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sterol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41초

회분식반응기를 이용한 미강유, 팜스테아린과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 유래 대량 제조된 저트랜스 쇼트닝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Scaled-up Low-Trans Shortening from Rice Bran Oil and High Oleic Sunflower Seed Oil with Batch Type Reactor)

  • 김지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8-345
    • /
    • 2009
  • 미강유(RBO), 팜스테아린(PS),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HO)를 기질로 사용하여 24 hr, $65^{\circ}C$의 조건하에 회분식 반응기(batch type reactor)에서 TLIM을 이용한 interesterification을 통해 생성된 저트랜스 쇼트닝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DSC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SFC 함량 변화는 commercial shortening과 low-trans shortening(LTS) 간에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고, slip melting point는 각각 35.5, $34.8^{\circ}C$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LTS는 전체 지방산 조성의 90% 이상이 C16:0(33.7 wt%), C18:1(45.7 wt%), C18:2(13.4 wt%)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트랜스지방산은 시중 유통 쇼트닝보다 3배 이상 적은 0.5 wt%로 미량 검출되었다. Sn-2 position에 위치한 지방산 조성은 C16:0이 36.6 wt%, C18:1이 43.5 wt%로 나타났다. LTS의 주요 TAG 조성으로는 POO, POP, PLO 등으로 나타났고, 반응 전과 반응 후의 TAG 조성을 비교해 보면, OOO와 PPP의 area%는 각각 27.65에서 6.97 area%로, 11.97에서 3.36 area%로 감소한 반면 POO는 15.94에서 29.05 area%로, PLO는 6.44에서 13.05 area%로 증가되었다. ${\alpha},\;{\gamma}\;{\delta}$-Tocopherol 분석 결과 LTS의 total tocopherol은 12.37 mg/100 g, ${\gamma}$-oryzanol 함량은 0.43 mg/100 g을 나타냈으며, total phytosterol 함량은 251.38 mg/100 g으로 나타났다. Commercial shortening과 LTS의 texture analyzer를 통한 hardness 측정 결과, commercial shortening은 157.41 g, LTS는 157.00 g으로 두 시료의 hardness가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LTS의 polymorphic form을 측정하기 위해 x-ray duffraction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쇼트닝이나 마가린은 ${\beta}'$형 결정일 때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데, LTS의 분석 결과 ${\beta}$형이 함께 공존하고 있지만, ${\beta}'$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The improvement of ginsenoside accumulation in Panax ginseng as a result of γ-irradiation

  • Kim, Dong Sub;Song, Mira;Kim, Sun-Hee;Jang, Duk-Soo;Kim, Jin-Baek;Ha, Bo-Keun;Kim, Sang Hoon;Lee, Kyung Jun;Kang, Si-Yong;Jeong, Il 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332-340
    • /
    • 2013
  • In this study, gamma rays were used to irradiate embryogenic calli induced from cotyledon explants of Panax ginseng Meyer. After the embryogenic calli were irradiated, they were transferred to adventitious roots using an induction medium; next, mutated adventitious root (MAR) lines with a high frequency of adventitious root formations were selected. Two MAR lines (MAR 5-2 and MAR 5-9) from the calli treated with 50 Gy of gamma rays were cultured on an $NH_4NO_3$-free Murashige and Skoog medium with indole-3-butyric acid 3 mg/L.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ginsenoside biosynthesis was analyz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RNA prepared from native ginseng (NG), non-irradiated adventitious root (NAR) and 2 MAR lines. The expression of the squalene epoxidase and dammarenediol synthase genes was increased in the MAR 5-2 line, whereas the phytosterol synthase was increased in the MAR 5-9 line. The content and pattern of major ginsenosides (Rb1, Rb2, Rc, Rd, Re, Rf, and Rg1) were analyzed in the NG, NAR, and 2 MAR lines (MAR 5-2 and MAR 5-9) using TLC and HPLC. In the TLC analysis, the ginsenoside patterns in the NG, NAR, and 2 MAR lines were similar; in contrast, the MAR 5-9 line showed strong bands of primary ginsenosides. In the HPLC analysis, compared with the NG, one new type of ginsenoside was observed in the NAR and 2 MAR lines, and another new type of ginsenoside was observed in the 2 MAR lines irradiated with gamma rays. The ginsenoside content of the MAR 5-9 lin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comparison to the NG.

