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and solution to thermogenic reactions to Korean ginseng through bibliographic research. A review of bibliography on the thermogenic reaction induced by ginseng indicated that people who lack fluids, have fever in lungs, a stuffy chest, coughing up sputum, a strong pulse, and constipation due to fever in the stomach may exhibit such a reaction. In the herbal medicine book of the Qing Dynasty, Bon-Cho-Jeong-Ui (本草正義) recorded that wild simulated ginseng is slightly cold and replenishes the body's liquid reserves. The book also describes the field cultivated ginseng is slightly warm and enhancing stamina. Bon-Kyung-Bong-Won (本經逢源), Bon-Cho-Pyon-Dok (本草便讀), and Bon-Cho-Jeong-Ui were published authors in the Qing Dynasty, and they explained that ginseng fine root is bitter, supplements bodily fluids, and can be easily ingested because it is cold. Wol-Ji-In-Sam-Jeon (月池人蔘傳) and Bon-Cho-Bi-Yo (本草備要) described fresh ginseng assweet, bitter, and slightly col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is bibliographic description, the thermogenic reaction induced by Korean ginseng can be overcome by using ginseng fine root, fresh ginseng, or wild simulated ginseng. These ginseng radices are slightly cool, replenish human bodily fluids, and show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easy ingestion properties.
본 연구는 서지학적 고증을 통하여 고려인삼 승열작용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해소방안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인삼의 승열작용과 관련하여 고문헌은 음(陰)이 부족하고, 폐가 열(火)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 가래가 있는 사람, 맥(脈)이 강하고 빠른 사람, 비위(脾胃)가 실열(實熱)하여 변비가 있는 사람은 인삼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청(淸)나라의 『본초정의』(本草正義)는 산양삼은 미한(微寒)의 보음(補陰) 작용이 있고, 밭 재배인삼은 미온(微溫)의 보기(補氣) 작용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또한, 청나라의 『본경봉원』(本經逢源), 『본초편독』(本草便讀), 『본초정의』는 미삼(尾蔘)은 쓴맛(苦味)으로 보음하고, 기미(氣味)가 차가운 성질(寒)로 하행(下行)하는 성질이 있다고 하였다. 한편, 명(明)나라의 『월지인삼전』(月池人蔘傳)과 청나라의 『본초비요』(本草備要)에서는 생인삼(生人蔘, 수삼)은 맛이 달고 쓰며, 약간 냉(凉)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고문헌의 기록을 고려해보면, 고려인삼의 승열의 부작용은 약간 냉하여 허화(虛火)를 걷어주고, 보음, 하행하는 한방생리작용을 나타내는 미삼, 생삼(수삼) 그리고 산양삼을 이용한 제품 개발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