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Marketing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28초

장소마케팅 개념을 도입한 화양읍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계획 (A Revitalize Rural Hub Project in Hwayang-eup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lace Marketing)

  • 박지환;김태구;오창송
    • 농촌계획
    • /
    • 제25권2호
    • /
    • pp.119-130
    • /
    • 2019
  • In a situation in which rural areas are declining,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to revitalize areas by place marketing. Place marketing, defined by various efforts to promote the image of a place, has been used as an economic tool. As a result, the image has been over-promoted and marketing has been driven in a perfunctory manner, so individual residents' lives and experiences have been ignored. Thu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types of cultural place marketing and economic place marketing, this study established a 'project for rural revitalization of Hwayang-eup' so that it could be applied to political place marketing aimed at inducing internal investment and improving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To implement this project, the concept was set up as building network organiz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ymbiotic relationship, and various H/W and S/W plans were developed. First of all, in terms of political place marketing, the Hwaeyang Oulim Center was construct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In terms of cultural place marketing, we explored cultural resources at the village level and created a small community space. In terms of economic place marketing, the landscape around the main street and the township was reorganized to create a cultural business space for urban and rural exchanges. The reinterpretation of place marketing seen through this project was first, it was more process-oriented than results, second, it was important to induce the community-participating village-making project, and finally, the role of experts was important to expand the community movement.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ultural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 이무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9-57
    • /
    • 2006
  • 장소마케팅 전략은 도시문화의 발전이냐 혹은 파괴냐를 둘러싼 다양한 의미와 담론 및 실천들이 끊임없이 생성되고, 서로 부딪히며, 교섭하는 문화정치의 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소마케팅 전략이 지니는 문화적 함의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이해가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논문은 장소마케팅 전략이 도시문화발전 전략으로서 자리매김하는데 필요한 개념과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공간의 문화정치학과 장소마케팅에 대한 문화정치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시문화발전 전략으로서 장소마케팅의 문화적 의의를 도출하고, 장소마케팅 전략의 개념과 특성을 문화적인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의 과정을 장소 전략과 마케팅 전략의 차원에서 정립하고, 마케팅믹스 요소(O_IPTCR)와 문화정치적 요소(SAUNE 요소)를 도출하여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의 방법론을 체계화하였다.

장소마케팅과 쇼핑센터의 역할 - 동대문 의류시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nction of Shopping-Centers through Place Marketing - A Case Study of the Dongdaemun Fashion-Market -)

  • 소현재;강명구
    • 동굴
    • /
    • 제81호
    • /
    • pp.25-34
    • /
    • 2007
  • These days cities are in the stage of inter-competition and emboss the placeness which they have. The marketing is emphasized for urban regeneration in backward cities and the dominant position in the urban competi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lace marketing with potential factors which the places have.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marketing through showing centers and the method to commercialize the places with the factors to success, Planning-Group, Place Identity and Place Image,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the case of the Dongdaemun Market. Finally, the study intends to show politic significance for preferable objects of place marketing for the network of the fashion-cluster, differentiation of the rapid productivity, the foreign information centers, the dongdaemun sewing association, and the merchant association as the consequence of comparable analysis.

부산항 발전을 위한 Place Marketing의 전략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trategic of Place Marketing for Busan Port Development)

  • 우승화;윤미선;곽규석;남기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5-352
    • /
    • 2005
  • 최근 대형 선사들은 규모의 경제의 실현을 위하여 선박의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을 위해 기항지를 축소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해운환경변화로 인해 각 항만들은 치열한 경쟁에서 항만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다양한 마케팅 활동 등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항만마케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항만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마케팅 믹스전략인 4Ps 중에서 제품(Products), 가격(Price), 촉진(Promotion)을 중요시 한데 반해, Place의 전략에 관한 사항을 다소 배제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산항의 우선적인 이점은 지리적 이적임을 감안하였을 때, Place 전략이 우선시 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고, Place 마케팅 전략에 대한 방한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The Introduction of Art Festivals in Small Cities and the Creation of Placeness)

