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le Drilling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PRD 공법을 이용한 매입말뚝의 지지력 특성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Drilled Shafts using Percussion Rotary Drilling)

  • 윤형준;정국상;정상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07-314
    • /
    • 2001
  • The bearing capacity of drilled shafts that take excavation by Percussion Rrotary Drilling(PRD) into consideration was evaluated using static and dynamic pile load tests. The emphasis was on quantifying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and point load-transfer at the pile tip on seven instrumented steel piles. Of the seven instrumented piles, five piles are placed to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by rotary and pushing into the final depth of the excavation, as opposed to the two driven pil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t is shown that the skin friction mobilized by PRD is much greater than point resistance, whereas in driven piles, the point resistance is greater than skin friction. It is also found that much greater pile capacity was proved in the case of drilled shafts, compared to the driven piles and thus, the excavation by rotary drilling gives reliable pile capacity required to design axially loaded piles.

  • PDF

기계굴착공법을 적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시 부조화 발생요인 분석 및 대응 방안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for the Trouble Factors of the Spot Installation Pile Using Machine Excavation Method)

  • 박홍태;손창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5-83
    • /
    • 2009
  • 현재 기계굴착공법인 올케이싱, 어스 드릴, 역순환공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공 현장에서 발생되는 부조화로 인하여 말뚝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부실시공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줄이는 방법으로 올케이싱, 어스 드릴, 역순환공법을 중심으로 현장 콘크리트타설 말뚝 시공시 발생되는 부조화 종류별로 부조화 발생요인을 현장기술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 하였다. 그리고 설문분석결과를 토대로 부조화 종류별로 빈번히 발생되는 부조화 요인을 분석함으로서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는 향후 건설현장에서 기계굴착공법으로 시공될 때, 부조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천공 후 말뚝타격공법의 진동 $\cdot$ 소음 문제 해소를 위한 적정 이격거리 산정 방안 연구 (Estimating of Optimal Allowed Distance for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Problems by Pile Driving after Drilling Method in Deep Foundation Work)

  • 박홍태;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152-163
    • /
    • 2005
  • 깊은기초 시공시에 기초파일의 항타작업은 인접구조물 등에 진동을 야기하고 소음으로 인해 주변지역에 민원을 발생시키고있다. 이러한 문제로 진동 $\cdot$ 소음 문제를 직접 야기시키는 직타공법 보다는 주로 저소음 $\cdot$ 저진동 공법 인 천공 후 타격공법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천공 후 타격공법도 일정거리 이내에서 시공을 할 경우 진동 $\cdot$소음을 유발시컥 민원으로 인한 공기지연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기초공사현장에서 말뚝공사를 할 때 발생하는 진동 $\cdot$ 소음을 천공 후 타격공법을 대상으로 지반조건이 상이한 7개의 현장에서 실측하여 이를 제정된 허용규제기준에 따른 적정 이격허용거리를 회귀분석 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초파일 공사시에 요구되는 적정 거리확보를 위한 기준역할을 하도록 하며, 인접 구조물이나 주민의 환경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공기지연으로 발생되는 클레임을 방지하는데 활용성을 갖도록 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수중 대구경강관말뚝의 항타관입성 모니터링을 위한 PDA 적용 사례 (Drivability Monitoring of Large Diameter Underwater Steel Pipe Pile Using Pile Driving Analyzer.)

  • 김대학;박민철;강형선;이원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19
    • /
    • 2004
  • When pile foundation constructed by driving method, it is desirable to perform monitoring and estimation of pile drivability and bearing capacity using some suitable tools. Dynamic Pile Monitoring yields information regarding the hammer, driving system, and pile and soil behaviour that can be used to confirm the assumptions of wave equation analysis. Dynamic Pile Monitoring is performed with the Pile Driving Analyser. The Pile Driving Analyser (PDA) uses wave propagation theory to compute numerous variables that fully describe the condition of the hammer-pile-soil system in real time, following each hammer impact. This approach allows immediate field verification of hammer performance, driving efficiency, and an estimate of pile capacity. The PDA has been used widely as a most effective control method of pile installations. A set of PDA test was performed at the site of Donghea-1 Gas Platform Jacket which is located east of Ulsan. The drilling core sediments of location of jacket subsoil are composed of mud and sand, silt. In this case study, the results of PDA test which was applied to measurement and estimation of large diameter open ended steel pipe pile driven by underwater hydraulic hammer, MHU-800S, at the marine sediments were summarized.

  • PDF

항타공법에 의한 발생 소음 특성 분석 및 축소 모형 실험을 이용한 저소음 말뚝 캡의 설계 (Investigation on Noise Characteristics of Pile Driving Operation and Design of a Low-noise Pile Cap Based on the Scale Model Experiment)

  • 이종화;이정권;이기홍;정승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45-448
    • /
    • 2001
  • Noise radiated from pile driving operation is one of major sources of community noise pollution and thus its operation method is strictly restricted by regulations. Although the drilling method is now used been commonly used in urban areas because of its activity, the benefit of low noise decreases due to high working cost. In the present work, noise characteristics of pile driving operation are carried out. Based on the study result, a low-noise pile cap for driven piles is developed in order to satisfy both the noise level restriction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Effects of pile cap are investigated by a scale model experiment, which is focused on the variation of impact force and sound pressure level. The results show a good possibility of noise reduction by an appropriately designed pile cap.