국내 시판 포도씨유의 비타민 E,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조성 비교 (Comparison of Vitamin E, Phytostero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Commercially Available Grape Seed Oils in Korea)

  • 위민정;성지혜;전건욱;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53-956
    • /
    • 2008
  • 국내 시중에서 유통되는 포도씨유 10종에 대한 비타민 E,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E는 $\alpha$-토코페롤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10.1{\sim}44.8\;mg/100\;g$이었다. 또한 다른 식물성 유지에서 분석되지 않거나 함량이 낮은 $\alpha$-T3와 $\gamma$-T3가 비교적 높은 함량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성스테롤 함량 분석에서 10종의 유지 모두 $\beta$-sitosterol($63.9{\sim}119.3\;mg/100\;g$)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비율은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가 주요 지방산으로 분석되었다. 포도씨유 10종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식물성스테롤 및 지방산 성분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나 그 함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각각의 포도씨유 생산에 사용된 포도씨 품종의 차이와 서로 다른 품종의 포도씨의 혼합여부 그리고 생산과정 중의 차이에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벼 HMG-CoA 환원효소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 Microsomal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in Rice Seedling)

  • 김제현;백융기;김종범;김종국;황영수;하선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47-52
    • /
    • 1998
  •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HMG-CoA) 환원효소는 식물의 병원균 방어물질 (phytoalexin), 광합성 색소 (the phytol of chlorophyll), 성장 호르몬 (abscisic acid와 gibberellin 등) 및 스테롤 (phytosterol) 등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효소이다. 암조건 하에서 발아 후 4일째의 벼 유묘 microsome을 재료로 비이온성 detergent 인 Brij W-1 (final 0.4%)을 사용하여 가용화 시킨 후, DEAE-Sephadex A-50 크로마토그래피 칼럼과 hexaneagarose를 matrix로 기질인 HMG-CoA를 결합시켜 제조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이용하여 세포막 결합효소인 HMG-CoA 환원효소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HMG-CoA 환원효소의 최종 회수율은 7.14% 였고, 분자량은 10% SDS-PAGE에서 55 kDa이였다 HMG-CoA 환원효소의 최적 반응 온도는 $37^{\circ}C$, 최적 반응 pH는 6.9였고, 기질인 HMG- CoA에 대한 HMG-CoA 환원효소의 $K_m$$V_{max}$ 값은 $180\;{\mu}M$과 107 pmol/mg, 수소공여체인 NADPH에 대한 $K_m$$V_{max}$값은 $810\;{\mu}M$과 32.1 pmol/min/mg이였다.

  • PDF

문관나무 종자유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A Study on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Xanthoceras sorbifolia Seeds Oil)

  • 박유화;이기연;홍수영;김희연;허남기;김경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47-1752
    • /
    • 2012
  • 본 연구는 문관나무 종자유로부터 새로운 유지자원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분석을 하였다. 문관나무 종자유를 초임계 추출(420 atm, $50^{\circ}C$), 헥산 추출, 가열압착($160^{\circ}C$, $180^{\circ}C$)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그 결과 추출 수율은 헥산 추출이 $53.5{\pm}2.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60^{\circ}C$ 가열압착 추출이 $48.3{\pm}6.5%$, $180^{\circ}C$ 가열압착 추출과 초임계 추출은 각각 $44.7{\pm}1.7%$, $44.7{\pm}2.5%$의 수율을 보였다. 산가를 측정한 결과, 초임계 추출 종자유가 3.44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열압착 추출 종자유가 1.3 mg/g 정도로 가장 낮았다. 문관과 종자유의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가열압착 추출 종자유($160^{\circ}C$)가 3.10 meq/k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가열압착 추출 종자유($180^{\circ}C$)가 2.36 meq/kg, 헥산 추출 종자유와 초임계 추출종자유가 각각 1.59, 1.13 meq/kg 순으로 나타났다. 문관나무의 종자유로부터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oleic acid(C18:1)와 linoleic acid(C18:2)가 60% 이상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문관나무 종자유의 총 phytosterol 실험 결과 가열압착 추출 종자유($160^{\circ}C$)의 함량이 $65.91{\pm}0.62$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문관나무 종자유의 추출방법별 이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문관나무 종자유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sterol rich fraction of cultured marine microalga Nannochloropsis oculata

