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gment cell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9초

별늑대거미 (Pardosa astrigera L. Koch) 전측안(前側眼) 망막(綱膜)의 미세구조(微細構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ine Structure of Retina of Anterior Lateral Eyes in Pardosa astrigera L. Koch (Aranea: Lycosidae))

  • 정문진;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3호
    • /
    • pp.1-9
    • /
    • 1994
  • 별늑대거미의 전측안은 전중안과 함께 전방을 향하여 앞이마 제 1 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조직학적 조성은 각막, 렌즈, 초자체, 그리고 망막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큐티클성 각막층은 표피의 외큐티클(exocuticle)과 연결되어 있었고, 렌즈는 두개의 볼록렌즈가 내외 양방향으로 연결된 biconvex type이었고, 초자체는 단층의 원주세포로 오목렌즈 모양으로 관찰되었다. 망막을 구성하는 시세포는 단극성 신경세포 (unipolar neuron)로 확인되었으며, 크기가 시세포의 길이에 비하여 큰 세포체가 매우 불규칙 한 크기로 분포하고 있었다. 미세융모로 이루어진 감간체는 세포체 아래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부위의 시세포 사이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색소과립이 관찰되었다. 교질세포는 시세포의 세포체 사이에 분포하였고, 반사층(tapetum)은 감간과 시세포 미부(intermediate segment) 부위 사이에 4-5 정도의 층을 이루어 존재하였다.

  • PDF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피부상피층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Integumentary Epidermis of th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김재원;백근욱;백혜자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131-137
    • /
    • 2004
  • 돌돔의 피부는 크게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분되며, 상피층은 지지세포, 선세포 및 부속세포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 선세포는 점액세포와 곤봉상세포, 그리고 부속세포는 염세포가 관찰된다. 표면세포는 편평형 또는 입방형으로서 타원형의 핵을 가지고, 미세융기(microridge)들이 발달되어 있으며 glycocalyx가 관찰된다. 중간세포는 타원형에 가깝고 원형에 가까운 핵을 가진다. 기저세포는 원주형으로서 핵은 세포질의 상부에 위치한다. 점액세포는 타원형으로 세포질은 타원형의 분비과립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AB-PAS (pH 2.5)에 청색으로 반응하였다. 곤봉상세포는 세포질에 많은 액포와 미세섬유다발을 관찰할 수 있다. 부속세포인 염세포 세포질의 대부분이 미토콘드리아로 가득 채워져 있다. 색소세포는 세포질에 전자밀도가 높은 색소과립들을 함유한 종류와 반사소판을 함유한 종류로 구분된다.

Laser 조사가 망막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ser Irridation on the Ultrastructure of Retina)

  • 김덕훈;문정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22
    • /
    • 1996
  • 본 연구는 망막조직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쥐(ICR)에 대한 Laser 조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정상군에서 대개의 망막층은 여러 특수한 세포들과 신경섬유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2. Laser 조사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망막의 각 세포의 층과 구조는 일정한 형태를 나타내지 못했다. 시세포 visual cell들은 심하게 이형염색질체 heterochromatin이며, 세포질은 종대되며, 핵의 모양은 불규칙적이며,일부의 세포질은 소실되었다. 망막층의 핵과 신경섬유는 매우 불규칙적이며, 소포의 형성, 각 세포간 경계의 불명확함이 있었다. 색소상피세포 pigment epithelail cell들은 정상모양이 아니며, 세포질에는 큰 공포 형성이 있으며, 핵의 응축과 불규칙한 모양 등이 있었다.

