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thunbergii Parl.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고염분 하에서 성장한 해송 세포벽의 화학 성상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ll Wall in Pinus thunbergii Parl. Grown with High Salinity)

  • 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4호
    • /
    • pp.144-150
    • /
    • 2015
  • Stems of Pinus thunbergii Parl. grown with high salinity were analyzed for chemical characteristics. Stem of 2 years was rich in soluble compounds and stem of 3 years reduced the amount of the soluble compound. But, the lignin content have not seen a large change. Also, Klason lignins of stem of 2 and 3 years has not changed in nitrogen and hydrogen content. In Klason process,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arbon concentration due to the hydrolysis of the carbohydrate. In addition, the accumulation of xylan from Pinus thunbergii Parl. with salinity treatment were increased noticeably. Finally, functional group of Pinus thunbergii Parl. with salinity treatment were not changed.

소나무류 수관층 및 지표층의 CO2/non-CO2 배출량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missions of CO2/non-CO2 for the Crown Layer and Surface Layer of Pine Trees)

  • 박영주;이해평;백창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118
    • /
    • 2015
  •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emissions analysis of CO and $non-CO_2$ for the age-classes of various pine trees(Pinus koraiensis,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Mill., Pinus thunbergii Parl.) to estimate of emission factors of the crown layer and surface layer in the forest fire. We used the thermal characteristic analyzer cone heater and NDIR analyzer in order to measure amount of emission. As a result, the major emissions of Pinus koraiensis were $CO_2$ and $CH_4$ and that of Pinus thunbergii Parl. was only CO. The major emissions of the most of pine trees were NO and $N_2O$. The $CO_2$ emission of Pinus thunbergii Parl. was the highest about as $7.26{\times}10^{-2}{\sim}1.63{\times}10^{-1}g$ and next came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Mill.. And the CO emission of Pinus thunbergii Parl. was about $5.14{\times}10^{-3}{\sim}6.58{\times}10^{-3}g$ and followed by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Mill.. The emissions of $CH_4$, NO, and $N_2O$ showed small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nd the emission of $CH_4$ was $8.37{\times}10^{-5}{\sim}2.55{\times}10^{-4}g$, and NO was $6.65{\times}10^{-5}{\sim}2.0{\times}10^{-4}g$ and $N_2O$ was $1.42{\times}10^{-4}{\sim}2.09{\times}10^{-3}g$ in all species. Particularly, the emission of Pinus thunbergii Parl. was the highest in all pine trees except $CH_4$.

광양만 임해매립지의 곰솔 이식 이후의 연륜생장 특성 (Tree-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Parl. after Replanting o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in Gwangyang Bay)

  • 김도균;박원규;서정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
    • /
    • 2002
  • 본 연구는 광양만 임해매립지의 곰솔 식재 이후 연륜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식재환경과 기후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임해매립지의 곰솔 식재 이후에 수목의 이식과 가뭄에 의하여 연륜생장이 급감소하였다. 수목이식에 의한 연륜생장의 급감소는 모든 지반들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가뭄에 의한 연륜생장의 감소는 토양경도가 높은 식재지반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성토지역에서는 감소 현상이 크지 않았다. 이식에 의한 연륜생장 급감소 이후에 토양경도가 높은 지반들에서는 생장회복이 저조하였으나 성토지역에서는 빠르게 생장이 회복되었다. 연륜생장의 평균민감도와 상대적 변이계수는 토양경도가 높은 지반들이 성토지반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환경이 불량한 지반일수록 외부적 환경변화에 대하여 불안정적으로 생장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곰솔의 연륜생장은 이식과 가뭄에 대하여 성토지반에서는 수목 자체적으로도 양호하게 생장을 하지만 토양경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생장이 불량하였다. 따라서. 외부적 환경변화에도 수목자체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식재 및 유지관리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몇 가지 목본식물의 담수 재배 시 용기 내 관수량이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Quantity in Pot on Growth of Some Wood Plant by Water Flooding Culture)