  • Sanjeewa, Kalu Kapuge Asanka;Fernando, Ilekuttige Priyan Shanura;Samarakoon, Kalpa W.;Lakmal, Hetti Handi Chaminda;Kim, Eun-A;Kwon, O-Nam;Dilshara, Matharage Gayani;Lee, Joon-Baek;Jeon, You-Jin
    • ALGAE
    • /
    • 제31권3호
    • /
    • pp.277-287
    • /
    • 2016
  • Five fractions separated from Nannochloropsis oculata using solvent-solvent partition chromatography of 80% methanolic extract of N. oculata (NOM) followed by the open silica column chromatography of its hexane fraction (NOMH) for the anti-inflammatory on RAW 264.7 cells and anti-cancer activities on HL-60, A-549, HEP-3B, HCT-116, and SW-480 cancer cells. All the five fractions showed potential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gainst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cells with IC50 values less than 6.25 μg mL−1. Moreover, 90% n-hexane column elution of NOMH (NOMH90) down-regulated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protein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Furthermore, NOMH90 showed marked cytotoxic effect on the HL-60 cells with IC50 value of 23.58 ± 0.09 μg mL−1. In addition, Hoechst 33342 cell permeable dye used to visualize the apoptosis nucleus and cell cycle analysis measured Sub-G1 DNA contents to confirm reduction of the cell viability in NOMH90 treated cells due to induction of apoptosis in HL60. These results are quite related to the phytosterol contents of the NOMH fractions and the results suggest N. oculata extracts might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s of natural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compounds. In conclusion, the sterol content in N. oculata might provide a promising role in future medicines in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현미유를 이용한 기능성 유지의 효소적 합성 및 고 콜레스레롤, 고 지방 식이가 생쥐의 간 ACAT활성에 미치는 영향 (Enzymatic Synthesis of Functional Oil from Rice Bran Oil and Dietary Effects on Hepatic ACAT Activities of High Cholesterol and High Fat Fed Mice)

  • 김성현;부우펑란;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03-809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DG, MG를 함유한 기능성 유지를 합성하기 위해 lipase(IM 60)를 이용하여 현미유와 글라이세롤을 회분식 교반기에서 glycerolysis화 반응을 하였다. 합성한 기능성 유지와 현미유의 이화학적, 영양학적 특성 을 비교하기 위해 지방산 조성, 기능성 물질 함량 및 동물 식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기능성 유지는 DG(46.19%), MG(11.15%)와 7G(41.71%) 그러고 미량의 자유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지방산 조성은 현미유와 흡사하였다. 비검화 물질함량 또한 현미유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요물질로써 Phytosterol(2.04$\pm$0.17 mg/g), ${\gamma}$-oryzano1(1.06$\pm$0.04 mg/g), $\alpha$ -tocopherol(0.13$\pm$0.04 mg/g)이 검출되었다. 동물 식이실험 에서는 기능성 유지와 현미유 식이군이 ACAT activity를 저해하였으며, HCHF 식이군과 옥수수유 식이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낮다(p<0.05). 간과 지방 조직의 지방산 조성은 기능성 유지를 비롯한 모든 식이군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추출된 옥수수유와 땅콩유로부터 Conjugated Linoleic Acid를 함유한 재구성지질의 효소적 합성 및 분석 (Enzymatic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from Extracted Corn and Peanut Oil)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00-1005
    • /
    • 2004
  • 식물성 유지자원 중 옥수수와 땅콩을 원료로 하여 35$^{\circ}C$, 100 rpm의 항온교반수조와 8$0^{\circ}C$의 soxhlet extractor에서 1, 3, 6시간에 따라 유지를 추출한 후, sn-1,3 위치 특이성을 가지는 IM 60(Rhizomucor miehei, EC 3.1.1.3)를 사용하여 acidolysis 방법을 통해 CLA를 함유하는 재구성지질을 합성하였다. 추출된 옥수수유와 땅콩유 모두 35$^{\circ}C$, 6시간에서 각각 3.59, 47.98%로 여러 추출 조건 중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고, 추출된 유지 모두 phytosterol 이성질체(camp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 중 $\beta$-sitosterol의 함량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추출된 유지의 주요 지방산으로 조사되었다. 추출된 유지와 재구성 지질(추출유-CLA)의 tocopherol 함량 분석 결과 추출된 유지와 합성한 유지의 총 tocopherol 함량이 지정된 온도의 추출시간과 반응(합성)시간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재구성 지질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CLA 총 함량이 반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4시간 반응에서 옥수수유와 땅콩유에 결합된 CLA 총 함량이 각각 9.25, 7.48mol%로 여러 반응시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CLA의 주요 이성질체 중 생리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cis 9, trans 11-CLA와 trans 10,cis 12-CLA의 재구성 지질 내 함량은 옥수수유와 땅콩유 각각 7.50, 6.30 ㏖%이었다.

