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정제과정에 따른 대나무기름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Bamboo oil from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by refining process)

  • 나명순;최현숙;이명렬;류성렬;박승규;최용덕;박옥란;최두복;신대윤
    • 공업화학
    • /
    • 제19권1호
    • /
    • pp.129-132
    • /
    • 2008
  • 본 연구는 정제과정에 따른 대나무 기름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성분을 검토하기 위해 타르, 색차계, 총 유기산 및 총 페놀성 물질 함량, 조 단백질 및 조 지방 함량, 유리 당 및 기름성분, 유기산 및 무기물을 분석하였다. 정제과정을 통해 타르 성분이 약 78% 이상 감소되었으며 색차계 분석에서 명암이 정제의 샘플에서 92.4로 나타내어 투명해졌고 적색도는 29.1에서 3.0으로 낮아졌다. 총 유기산 및 총 페놀성 물질 함량은 정제과정 중에 각각 약 63%와 80%가 감소되었다. 조 단백질 및 조 지방 함량은 정제과정 중에 각각 약 60, 56% 감소했고, 유리 당 별로는 lactose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fructose, glucose 순이었다. 미 정제 및 정제 대나무 기름에서 palmit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tearic acid, linoleic acid 순이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정제과정 중에 약 88%의 유기산이 감소되었고 formic acid가 가장 많았다. 양이온 함량은 미 정제 기름의 Ca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K, Na, Fe 순이었으며, 정제 기름은 Ca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Fe, K, Na 순이었다.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 박경란;강성태;김민주;오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65-1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26%, 조회분 10.61%, 조단백질 5.10%, 수분 6.30%, 조지방 1.73%였고, 비타민 A 및 E의 함량에 비하여 비타민 C 함량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66 mg/g, 42.78 mg/g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죽엽 추출물 0.04% 이상에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해서는 0.16% 이상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서는 0.02% 이상에서 강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S. 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P. intermedia는 죽엽추출물 0.32% 농도에서 각각 60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죽엽 에탄올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죽엽이 구강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數種 韓藥材의 齒牙美白 效果에 관한 實驗的 硏究 (Study on the effects of herbal extracts on tooth whitening, antioxidant, nitric oxide synthesis and Streptoccocus mutans.)

  • 정현아;;임석인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9
    • /
    • 2002
  • Fifteen herbs used in oral medicine were extracted in ethanol and screened for tooth whitening effec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n Streptoccocus mutan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The tooth whitening effect of toothpaste containing 1 $\%$ ethanol extracts of 15 herbs was tested in brushing method using artificially stained HAT tablet and bovine tooth specimens. Toothpaste containing 1$\%$ of Vucia unijuga, Illicium verum, Angelica dahurica and Piper longum extracts showed tooth whitening effects on both HAT tablet and bovine tooth specimens. But the others did not show a considerable activity. 2.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15 herbs was tested using the method of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eactivity. Two ethanol extracts of Cimicifuga heracleifolia and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 heracleifolia and P. nigra var. henonis extracts removed 86$\%$ and 81 $\%$ of DPPH radical at 0.01$\%$, compared with butylated hydroxy toluene as positive control. 3. The inhibition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n nitrate production In RAW264.7 cell stimulated by lipopolysacchride was tested using the Griess reagent. But all extracts did not inhibit nitrate production. 4. The antibacterial activity on Streptoccocus mutans was tested by paper disk method. But no one extract showed any anti - bacterial activity.

  • PDF

담죽엽(淡竹葉)과 죽엽(竹葉)의 기원(起源)에 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 김재환;주영승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16
    • /
    • 1996
  • For distinguish between Lophatherum gracile and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based on natural shape and external-internal morphology of medicinal shape, general contents of oriental medicine were rearranged through bibliography. As a result, two medicinal stuffs indicated the difference in shape and structure(external-internal and powder)of origin plant bibiliographically. After this, this contents were utilized to give proof of many effective difference between two medicinal stuff.

  • PDF

대나무류 3종 소다-안트라퀴논 펄프 내 존재하는 hexeneuronic acid가 카파 값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hexeneuronic acid on kappa number determination in 3 different bamboo soda-anthraquinone(AQ) pulps)

  • 송우용;이규성;이숙경;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3호
    • /
    • pp.73-79
    • /
    • 2016
  • Hexeneuronic acid in soda-anthraquinone(AQ) pulps from Moso bamboo(Phyllostachys pubescebs), Timber bamboo(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Henon bamboo(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was investigated with mercuric chloride hydrolysis and UV spectroscopic quantification. Concentration of hexeneuronic acid in bamboo pulps was $36.6-45.4{\mu}mol/g$, which contributed to 3.1-3.9 value increase of kappa number. Lower concentration of 4-O-methylglucuronic acid in bamboo xylan contributed to lower hexeneruonic acid content in bamboo pulps than those of hardwood(yellow poplar or eucalyptus) but higher than softwood(red pine).