  • 송천영;문자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2019
  • 용기 내에 담수 재배 시 관수량 정도가 분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송(Pinus thunbergii Parl), 장수매(Chaenomeles japonica Lindl. ex Spach), 목서(Osmanthus fragrans Lour.) 등 3종에 대하여 관수량을 20, 40, 60, 80 및 100%를 처리하였다. 식물의 생존율은 해송과 장수매가 관수량 40%와 60%에서 100%이었고, 목서는 관수량 40%와 60%에서 90.0%와 93.3%로 높았으나 관수량 100%에서 해송과 장수매는 90% 이하를 보였으며, 목서는 60% 이하로 낮았다. 초장 증가율은 해송에서 관수량 60%와 40%일때 50% 이상이었고, 장수매와 목서는 90%이상으로 높았으나 관수량 100%에서는 해송, 장수매, 목서에서 각각 38.2%, 65.4%, 66.7%로 나타났다. 엽수 증가율은 관수량 60%와 40%에서 해송은 80%이상이였고, 장수매와 목서는 70%이상으로 높았으나 관수량 100%는 모두 60%이하로 낮았다. 이와 같이 모든 식물에서 용기 내 관수량이 40% 또는 60%일 때 식물의 생존율은 90% 이상이었고 초장, 초폭, 엽수 및 생체중의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수량 100%는 생존율과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본식물의 분 담수 재배에서 맥반석 및 하이드로 볼의 비율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artz Porphyry and Hydroball Ratio on Growth of Some Wood Plant by Water Flooding Culture in Pot)

  • 송천영;문자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1호
    • /
    • pp.15-28
    • /
    • 2019
  • 담수재배 시 배양토로 하이드로 볼과 맥반석의 부피 비율이 도자기 분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송(Pinus thunbergii Parl), 진백(Juniperus chinensis L. var. sargentii Henry), 목서(Osmanthus fragrans Lour.), 장수매(Chaenomeles japonica Lindl. ex Spach) 등 4종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 배양토 비율에 따른 해송, 진백, 목서, 장수매의 생존율은 해송과 장수매는 하이드로볼 80% + 맥반석 20%에서 100%였으며 진백과 목서는 하이드로볼 20% + 맥반석 80%에서 100%와 80.0%로 높은 생존율은 보였으나 대조구인 물 및 마사토의 생존율은 해송, 진백, 장수매에서 80%이하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특히 목서의 경우 50%이하의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배양토 비율에 따른 생체중 증가율은 해송과 장수매가 하이드로볼 80% + 맥반석 20%에서 각각 58.6%와 15.8%로 가장 높았으며 하이드로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생체중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백과 목서의 경우 하이드로볼 20% + 맥반석 80%에서 생체중 증가율이 각각 71.4%와 59.7%로 높게 나타났으며 맥반석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생체중 증가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인 마사토의 생체중 증가율은 해송, 진백, 목서, 장수매에서 각각 32.7%, 48.0%, 33.3%와 7.0%로 가장 낮은 생체중 증가율을 보였다. 이와 같이 담수재배 배양토로 대조구인 마사토는 낮은 생존율과 생체중 증가율을 보였다. 하지만 하이드로볼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해송, 장수매는 생존율과 생체중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고 맥반석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진백, 목서의 생존율과 생체중은 높았다.

