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ological Reaction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33초

세포외 $Ca^{2+}$$Ca^{2+}$-ATPase가 정자의 첨체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ellular $Ca^{2+}$ and $Ca^{2+}$-ATPase on the Acrosome Reaction of Spermatozoa)

  • Yung-Keun Oh;Jae-Ho Chang;In-Ho Choi;Noh-Pal Jung;Hyung-Cheul Shin;Byoung-Ju Kwa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33
    • /
    • 1998
  • 세포내, 외 $Ca^{2+}$ 농도구배 유지에는 $Ca^{2+}$-ATPase와 $Ca^{2+}$-$Na^{+}$ exachangers가 주요한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히 $Ca^{2+}$-ATPase의 기능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Ca^{2+}$-ATPase는 체세포에서 세포막에 위치하고 있으며 $Ca^{2+}$을 세포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세포내부의 $Ca^{2+}$농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Ca^{2+}$-ATPase는 포유동물의 정자에도 존재하고 있지만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설명이 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정자가 수정을 하기 위한 기능적인 능력이 $Ca^{2+}$ 농도와 관련된 변화와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가를 규명하고, 이러한 $Ca^{2+}$ 농도 조절이 원형질막의 중요인자인 $Ca^{2+}$-ATPase와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기 위해 시도한 결과, $Ca^{2+}$-ATPase는 세포내, 외 $Ca^{2+}$의 농도구배를 조절함으로써 세포내 $Ca^{2+}$의 농도를 증가시켜 정자가 수정능 획득과정으로 빨리 전환하도록 유도하고 첨체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세포외 $Ca^{2+}$ 농도가 높게 유지될 경우에도 정자의 첨체반응이 유도됨으로써 난자와 용이하게 수정을 할 수 있는 생리적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서지학적 고증을 통한 인삼 승열작용의 정체성 - 한의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Identity of thermogenic reaction to Korean ginseng through bibliography - Focusing on oriental medicine interpretation)

  • 고성권
    • 인삼문화
    • /
    • 제3권
    • /
    • pp.119-131
    • /
    • 2021
  • 본 연구는 서지학적 고증을 통하여 고려인삼 승열작용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해소방안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인삼의 승열작용과 관련하여 고문헌은 음(陰)이 부족하고, 폐가 열(火)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 가래가 있는 사람, 맥(脈)이 강하고 빠른 사람, 비위(脾胃)가 실열(實熱)하여 변비가 있는 사람은 인삼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청(淸)나라의 『본초정의』(本草正義)는 산양삼은 미한(微寒)의 보음(補陰) 작용이 있고, 밭 재배인삼은 미온(微溫)의 보기(補氣) 작용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또한, 청나라의 『본경봉원』(本經逢源), 『본초편독』(本草便讀), 『본초정의』는 미삼(尾蔘)은 쓴맛(苦味)으로 보음하고, 기미(氣味)가 차가운 성질(寒)로 하행(下行)하는 성질이 있다고 하였다. 한편, 명(明)나라의 『월지인삼전』(月池人蔘傳)과 청나라의 『본초비요』(本草備要)에서는 생인삼(生人蔘, 수삼)은 맛이 달고 쓰며, 약간 냉(凉)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고문헌의 기록을 고려해보면, 고려인삼의 승열의 부작용은 약간 냉하여 허화(虛火)를 걷어주고, 보음, 하행하는 한방생리작용을 나타내는 미삼, 생삼(수삼) 그리고 산양삼을 이용한 제품 개발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적외선 체열 영상 진단법을 이용한 스마트 섬유소재와 휴대폰 통화량에 따른 인체 생리반응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uman's physiological in Smart Textile Materials by Using Medical Infrared Thermo graphic Imaging)

  • 이태일;이수정;이경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918-925
    • /
    • 2005
  •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image test to verify the changes in facial temperature according to call duration with a cellular phone. As for the body temperatures, it appears to be the mean value at the upper central point of phone's battery among 7 different points that are measured, and to be the highest at srernocleido-mastoid and scapular trapezius muscle triangle zone$(34.25^{\circ}C\; and\;34.05^{\circ}C\;each)$. The changes of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ime duration shows that the body temperature ris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phone use because of the heat emitted from the battery. As for the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blocking materials, the one without processing appears to be higher in the mean temperature compared to the others that are processed, NSS(Nano Silver Silk) and NSG(Nano Silver Silk Gold) appear to be the lowest in the temperature to show the best blocking property. As for the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measuring points, it appears to be the highest at P4, P5 with all materials, and one with NSG to be the lowest at Pl, P2, P3, and one with NSS to be the lowest at P3, P4, P5, P6, which is due to the thermal conduction of Au and Ag. And the mean temperature at each point appears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terials. Therefore, the study conducted with human participants requires a proper particle size of it which would not penetrate cellular tissues and a proper binder and binding treatment for it, to prevent the physical fatigues and the potential diseases. However, it is highly required for back-up researches to verify various aspects in applying nano silver to textile products.

