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xel Space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9초

내부 산란함수를 이용한 효과적인 옷감 렌더링 (An Effective Cloth Rendering using Internal Scatter Function)

  • 박선용;전영재;오경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97-10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빛이 옷감 내부에서 산란되어 나타나는 패턴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해 옷감을 표현하는 새로운 형태의 렌더링 방법을 제안한다. 지금까지는 BTF(Bidirectional Texture Function)가 옷감과 같은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생각되어져 왔다. 하지만 BTF에 의한 재질 복원은 그 품질이 측정된 데이터의 양에 비례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각종 빛의 현상이 통합된 상태로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지닌다. 우리는 옷감 구조 내에서의 빛의 산란현상이 옷감의 색감을 드러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여 어떤 지점에 입사된 단위광선이 옷감 내부의 메소구조와 섬유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나타나는 산란패턴(산란이미지:Scatter Image)을 샘플의 충분히 많은 지점에서 획득하고, 각 임의의 지점의 밝기는 그 주변 지점에서 현 픽셀까지 도달하는 빛의 양을 합하여 결정한다. 본 논문은 제안하는 방법은 옷감의 각 지점에 입사되는 광선을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케 하여 옷감과 같이 내부 산란이 불규칙한 패턴을 보이는 재질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 PDF

스테레오 CCD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체의 실시간 3차원 위치추적 (3D Position Tracking for Moving objects using Stereo CCD Cameras)

  • 권혁종;배상근;김병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29-13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3차원 위치좌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 효율적으로 이동체의 3차원 위치좌표를 추출하는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스테레오 CCD 카메라의 상호표정을 수행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이동체를 배경과 분리한 뒤, 좌$\cdot$우 영상에서 이동체의 영상좌표를 추출한다. 추출된 좌$\cdot$우 영상에서의 영상좌표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스테레오 CCD 카메라간의 상호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기 위한 표정 모듈은 독립적 상호표정(independent relative orientation)을 사용하였고, 획득된 영상에서 이동체 추출 알고리즘은 칼라영상의 RGB(Red, Green, Blue) 화소값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좌$\cdot$우 CCD 카메라로부터 들어오는 영상좌표를 이용하여 공간전방교회 법을 통해 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전체 시스템의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 PDF

전자 홀로그래피 및 초 다시점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Supermultiview and Electro-Holographic 3-D Imaging Display)

  • 손정영;이형;성창경;김정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37-244
    • /
    • 2013
  • 초 다시점 및 전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는 향후 기대가 되는 연속시차를 주는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나, 아직 가용한 디스플레이의 부재로 초기 개발 단계에 있다. 초 다시점의 구현은 다시점 영상의 수 보다는 화소셀/요소 영상내의 화소 수와 화소 사이즈에 의존하며, 전자 홀로그래피도 전체 패널내의 화소 수와 화소 사이즈에 의존하므로 이들의 구현을 위한 요구 사항에는 차이가 없다. 그러나 구현 영상자체는 전자 홀로그래피의 경우는 공간 부양 영상이므로 초 다시점의 패널을 앞뒤로 한 깊이감의 표시보다 시각적인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시공간 움직임 활동도를 이용한 적응형 계층 육각 탐색 (Adaptive Hierarchical Hexagon Search Using Spatio-temporal Motion Activity)

  • 곽노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41-449
    • /
    • 2007
  • 동영상 부호화에서 움직임 추정은 참조 프레임으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화소를 추정하는 처리로서 예측 화질과 부호화 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고속 움직임 추정을 위해 시공간 움직임 활동도를 이용한 적응형 계층 육각 탐색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현재의 매크로블록에 시공간적으로 인접한 매크로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시공간 움직임 활동도를 정의한다. 이렇게 정의한 시공간 움직임 활동도가 낮을 경우 기존의 적응형 육각 탐색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웨이블렛 변환의 다단계 저주파 부영상들로 구성된 다단계 계층 공간상에서 계층 육각 탐색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움직임 특성을 갖는 복수의 동영상 시퀀스들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예측 화질과 연산 시간 측면에서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분석.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작은 움직임 탐색과 큰 움직임 탐색에 모두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제안된 방법은 고속 움직임 탐색이 가능한 적응형 육각 탐색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시공간 움직임 활동도가 높은 비디오 시퀀스에서 야기되는 국부 최소 문제를 적응적으로 경감할 수 있었다.

  • PDF

Kinect(RGB-Depth Camera)를 활용한 실내 공간 정보 모델(BIM) 획득 (Microsoft Kinect-based Indoor Building Information Model Acquisition)

  • 김준희;유세웅;민경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207-21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건물 실내 공간 정보 획득을 위해 Microsoft사의 $Kinect^{(R)}$ v2를 활용한 point cloud 기법을 도입하였다. 카메라로 취득한 2차원의 투영 공간 이미지 픽셀 좌표를 각 카메라의 보정을 거쳐 3차원 이미지 변환하며 이를 토대로 공간 정보를 구현하였다.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circ}$ 회전하여 취득한 3차원 이미지를 통해 거리 측정이 불가한 기존의 2차원 이미지의 한계를 개선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얻은 point cloud를 통해 3차원 map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3차원 map은 기존의 공간정보 융 복합을 위한 센서와 비슷한 수준의 측정 효율을 가지면서 동시에 렌즈 왜곡 현상에 대한 후처리 과정을 통해 공간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2D 도면과 실제 공간 및 구조부재의 길이 및 위치 등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이웃 블록과 중첩된 탐색영역에서의 MAD 분포 및 부표본화를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The Distribution of Mean Absolute Difference at The Search Region Overlapped with Neighbor Blocks and Subsampling)