  • PDF

망막 색소상피세포에서 산화성 세포 손상과 미토콘드리아기능 저해에 미치는 NS 1619의 보호 효과 (The Ca2+-activated K+ (BK) Channel-opener NS 1619 Prevents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 Death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 강재훈;우재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49-1356
    • /
    • 2017
  • $K^+$ 통로 개방제들은 심근, 뇌, 골격근 등에서 세포막 혹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큰 전도성의 $Ca^{2+}$-의 존성 $K^+$ (BK) 통로 및 ATP-조절성 $K^+$ 통로(ATP-sensitive $K^+$ channels, $K_{ATP}$)에 작용하여 허혈성 혹은 산화성 세포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 색소 상피세포주인 ARPE-19 세포를 실험 모델로 하여 큰 전도성의 BK 통로 개방제인 NS 1619가 유사한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또한 그 작용기전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AREE-19 세포를 여러 형태의 산화 스트레스에 노출시켜 세포 손상을 유발하고 그 손상의 정도 및 이에 미치는 NS 1619의 효과를 trypan blue 배출능, Tunel 염색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NS 1619는 여러 형태의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괴사성 및 apoptosis에 의한 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였으며 그 보호 효과는 BK 통로 봉쇄제인 paxilline 의해 차단되었다. NS 1619는 $H_2O_2$에 의한 세포내 ATP 고갈을 현저히 완화시켰으며, 또한 MTT 환원능으로 측정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보호하는 효과를 보였다. 유세포형광 분석법을 이용한 실험에서 NS 1619는 $H_2O_2$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의 소실을 유의하게 방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NS 1619는 망막 색소 상피세포에서 산화성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그 기전에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대한 보호 작용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현미경, Flow Cytometer, HPLC 색소자료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이어도 관측기지 주변수의 식물플랑크톤 연구 (Phytoplankton in the Waters of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Determined by Microscopy, Flow Cytometry, HPLC Pigment Data and Remote Sensing)

  • 노재훈;유신재;이정아;김현철;이재학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397-417
    • /
    • 2005
  •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pattern in the surface water around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were investigated during seven cruises carried out from July, 2003 to October, 2004. Samples were analyzed using various tools including a microscope, flow cytometer, and HPLC. Satellite images were used to analyze spatio-temporal phytoplankton biomass distribution. SeaWiFS chlorophyll a (chl a) images showed that spring blooms occurred in April-May near the Ieodo Station, and these waters were under the influence of Changjiang Dilute Water during July-October. Also, during the July-October period, HPLC pigments data showed increasing zeaxanthin concentrations, a marker pigment of cyanobacteria whereas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various other pigments such as fucoxanthin, peridinin, prasinoxanthia alloxanthin, 19'-hexanoyloxyfucoxanthin and chlorophyll b were noted during spring blooms. Such pigment marker data were consistent with picoplankton data analyzed by flow cytometer and nano-microplankton analyzed by microscope. The pigment-CHEMTAX method was used to drive the phytoplankton group apportioned chi a. Diatoms, chlorophytes, dinoflagellates, and cryptophytes comprised 25.8, 20.7, 15.9, and 14.1%, respectively, of the total chl a in May. Average cyanobacteria concentrations in July-October contributed 25.4% of the total concentration. This was the highest percent contribution and was followed by chlorophytes, diatoms, and prymnesiophytes. This study discusses results from various method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results among those methods, a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results from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Also, the study reveals a detailed phytolp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waters around the Ieodo Station, and suggests future monitoring considerations in relation to cell morphology, ecology and diversity factors according to taxonomic groups.

배양온도와 시간에 따른 Serratia marcescens 표면의 소수성 성질변화 (Changes of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a Serratia marcescens with Cultivation Time and Temperatures)

  • 이상열;신용철;권헌영;조무제;강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7-232
    • /
    • 1990
  • Serratia marcescens를 $30^{\circ}C$에서 진탕배양했더니, 적색색소인 prodigiosin이 초로기(senescent phase of growth)에서 생성되었다. 그리고 이조건에서 배양한 세포를 polystyrene dish를 사용하여 세포의 hydrophobicity를 측정한 결과 상당한 소수성 성질이 발현되어 대부분의 세포가 비극성 성질의 polystyrene dish에 흡착되었다. 그러나 이 박테리아를 $37^{\circ}C$에서 배양했더니, 적색 색소인 prodigiosin도 생성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소수성 성질도 발현되지 않음으로서 세포가 polysyrene dish에 흡착되지 않고 pre-washing 단계에서 모두 씻겨져 났다. 또한 $30^{\circ}C$$37^{\circ}C$에서 배양한 serratia marecescens의 지질성분을 분석한 결과, $30^{\circ}C$에서 배양한 세포의 지질은 phospholipid, glycolipid 및 확인되지 않은 지질 등이 생성되었으나 $37^{\circ}C$에서 배양한 세포의 경우는 주로 양쪽성 성질의 aminolipid인 serratamolide가 생성되어, 배양한 온도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 PDF