New surveillance concepts in food safety in meat producing animals: the advantage of high throughput 'omics' technologies - A review

  • Pfaffl, Michael W.;Riedmaier-Sprenzel, Irmgar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7호
    • /
    • pp.1062-1071
    • /
    • 2018
  • The misuse of anabolic hormones or illegal drugs is a ubiquitous problem in animal husbandry and in food safety. The ban on growth promotants in food producing animals in the European Union is well controlled. However, application regimens that are difficult to detect persist, including newly designed anabolic drugs and complex hormone cocktails. Therefore identification of molecular endogenous biomarkers which are based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after the illicit treatment has become a focus of detection methods. The analysis of the 'transcriptome' has been shown to have promise to discover the misuse of anabolic drugs, by indirect detection of their pharmacological action in organs or selected tissues. Various studies have measured gene expression changes after illegal drug or hormone application. So-called transcriptomic biomarkers were quantified at the mRNA and/or microRNA level by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technology or by more modern 'omics' and high throughput technologies including RNA-sequencing (RNA-Seq). With the addition of advanced bioinformatical approaches such as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or dynamic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 valid 'biomarker signature' can be established to discriminate between treated and untreated individuals. It has been shown in numerous animal and cell culture studies, that identification of treated animals is possible via our transcriptional biomarker approach. The high throughput sequencing approach is also capable of discovering new biomarker candidates and, in combination with quantitative RT-qPCR, validation and confirmation of biomarkers has been possible. These results from animal production and food safety studies demonstrate that analysis of the transcriptome has high potential as a new screening method using transcriptional 'biomarker signatures' based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triggered by illegal substances.

Computational Analysis on Calcium Dynamics of Vascular Endothelial Cell Modulated by Physiological Shear Stress

  • Kang, Hyun-Goo;Lee, Eun-Seok;Shim, Eun-Bo;Chnag, Keun-Shik
    • International Journal of Vascular Biomedical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1-9
    • /
    • 2005
  • Flow-induced dilation of blood vessel is the result of a series of bioreaction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VEC). Shear stress change by blood flow in human artery or vein is sensed by the mechanoreceptor and responsible for such a chain reaction. The inositol(1,4,5)-triphophate($IP_3$) is produced in the first stage to elevate permeability of the intercellular membrane to calcium ions by which the cytosolic calcium concentration is consequently increased. This intracellular calcium transient triggers synthesis of EDRF and prostacyclin. The mathematical model of this VEC calcium dynamics is reproduced from the literature. We then use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blood stream dictating the VEC calcium dynamics. The pulsatile blood flow in a stenosed blood vessel is considered here as a part of study on thrombogenesis. We calculate the pulsating shear stress (thus its temporal change) distributed over the stenosed artery that is implemented to the VEC calcium dynamics model. It has been found that the pulsatile shear stress induces larger intracellular $Ca^{2+}$ transient plus much higher amount of EDRF and prostacyclin release in comparison with the steady shear stress case. It is concluded that pulsatility of the physiological shear stress is important to keep the vasodilation function in the stenosed part of the blood vessel.

  • PDF

고추에서 분리된 Ralstonia solanacearum 계통의 생리, 생화학 및 유전적 특성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Ralstonia solanacearum Strains Isolated from Pepper Plants in Korea)

  • 이영기;강희완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265-272
    • /
    • 2013
  • 전국 7개도 14개 시 군의 주요 고추 재배지에서 시들음 증상을 나타내는 식물체의 땅가 줄기에서 분리 선별된 63개 풋마름병균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추에서 분리된 풋마름병균들은 고추(cv. 대왕)와 토마토(cv. 서광)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모든 병원균들은 배양적, 생리 생화학적 특성 및 특이 PCR 검출에 의하여 Ralstonia solanacearum으로 동정되었다. 고추에서 분리된 63개 풋마름병균들은 race 1 계통으로 2가지 biovar로 구분되었는데, biovar 3은 17개 균주로 27%였고 biovar 4는 46개의 균주로 73%였으며, biovar 4의 생리형이 우점계통이었다. Rep-PCR에 의한 국내 고추 풋마름병균들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한 결과, 70%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12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 고추 풋마름병에 대한 방제와 저항성 품종 육성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lginate Lyase 생산 균주 Pseudomonas sp. N7151-6의 분리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ginate Lyase Producing Pseudomonas sp. N7151-6)

  • 이재형;배민지;김양춘;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0-354
    • /
    • 2009
  • 해운대 연안에서 그람 음성균이면서 알긴산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N7151-6 균주의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는 $30^{\circ}C$, 최적 pH는 8.0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0-7%(w/v) NaCl 농도에서도 성장 가능하다. 16S rDNA 염기 서열 분석과 생화학적 분석에 의해 이 균주는 Pseudomonas 속으로 동정되어 Pseudomonas sp. N7151-6으로 명명하였다. Pseudomonas sp. N7151-6에서 생산하는 알긴산 분해효소를 한외여과(ultrafilteration; MWCO=30 kDa) 방법에 의해 부분정제하였다. 분리된 효소의 최적 pH는 7.0으로 최적 온도는 $30^{\circ}C$로 조사 되었다. pH 5.0에서 9.0까지 이 효소는 안정하였으며, $23^{\circ}C$에서 $37^{\circ}C$까지의 범위에서도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알긴산 분해효소의 전체 활성은 110 unit/L이었다.

