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trategic of Place Marketing for Busan Port Development

부산항 발전을 위한 Place Marketing의 전략에 대한 고찰

  • Woo, Seung-Hwa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Logistics Korea Maritime University) ;
  • Yoon, Mi-Sun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Logistics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wak, Kyu-Seok (Department of Logistics Korea Maritime University) ;
  • Nam, Ki-Chan (Department of Logistics Korea Maritime University)
  • 우승화 (한국해양대학교 동북아물류시스템학과 대학원) ;
  • 윤미선 (한국해양대학교 동북아물류시스템학과 대학원) ;
  • 곽규석 (한국해양대학교 동북아물류시스템학과) ;
  • 남기찬 (한국해양대학교 동북아물류시스템학과)
  • Published : 2005.04.21

Abstract

Recently the large shipping companies are reducing a port of call to cut down on expenses related to the large size of ship for economy of scale. Due to this, it is necessary to work out a strategy to overcome the severe competition among port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port marketing, there were many studies on port marketing. But previous studies for domestic port marketing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ly Products, Price and Promotion than Place of the 4Ps of marketing mix strategy. But it has to preferentially consider the place strategy in Busan Port because the best advantage is geographical position. So this paper shows the strategic plan of Place Marketing.

최근 대형 선사들은 규모의 경제의 실현을 위하여 선박의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을 위해 기항지를 축소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해운환경변화로 인해 각 항만들은 치열한 경쟁에서 항만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다양한 마케팅 활동 등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항만마케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항만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마케팅 믹스전략인 4Ps 중에서 제품(Products), 가격(Price), 촉진(Promotion)을 중요시 한데 반해, Place의 전략에 관한 사항을 다소 배제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산항의 우선적인 이점은 지리적 이적임을 감안하였을 때, Place 전략이 우선시 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고, Place 마케팅 전략에 대한 방한을 고찰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