  • PDF

Polymer Base Bored Pile in Bangkok Subsoils

  • Teparaksa, Wanchai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407-426
    • /
    • 2008
  • The bentonite slurry has been used as the stabilize suspension for wet process bored pile construction in Thailand. The bentonite suspension has benefit on filtration in the sand layer, but it creates thick cake film along pile shaft and loose sedimentation at pile toe. The base grouting technique was widely used to rectify the soft base or loose sedimentation problem of bored pile. The base grouting technique was not increased only end bearing capacity, but was also more increase in skin friction capacity of the bored piles. The comprehensive researches on base grouting was carried out by installing PVC casing inside the shaft to allow the drilling through the pile base in order to collect the soil sample below the pile tip. The polymer based slurry recently was used to replace the bentonite slurry to overcome the thick cake film along pile shaft as well as loose sedimentation at pile toe. The extent research on polymer slurry by physical model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al behavior of polymer. The appropriate mixing ratio of polymer was proposed. The design skin friction coefficient, $\beta$ and end bearing coefficient, Nq, for sand layer base on fully instrumented tested pile were proposed. The application on remedial of the lose capacity bored pile with large displacement in Bangladesh was proposed and discussed.

  • PDF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말뚝기초의 항타 관입성 연구 (Drivability of Offshore Pile Foundation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 심재설;윤길림;이승준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spc3호
    • /
    • pp.373-384
    • /
    • 2003
  • When pile foundation is constructed by dynamic method, it is desirable to perform monitoring of drivability with pile penetration. Dynamic pile monitoring yields information regarding driving hammer, cushion, pile and soil behaviour that can be used to confirm the assumptions of wave equation analysis. In this study, dynamic monitoring of the steel pipe pile was performed with Pile Driving Analyser (PDA). The PDA utilizes the wave propagation theory to compute numerous variables which describe the conditions of the hammer-pile-soil system in real-time and following each hammer impact. This approach allows immediate field verification of hammer performance, driving efficiency, and estimation of pile bearing capacity. A series of PDA test were performed at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located in southeast of Marado, a southernmost small island south of Jeju Island. The drilling core sediments of Ieodo subsoil are composed of mud and sand, showing lamination and wavy or lenticular bedding, which were often bioturbated.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PDA tests which were applied in measurement and estimation of large diameter open ended steel pipe pile driven by steam hammer, Vulcan-560 and MRBS-4600, at the marine sediments.

수평재하에 따른 복합말뚝의 거동분석 (Analysis of Composite Pile Behavior under Lateral Loadings)

  • 황택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396-1404
    • /
    • 2012
  • 복합말뚝은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말뚝을 구성하는 말뚝으로 상부는 강관말뚝 하부는 콘크리트 말뚝으로 구성된 말뚝을 선 굴착 공법으로 시공하였다. 말뚝에는 7쌍의 변형률계와 경사계를 설치하여 말뚝의 수평재하시험 중 말뚝에 작용하는 응력과 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계측치는 여러 가지 이론적 공식을 이용하여 분석 비교하는 역 해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공식들로부터 예측한 말뚝에 작용하는 응력은 실제 측정된 값보다 크게 평가 되었으며, 말뚝상부에 응력이 크게 측정되다가 말뚝깊이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측정된 응력은 모두 말뚝재질의 응력을 초과 하지 않아 복합말뚝의 설계개념을 검증할 수 있었다.

지반굴착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와 표준관입시험 N값과의 상관관계 연구 II : 적용성 평가(현장시험시공)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PT N-value and Exerted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Ground Drilling II : Application Study (Field Pilot Test))

  • 최창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5-62
    • /
    • 2012
  • 본 적용성 평가 연구에서는 기초연구에서 제안된 지반굴착시 소요되는 전기에너지와 지반의 표준관입시험 N값에 대한 상관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류값과 굴착깊이 계측을 위한 측정센서와 데이터 저장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하였다. 현장시험시공에서 계측된 전류값과 굴착속도는 상관식을 사용하여 표준관입시험 N값 추정에 이용되었으며, 추정한 표준관입시험 N값은 지반조사로부터 실측된 N값과 비교하였다. 현장시험시공 결과 지반굴착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는 표준관입시험 N값을 추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말뚝기초의 선단위치를 결정하는 시공관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추 안정액 배합설계에 따른 공벽 붕괴방지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Drilling Fluid with Different Mix Designs for Bore Hole Collapse Prevention)

  • 유충식;최정혁;한윤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15-2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지반 시추시 공벽붕괴 방지를 위해 적용되는 시추 안정액(drilling fluid)의 다양한 배합설계에 따른 공벽붕괴 방지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결과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먼저 벤토나이트 계열 안정액의 공벽 붕괴 방지 메카니즘을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벤토나이트계 안정액의 배합(conditioning)에 따른 안정액의 성능지표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 간략히 기술하였다. 또한 지반시추(굴착) 및 안정액 투입을 간략히 모사하는 토조 장치를 구축하여 세립분이 20% 포함된 화강풍화토 및 모래지반을 대상으로 다양한 배합으로 조성된 벤토나이트계 안정액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고 안정액 투입량, 수평 침투범위, 굴착가능 깊이 등을 측정하여 공벽붕괴 방지 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벤토나이트에 폴리머를 추가할 경우 안정액 투입량 및 수평 침투범위가 굴착가능 깊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머의 공벽유지 기능 향상 정도는 모래층보다 화강풍화토 지반에서 보다 뚜렷하게 발휘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도출된 연구결과가 실무적 차원에서 지니는 의미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