에탄올에 대한 참돔 Pagrus major의 행동 및 생리학적 반응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Juvenile Red Seabream Pagrus major exposed to Ethanol Seawater)

  • 박진우;장영진;김기태;권준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7-58
    • /
    • 2012
  • 에탄올 0.6% 해수에 5시간 동안 침지한 참돔 치어는 유영행동을 멈추었으며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 상태에 도달하였다. 이 농도구에서 생존율은 100%였으며 RBC, hematocrit, Hb 수치는 다른 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 코티졸 농도 또한 0.6% 에탄올 농도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0.8% 이상의 에탄올 해수에 침지한 실험어는 심한 스트레스 반응과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참돔 치어를 0.6%의 에탄올 해수에 침지시키고 매시간 산소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해수에 침지된 실험어는 실험개시 2시간 후부터 종료 시까지 지속적으로 일반해수에 침지된 실험어보다 적은 산소를 소비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에탄올에 의해 유도된 취기효과가 마취제의 마취효과와 비슷하였으며, 5시간 침지 시 혈액성상, 행동반응, 생존율, 산소소비율 등을 종합하여 볼 때, 0.6% 이하의 에탄올 농도가 참돔치어에게 안전한 농도이며, 0.8% 이상에서는 독성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Regioselective Oxidation of Lauric Acid by CYP119, an Orphan Cytochrome P450 from Sulfolobus acidocaldarius

  • Lim, Young-Ran;Eun, Chang-Yong;Park, Hyoung-Goo;Han, Song-Hee;Han, Jung-Soo;Cho, Kyoung-Sang;Chun, Young-Jin;Kim, Dong-Ha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3호
    • /
    • pp.574-578
    • /
    • 2010
  • Archaebacteria Sulfolobus acidocaldarius contains the highly thermophilic cytochrome P450 enzyme (CYP119). CYP119 possesses stable enzymatic activity at up to $85^{\circ}C$. However, this enzyme is still considered as an orphan P450 without known physiological function with endogenous or xenobiotic substrates. We characterized the regioselectivity of lauric acid by CYP119 using the auxiliary redox partner proteins putidaredoxin (Pd) and putidaredoxin reductase (PdR). Purified CYP119 protein showed a tight binding affinity to lauric acid ($K_d=1.1{\pm}0.1{\mu}M$) and dominantly hydroxylated (${\omega}-1$) position of lauric acid. We determined the steady-state kinetic parameters; $k_{cat}$ was 10.8 $min^{-1}$ and $K_m$, was 12 ${\mu}M$. The increased ratio to $\omega$-hydroxylated production of lauric acid catalyzed by CYP119 was observed with increase in the reaction temperature. These studies suggested that the regioselectivity of CYP119 provide the critical clue for the physiological enzyme function in this thermophilic archaebacteria. In addition, regioselectivity control of CYP119 without altering its thermostability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novel CYP119-based catalysts through protein engineering.

Nocardia sp의 생리 생화학적연구 (제2보) Tellurite 환원효소에 관하여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f Nocardia sp (Part 2) Tellurite-Reducing Enzyme)

  • 홍순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41-151
    • /
    • 1977
  • Nocardia sp의 tellurite 및 tellurate 환원효소의 세포내 분포 및 이의 정제법에 대한 실험과 효소 화학약 성질에 대한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Nocardia sp의 tellurite 및 tellurate 환원효소는 세포질중에 존재하며 T.T.C.의 환원부위와는 세포내에서의 존재양식이 서로 다르다. 세포용성 성분을 균체로부터 조제하여 이것을 재료로 해서 유안여석법,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등을 병용함에 따라, tellurite및 tellurate 환원순서의 정제가 가능하다. 이상의 정제효소를 사용하여 이의 낙소 화학적 성질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수소공여체로는 NADH, NADPH 환원형(methylene blue)의 어느 것이든 작용한다는 것을 알았지마는 아마 생리적 수소공여체는 NADH, NADPH의 양자이든가 또는 이들 양자중에서 어느 하나일 것이다. 한편 이들 수소공여체에 대한 수소수용기는 본 효소에 있어서는 tellurite가 균체의 기질이 되지마는 tellurite 및 tellurate와 화학구조가 유사한 selenite, selenate를 환원하여 각각의 기질화합물중에 함유되어 있는 금속을 석출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