X-선 조사를 받은 흰쥐 망막의 색소상피세포와 기저복합층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n the Pigment Epithelial Cell and the Bruch's Membrane of the Rat Retina after X-Irradiation)

  • 고정식;신기호;안의태;양남길;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3권2호
    • /
    • pp.11-26
    • /
    • 1993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pigment epithelial cell and the Bruch's membrane of the retina of rat following X-ray irradiation. Male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heads of the rats, under sodium thiopental anesthesia, were exposed to 3,000 rads or 6,000 rads of radiation in a single dose, respectively. The source was a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ML-4MV. The target to skin distance was 80cm, and the. dose rate was 200 rads/m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on the 6th hour, 2nd and 6th day after X-ray irradiation. Under anesthesia,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 solution(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was perfused through the left ventricle and ascending aorta.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posterior region of the retina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1% osmium tetroxide(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7.3), and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The ultrathin sections contrast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were observed with JEM 100 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pigment epithelial cells were not pronounced after exposure to 3,000 rads of X-ray. But on the 6th hour after exposure to 6,000 rads of X-ray, bulging nuclear membrane protruding into the cytoplasm and nuclear chromatin clumped into numerous masses along the nuclear membrane were observed. At the 2nd and 6th day post-irradiation, partial cytolysis or necrosis were seen. 2. The thickness of the Bruch's membrane of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increased in the time and dose range covered by this study, and splitting or diffusing basal laminae of the choriocapillary layer were observed freque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bove results suggest that large amount(6,000 rads) of head irradiation induce direct hazardous effects on the pigment epitherial cells and Bruch's membrane of the retina of the rat, but pigment epithelial cells are more radioresistant than Bruch's membrane.

  • PDF

헤스페리딘/PLGA 필름에서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부착과 증식거동 (Adhesion and Proliferation Behavior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on Hesperidin/PLGA Films)

  • 이소진;강수지;김혜윤;이정환;김은영;권순용;정진화;주천기;강길선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24-30
    • /
    • 2014
  • 망막색소상피(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는 시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RPE의 퇴화는 여러 망막변성질병을 유발한다. 현재 이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 부족하여 세포 이식에 적합한 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인 PLGA와 항염증, 항산화 작용 등의 기능이 있는 헤스페리딘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ARPE-19를 파종한 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률을 확인하고, 세포의 부착 및 세포 형태를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RPE 세포의 특이적 유전자 발현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고, RPE65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AEC 면역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헤스페리딘/PLGA 필름은 PLGA보다 RPE 세포의 부착, 증식 및 표현형 유지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헤스페리딘/PLGA 필름의 망막재생을 위한 조직공학적 담체로써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색고구마 습관성캘러스로부터 안토시아닌 고생합성 세포주 선발 (Selection of High Anthocyanin-Producing Cells from Habituated Callus Derived from Purple Sweetpotato)

  • 박혜정;김윤실;박현용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9-24
    • /
    • 2007
  • 자색고구마 (Ipomoea batatas cv. Jami) 잎 조직배양으로 유도된 캘러스는 계대배양시 생장량이 감소하였다. 빠르고 간편하게 생장하는 습관성캘러스를 $1{\mu}M\;2,4-D$ 첨가된 MSBM에서 계대배양 없이 6개월간 지속배양하여 선발하였다. 습관성캘러스는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는 MSBM의 고체, 액체 배지에서 계대배양 횟수의 제한 없이 빠르게 지속생장이 가능하였다. 암조건의 액체배양 6 개월 후에는 자색생합성 부위가 생겼으며, 이를 2년 여간 분리하여 자색습관성세포괴를 선발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자미의 괴근에서 추출되는 1.5 mg/ml에 근접한 1.0 mg/ml으로 나타났다. 자색습관성 세포괴는 안토시아닌 기내대량에 효과적 세포주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