과의 비교연구 - 남대문상권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Traditional Market with the Department Store for Placeness Analysis - Focusing on Namdaemun Market Area -)

  • 김인숙;김영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2호
    • /
    • pp.21-30
    • /
    • 2018
  • The traditional market has formed for itself through a long time thus has special value of the place. The tangible value of the traditional market is high, however, it became jeopardized to be dismantled since it can not cope with the consumption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Modern industrial society provides an inefficiently and standardized solution to the traditional market by ignoring the identity of place only by the value the traditional market in the law of large distribution industry.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placeness of Namdaemun traditional market by considering tangible value of place. The identity of the place was analyzed as a spatial configuration, space organization, and sense of place through the place's physical setting, activities, and meanings by Edward Ralph. Based on the analysis by Ralph, we analyzed the traditional market and compare to the department stor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of large scale distributor, using comparative method. We performed quantitative and integrative analysis for the placeness and provide a way to appraise the worth of the traditional market by deviating from the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

장소가치 개념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 방안 (Research on Place Branding Evaluation based on Place Value)

  • 어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9-209
    • /
    • 2013
  • 플레이스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보다는 확장된 의미이다. 따라서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활동들은 이와 같이 다양한 관계 구조를 지닌 장소의 특성을 이해하고 핵심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플레이스 브랜딩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장소와 가치라는 차원에서 재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새로운 평가체계의 구축은 다음과 같은 문제 제기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장소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새롭게 정의하여 플레이스 브랜딩 시스템의 정확성과 보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작게는 역동적인 플레이스 브랜딩 활동에 일익하고, 크게는 도시디자인 관련 평가 모델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용어의 분석과 비판: 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 (An Analysis And Criticism on Mathematics Terminologies Us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Focused on Some Examples)

  • 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여러 맥락에서 사용하는 '값', '꼭짓점', '높이'에 관해, 그 다음에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겨냥도', '머리셈', '영점 일의 자리/영점 영일의 자리/영점 영영일의 자리', '자릿수', '자연수 부분/소수 부분'에 관해, 마지막으로는 초등학교 교과서/익힘책에서 사용하는 중학교 수학용어 '거리', '수직선', '식의 값'에 관해 논의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결론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수학용어로서의 '값'을 강조해야 한다. '거리'는 중학교 용어인 바, 초등학교에서는 '높이'를 '선분의 길이'로 통일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체 표현이 가능한 '자릿수', '식의 값', '자연수 부분/소수 부분', '각뿔의 꼭짓점/원뿔의 꼭짓점', '머리셈'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셋째, '대소수', '진소수'의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겨냥도'의 사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수직선'을 초등학교수학용어로 추인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소수 첫째 자리', '소수 둘째 자리', '소수 셋째 자리'를 '영점 일의 자리', '영점 영일의 자리', '영점 영영일의 자리'와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창조적 산업융합 개념을 적용한 도시농업의 장소적 가치에 대한 고찰 (Place Values of Urban Agriculture through applying the Concept of Creative Industry Convergence)

  • 이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900-905
    • /
    • 2012
  • 낙후된 도시 주거지 재생의 방안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농업을 단순히 주민참여의 수단이나 일차산업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논의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공간자본가치 극대화의 수단으로 전락한 도시개발의 새로운 극복방안으로 장소자본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조적 산업융합개념을 적용한 도시농업의 장소적 가치를 논의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단초를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도시개발 방식의 문제점, 산업융합과 도시농업의 의미, 그리고 산업융합형 도시농업의 장소가치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laceness in Public Libraries)

  • 이정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3-278
    • /
    • 201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구조를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와 공공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요인, 장소애착, 장소가치 지각, 이용자 행위의도를 연구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각각의 변인들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가치 간의 매개 요인으로서 장소애착의 직 간접적인 효과를 규명하였다.

남한산성도립공원 등산객과 비등산객의 장소 가치인식 비교 연구 (Comparison between Hiker and Non-hiker's Sense of place value at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 김예은;김현;백난영
    • 농촌계획
    • /
    • 제21권4호
    • /
    • pp.127-137
    • /
    • 2015
  • T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d difference between hiker and non-hiker's sense of place value at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Especially, it was analyzed after visitors, who were divided into local residents & tourists and first time visitors & repeat visitors. Out of 600 visitors, who were over 19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urvey, 587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Consequently, Sense of place value at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Health Culture, Ecology Environment, and Connectedness. Hikers feel higher value on promotion of health, relaxation, environment than non-hikers. Among hikers, local residents feel higher value on ecology environment and connectedness than tourists. Among non-hikers, however, they have no differenc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only repeat visitors and first time visitors. On this result, possibility of resident participation management on natural environment and trail was considered, and when the program, which is for rais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alue, would develop, increasing number of repeat visitor should be considered as a high priority.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상징공간 구축방안 연구 -가평 국제 재즈페스티벌 장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ymbolic Places for Local Cultural Festival - Focused on the places for International Jazz Festival in Gapyeong -)

  • 이형숙
    • 농촌계획
    • /
    • 제20권2호
    • /
    • pp.151-158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proper spot to create a symbolic place for the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nd to improve the connections among the place assets of Gapyeong as a place marketing strategies. To this end,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structure was conducted using space syntax.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space formed in the axis of a total of 200. The value of total integration was 0.833, which is relatively low, and the local integration degree was 1.588 degrees. Gahwa Street has the highest value of full integration (1.264) among the major points related with the Festival, followed by the former Gapeyong Station area (1.189). As a result, the former Gapeyong station area was identified as a recommendable place for symbolic place because it is highly accessible to the surrounding areas and spacious enough to function as a plaza. Developing a cultural street occupied by jazz cafes, concerts, shops and restaurants, and transforming the old railroad into a linear park will enhance the image of jazz city and help place mark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