  • 이법기;정원식;이경환;최정현;김경규;김덕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B호
    • /
    • pp.1506-151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움직임 탐색영역에서의 MAD 분포 및 블록내 화소의 부표본화를 이용한 두가지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두 가지 방법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영역에서 현재 블록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를 구하여 이용하였으며, 이때 사용되는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는 이웃 블록의 MAD와 현재 블록과 이웃 블록간의 MAD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블록 정합은 블록내 화소를 부표본화한 뒤 행하였다. 제안한 첫 번째 방법에서는 블록 MAD의 최소 범위를 이용하여 이웃 블록과 움직임이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구한 기준 MAD가 블록 MAD의 최소 범위보다 큰 탐색점에 대하여서만 블록 정합을 행함으로써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계산량을 크게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블록 MAD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각 탐색점에서의 실제 MAD는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실제 MAD 분포의 확률적인 모델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컸뼜\ulcorner모의 실험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움직임 추정 오차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계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FT-LCD용 TFT기판에서 저에너지 전자빔을 이용한 전기적 결함 검출 메카니즘 분석 (Analysis of the Electrical Defect Detection Mechanism using a Low Energy Electron Beam on the TFT Substrate for TFT-LCDs)

  • 오태식;김호섭;김대욱;안승준;이건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03-1811
    • /
    • 2011
  • TFT-LCD용 TFT기판 상에서 저에너지 마이크로 컬럼을 이용하는 전기적인 결함 검출 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진공 챔버 내에서 7인치 TFT 기판에 저에너지 전자빔을 주사하여 여러 가지 불량 화소에 대한 SEM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더불어 각각의 불량 화소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전기적인 거동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검출 메카니즘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저에너지 초소형 전자 컬럼을 이용하는 저에너지 전자빔에 의한 SEM 이미지는 전자간 반발효과에 크게 영향을 받는 일관성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산코사인변환 기반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에 관한 재구성 (Rebuilding of Image Compression Algorithm Based on the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 남수태;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84-89
    • /
    • 2019
  • JPEG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 압축 표준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JPEG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압축 및 압축 해제의 각 단계를 서술하고자 한다. 이미지 압축은 디지털 이미지를 데이터 압축을 적용하는 과정이다. 이산코사인변환은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먼저, 이미지는 8 by 8 픽셀 블록으로 분할하게 된다. 둘째,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면서 DCT가 각각의 블록에 적용하게 된다. 셋째, 각 블록은 양자화를 통해 압축을 진행한다. 넷째, 이미지를 구성하는 압축된 블록의 행렬은 크게 줄어든 공간에 저장된다. 끝으로, 원하는 경우 이미지는 역이산코사인변환(IDCT)을 사용하는 프로세스인 압축 해제를 통해 재구성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코사인변환 기법을 이용해 이미지 압축/복원 및 재구성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A novel amnion-chorion allograft membrane combined with a coronally advanced flap: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herapy to regenerate interdental papillary soft tissue recession - a six-month postoperative image analysis-based clinical trial

  • Pitale, Unnati;Pal, Pritish Chandra;Boyapati, Ramanarayana;Bali, Ashish;Varma, Manish;Khetarpal, Shalee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7권6호
    • /
    • pp.438-444
    • /
    • 2021
  • Objectives: Loss of the interdental papilla is multi-factorial and creates a multitude of problems. Autogenous connective tissue/biomaterial-based regeneration has been attempted for decades to reconstitute the black space created due to the loss of papilla.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regenerate papillary recession defects using an amnion-chorion membrane (ACM) allograft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up to six months postoperativel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25 Nordland and Tarnow's Class I/II interdental papillary recession defects were treated with ACM and coronal advancement of the gingivo-papillary unit via a semilunar incision on the labial aspect followed by a sulcular incision in the area of interest. A photographic imag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GNU Image Manipulation software program from the baseline to three and six months postoperatively. The black triangle height (BTH) and the black triangle width (BTW) were calculated using the pixel size and were then converted into millimeter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determined at baseline and then again at three and six months postoperatively. The probability values (P<0.05 and P≤0.01)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ighly significant, respectively. An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hoc Bonferroni test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mean values. Results: Our evaluation of the BTH and BTW showed a statistically an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baseline until both three and six months postoperatively (P=0.01). A post hoc Bonferroni test disclo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nce from the baseline until three and six months postoperatively (P<0.05) and a non-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ree to six months after the procedure (P≥0.05). Conclusion: An ACM allograft in conjunction with a coronally advanced flap could be a suitable minimally invasive alternative for papillary regeneration.

인접한 동영상 프레임의 차영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주변 조명효과의 제어 (An Ambient Light Control System using The Image Difference between Video Frames)

  • 신수철;한순흥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7-16
    • /
    • 2010
  • 본 논문은 비디오 및 게임 영상에서 인접한 프레임의 차영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주변의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현재 프레임의 대표 색상을 추출하는 단계, 이전 프레임과의 차영상으로부터 변화량을 측정하고 변화 색상을 추출하는 단계, 새로운 대표 색상을 생성하는 단계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해 이미지를 사람 지각 시스템에 가까운 YUV 색공간으로 변환하고 차영상을 구한 후, 각 화소별 색차의 합을 변화량으로 사용하였다. 새로운 대표색상은 변화량에 비례하여 변화색상을 반영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일한 동영상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조명 효과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방법보다 더 역동적인 조명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