곰솔(Pinus thunbergii)의 침엽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분자적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Needle Leaves of Pinus thunbergii)

  • 김창균;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83-186
    • /
    • 2012
  • 곰솔(Pinus thunbergii Parl.)의 잎에 서식하는 내생균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충남 보령의 해안가에 서식하는 곰솔에서 잎을 채취하여 총 19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내생균을 ITS 지역과 LSU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Anthostomella sepelibilis, Beltrania sp., Cladosporium sp., Coniochaeta velutina, Entonaema pallida, Lophodermium sp., Nigrospora sphaerica 등 총 7개 분류군의 내생균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들 중 Beltrania sp.에 속하는 종이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으며 내생균의 서식 환경이 곰솔의 잎에 서식하는 내생균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나무와 해송 화분의 화학적 성분과 파쇄 조건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nents and Pulverization Conditions of the Pollens of Pinus densiflora S. et Z. and Pinus thunbergii Parl)

  • 김계환;오혁근;윤계순;박준모;최태기
    • 임산에너지
    • /
    • 제18권2호
    • /
    • pp.47-54
    • /
    • 1999
  • 소나무와 해송 화분에 대하여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화분 파쇄 최적 조건을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소나무 화분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9.8%, 조회분 2.3%, 조단백질 11.9%, 조지방 2.9%, 조섬유 7.7%, 당질 65.4%이었으며, 해송 화분은 수분 10.5%, 조회분 2.2%, 조단백질 13.5%, 조지방 3.5%, 조섬유 8.5%, 당질 61.8%로서 일반곡류보다 높게 나타났다. (2)소나무와 해송 화분에서 각각 18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10종의 필수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원으로서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소나무 화분은 비탄민 A 7.9㎎, B1 8.7㎎, B2 19.2㎎, C 31.5㎎, E 2.0㎎, 해송 화분은 비타민 A 8.5㎎, B1 9.4㎎, B2 15.7㎎, C 35.3㎎, E 1.8㎎ 함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비타민 C가 풍부하였다. (4)소나무 화분립은 5,000rpm으로 40분간, 해송 화분립은 5,000rpm으로 50분간 파쇄함으로써 100% 화분 파쇄가 가능하였다.

  • PDF

원전주변 지역 식물의 방사능 오탁에 관한 연구 - 해송과 아왜나무를 대상으로 - (Study on Radioactive Contamination of Plant Nearby Nuclear Power Plant - Focused on Pinus thunbergii Parl. and Viburnum awabuki K. KOCH -)

  • 강태호;조홍하;정진욱;국성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5-62
    • /
    • 2013
  • Generally, the radioactivity from NPP(Nuclear Power Plants) operation can be released below 3% of DRLs(Derived Release Limits) to environment. It was tried to understand which plant was efficient for absorbing radioactivity in this study. Pinus thunbergii Parl. and Viburnum awabuki K. KOCH were analyzed for radioisotope absorption.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NPP at the vicinity 10km away, and 30km away. Gamma radionuclide was not detected from the samples, which means that the direct transition into the plant was not significant. Meanwhile, the very low level of radioactive tritium was detected in the samples. One remark was that every plant has different ability for tritium absorp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propagation and transplanting in radioactively contaminated area or reducing radioactivity in the soil and water near the plants.

소나무속 잎의 성분 분석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 황병호;조재현;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
    • /
    • 2000
  • 침엽수 속의 대표적인 수종인 소나무류 4수종의 유효성분을 분석한 결과, 비타민 A는 소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해 비교적 많은 1534 IU로 나타났으며, 비타민 C는 해송에서 158 mg%로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서는 4수종에서 19종이 분석되었으며,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icd는 4수종에서 다량 분석되었고, 특히 리기다에서 23.86%로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은 모두 17종이 분석되었으며 glutanic acid, leueine, arginine, aspartic acid 등의 아미노산이 다량 분석되었고, 이들 중에는 필수 아미노산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Rut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헤송 잎이 10.34%로 가장 높았으며, 잣나무 5.61%, 소나무 3.76% 그리고 리기다 1.35%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고 침엽수 4수종중 소나무에서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비타민 A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지방산과 필수 아미노산은 각각 해송과 잣나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수종마다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나무잎의 일반 및 특수성분들이 보다 높게 분석되었으므로 건강식품개발을 위해서는 풍부한 원료자원면이나 식품영양학측면에서 소나무 잎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며, 이들의 자료는 우선 솔잎가공식품 분야와 임산화학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