  • 백선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88-906
    • /
    • 2004
  • 전세계 산업구조가 재편되고 장소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의 많은 지역이 지역개발을 위해 장소마케팅에 의존하게 되었다. 기존의 논의들은 대개 지역의 고유한 장소성을 기반으로 장소마케팅을 수행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모든 지역이 장소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는 장소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현실적으로 장소성과 상관없는 요소를 도입하여 장소마케팅에 성공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기존의 장소와 장소마케팅 관련 논의들을 검토하고,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가능성에 대해 타진하였다. 그리고 미국 오레곤주 애쉴랜드시와 잭슨빌시, 그리고 한국 경상남도 통영시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과정을 검증하였다.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Place Marketing and Territorialization of Place: A Critique of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 박배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98-513
    • /
    • 2010
  • 이 논문은 최근 대안적인 지역개발의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장소마케팅 전략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장소마케팅 개념이 인간주의 지리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본질주의적 장소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어, 장소간 경쟁을 심화시키고, 장소를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영역으로 만드는 장소의 영역화를 결과할 가능성이 큼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장소마케팅이 바탕을 두고 있는 본질주의 장소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장소는 복잡한 권력관계 속에서 사회, 정치, 문화적 과정에 의해 구성된다는 최근의 대안적 논의를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영역이 만들어지는 사회-정치적 과정을 소개하면서, 영역이 장소의 특수한 한 형태임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소마케팅이 장소를 영역화하는 전략임을 논증할 것이다.

  • PDF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외래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the Place Marketing Image in the Insadong Cultural District as a Tourism Destination on the Foreign Touris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 김시중;은연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13-626
    • /
    • 2009
  • 본 연구는 외래관광객 방문유형과 국적에 따른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외래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함에 목적이 있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결과 장소마케팅의 유형은 '정체성', '매력물 삶의 질', '문화관광 경제', '도시재생'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관광객 유형별 장소마케팅 이미지 차이 분석결과 '매력물 삶의 질', '문화관광 경제' 및 '도시재생' 요인이, 관광객의 국적에 따른 장소마케팅 이미지는 '매력물 삶의 질'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관광 경제 요인', '도시재생 요인' 그리고 '정체성 요인'이 그리고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는 '매력물 삶의 질 요인', '문화관광 경제 요인' 및 '도시재생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철도 부분의 장소 마케팅 도입 가능성 검토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in Railway)

  • 이원희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915-920
    • /
    • 2009
  • 장소 마케팅이란 특정 장소를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도록 기업과 주민, 관광객이 선호하는 이미지와 제도, 시설 등을 통해 장소의 상품가치를 제고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철도에 적용하여 새로운 지역발전의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 폐지선과 영업 정지 역을 활용하여 새로운 지역 개발의 기회로 삼는 사례들이 이러한 맥락이다. 나아가 관광, 여가 문화, 지역축제를 철도와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마케팅 믹스를 활용(活用)한 의류(衣類)브랜드 웹사이트 분석(分析) -유니섹스 브랜드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Website Analysis of apparel Brand through Marketing Mix -Focusing on Unisex Brand-)

  • 이미경;나수임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4호
    • /
    • pp.69-81
    • /
    • 2007
  •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and analyzing 23ea of national unisex apparel brands website consists of product, price, promotion and place divided by marketin gmix. Based of theoretical study and pre-research about the marketing mix, we made the classification standard for the marketing mix and analyzed the unisex apparel brand website according to 4P's individual item and the result was appeared like this. First of all, in the product section,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about product introduction/guidance, a product figure for item, introduction for new items, propose for coordination and brand introduction/information. Secondly, in the price part, almost apparel brands are provide their product's image, or present their goods photo with price, or displayed through the banner advertisement of discount or special price. Thirdly, For the marketing promotion part, compare to the other component in the most of apparel brand's website, marketing promotion has more section than the other marketing mix. And, especially, various events and customer service space has more weight than the others. Forth, in the place section, it's focused on the information of shopping mall location, contact number, address, and on-line shopping mall. In Conclusion, when the most of apparel brands are doing internet marketing, they're concern to product and promotion, but price and place needs more supplement in the unisex apparel brand's marketing mix.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지역발전을 위한 창조적 장소만들기 (Creative Place-making for Regional Development in the Era of Glocalization)

  • 이병민;남기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21-439
    • /
    • 2016
  • 세계의 경제가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이라는 조건 속에서 변화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도시 및 지역의 공간적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있으며, 관련하여 장소의 역할에 대해 장소마케팅이나 장소브랜딩 등을 통해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결과로서의 마케팅전략보다는 과정과 참여를 중요시하는 광의적 의미의 종합적인 '장소만들기'가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본 논문은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발전이라는 부분에 집중하여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전략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재조명하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콘텐츠산업을 통한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한국과 일본사례의 검증을 통하여,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 장소마케팅과 장소브랜딩, 장소만들기의 융합모델을 제시하고, 가치사슬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원의 투입과 과정, 산출 등 각 과정의 특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문화를 기반으로 장소를 해석하고, 지역공동체에서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목표를 위해 어떻게 선순환구조를 만들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