Comparative transcriptome and metabolome analyses of four Panax species explore the dynamics of metabolite biosynthesis

  • Hyunjin, Koo;Yun Sun, Lee;Van Binh, Nguyen;Vo Ngoc Linh, Giang;Hyun Jo, Koo;Hyun-Seung, Park;Padmanaban, Mohanan;Young Hun, Song;Byeol, Ryu;Kyo Bin, Kang;Sang Hyun, Sung;Tae-Jin, Y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44-53
    • /
    • 2023
  • Background: The genus Panax in the Araliaceae family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worldwide and is known to biosynthesize ginsenosides and phytosterols. However, genetic variation between Panax species has influenced their biosynthetic pathways is not fully understood. Methods: Simultaneous analysis of transcriptomes and metabolomes obtained from adventitious roots of two tetraploid species (Panax ginseng and P. quinquefolius) and two diploid species (P. notoginseng and P. vietnamensis) revealed the diversity of their metabolites and related gene expression profiles. Results: The transcriptome analysis showed that 2,3-OXIDOSQUALENE CYCLASEs (OSCs) involved in phytosterol biosynthesis are upregulated in the diploid species, while the expression of OSCs contributing to ginsenoside biosynthesis is higher in the tetraploid species. In agreement with these results, the contents of dammarenediol-type ginsenosides were higher in the tetraploid species relative to the diploid speci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whole-genome duplication event has influenced the triterpene biosynthesis pathway in tetraploid Panax species during their evolution or ecological adaptation.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further efforts to explore the genetic variation of the Panax genus.

여러 종류 콩의 일반 및 기능성 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Gener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Various Soybeans)

  • 이솔;이윤복;김향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55-1262
    • /
    • 2013
  • 본 연구는 검정콩 2호, 대원콩, 선흑콩, 소명콩, 신팔달콩 2호, 진품콩 2호, 태광콩, 푸른콩에 대해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성 성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5.50~6.16% 범위였고, 조단백 함량은 40% 내외로 시료 간 큰 차이는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푸른콩, 대원콩, 소명콩 및 검정콩 2호가 20% 내외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진품, 선흑, 신팔달콩 2호, 태광콩는 15% 내외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회분 함량은 4.89~5.86%로 나타내어 품종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탄수화물 함량은 26.20~35.45%로 분포하였다. 무기질의 함량에서 콩나물용 칼슘 함량은 소명콩이 406.36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마그네슘 함량은 신팔달 2호가 247.79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이에 반해 진품콩은 칼슘이 199.51 mg/100 g으로 가장 낮았고, 선흑콩은 가장 낮은 마그네슘 함량(90.03 mg/100 g)을 나타냈다.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97.54~402.00 mg/100 g으로 품종 간 차이를 보였다. 시료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은 콩나물용 소명콩이었고,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것은 밥밑용 선흑콩이었다. 총 올리고당 함량은 5.84~9.35 mg/100 g이었다. 총 올리고당 중 sucrose의 함량이 약 50% 정도로 나타났다. Raffinose는 0.52~0.81 mg/100 g으로 함량이 나타났고, stachyose의 함량은 2.05~3.45 mg/100 g으로 나타났다. Bracassi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을 분석한 것으로 ${\beta}$-sitosterol이 평균적으로 식물성 sterol의 50%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campesterol, stigmasterol 순서였으며 bracassisterol은 소량이 분석되었다. Phytic acid 함량은 신팔달콩 2호와 진품콩 2호가 0.86%, 1.65%로 이를 제외한 시료들은 약 2% 정도를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이섬유소 함량은 24.20~29.20% 범위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