열처리(熱處理) 죽재(竹材)의 동적점탄성(動的粘彈性) (Dynamic Viscoelasticity of Heat-Treated Bamboo)

  • 홍병화;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67-73
    • /
    • 199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of three specie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and Phyllostachys pubescens, grown in southern Korea. The bamboo was treated for 3~24 hours at $60{\sim}180^{\circ}C$, and then was treated in a climatic chamber for 3~48 hours at $40^{\circ}C$ and 95% relative humidit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Dynamic Young's modulu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duration of the heat treatment. 2. Internal fric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treatment duration. 3. Moisture absorp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duration of the heat treatment. 4. Dynamic viscoelasticity decreased, whereas internal friction slowly in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 PDF

Protection of Amyloid ${\beta}$ Protein (25-35)-induced Neuronal Cell Damage by Methanol Extract of New Stem of Phyllostachys nigra Munro var. henonis Stapf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

  • Ban, Ju-Yeon;Cho, Soon-Ock;Kwon, Soon-Ho;Kim, Jin-Bae;Song, Nak-Sul;Bae, Ki-Whan;Song, Kyung-Sik;Seng, Yeon-Hee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5-102
    • /
    • 2005
  • Caulis Bambusae in Taenia is widely used in Korea and China due to it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of Caulis Bambusae in Taenia (CB) from Phyllostachys nigra Munro var. henonis Stapf (Gramineae) on amyloid ${\beta}$ protein (25-35) $(A{\beta}\;(25-35))$, a synthetic 25-35 amyloid peptide, -induced neurotoxicity using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CB,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10-50{\mu}g/{\mu}l$, inhibited the $A{\beta}\;(25-35)\;(10\;{\mu}M)$-induced neuronal cell death, as assessed by a 3-[4,5-dimethyI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the number of apoptotic nuclei, evidenced by Hoechst 33342 staining. CB $(50\;{\mu}g/{\mu}l)$ inhibited glutamate release into medium induced by $10\;{\mu}M\;A{\beta}$, (25-35) which was measured by HPLC. Pretreatment of CB $(50\;{\mu}g/{\mu}l)$ inhibited $10{\mu}M\;A{\beta}$ (25-35)-induced elevation of cytosolic calcium concentration $([Ca^{2+}]_c)$, which was measured by a fluorescent dye, fluo-4 AM,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B prevents $A{\beta}$ (25-35)-induced neuronal ell damage in vitro.

ITS 서열에 의한 한국 왕대속 식물종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Phylogenic Study of Genus Phyllostachys (Phyllostachys) in Korea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ITS))

  • 이송진;허만규;허홍욱;이병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81-1287
    • /
    • 2011
  • 왕대속은 벼과 또는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목본성 초본이며 아시아의 인도와 중국에 많은 종이 주로 분포한다. 식물에서 속간 속내 계통관계 추론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ITS 부위가 있다. 이 속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 식물 왕대 속내 네 식물종 간 계통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핵 게놈의 ITS 부위로 평가하였다. DNA 서열 배당은 많은 갭(gaps)을 가지고 있었다. 이 속 내 서열 변이는 일부 삽입과 결실이 발견되었고 속내 종간 변이는 자연도태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속의 오죽과 분죽은 세 계통도(MP, ML, and NJ)에서 모두 같은 분지군을 형성하여 가장 근연관계에 있었다. 기존의 형태학적 특성과 단순 반복 서열(ISSR)의 결과와 유사한 계통 관계를 나타내어 왕대속에서 ITS의 서열이 이들 분류군에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국산 죽재의 기계 가공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chinability of Korean Domestic Bamboo Species)

  • 이형우;김병남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56-63
    • /
    • 1999
  • 국산 죽재를 목재산업용 원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우리나라 대나무 수종인 전남 담양산 맹종죽, 분죽 및 왕대의 절삭과 건조특성 등 기계가공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쪼개기저항은 공구가 2.5cm 피삭재 내부로 진입하였을 때 최대로 상승하였으며, 칼날각 15도의 쐐기형 공구를 이용하면 쪼개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둥근톱과 띠톱에 의한 죽재의 절삭면 품질은 목재의 경우에 비하여 비교적 양호하였다. 한편 두께 12mm 맹종죽을 함수율 60%에서 10%까지 온도 $70^{\circ}C$로 건조하는데 약 62.5 시간이 소요되었다.

  • PDF

대나무의 잎말이나방류(類)에 대한 기주(寄主), 생태(生態) 및 피해(被害)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ost Plant, Bionomics, and Damage of Bamboo Leaf Rollers in Chonnam Province Area)

  • 김규진;이태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5-92
    • /
    • 1986
  • 전남지역(全南地域) 대나무 집단재배지(集團栽培地)에 피해(被害)가 확대(擴大)되고 있는 잎말이나방류(類)의 발생(發生), 기주식물(寄主植物), 생태(生態) 및 피해(被害)에 관(關)해서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전남지역(全南地域)에서 대나무엽(葉)에 피해(被害)를 주는 명나방류(類)에는 줄노랑명나방(Microstega jessica (B.))과 줄허리들명나방(Sinibotys evenoralis (W.) 2종(種)이었고 담양(潭陽)에서 발생비율(發生比率)을 보면 줄노랑명나방이 96.5%, 줄허리들명나방이 3.5%이었으나 나주(羅州), 화순(和順)에서는 줄허리들명나방만이 발생(發生)되었다. 2. 기주식물(寄主植物) 조사(調査)에서 줄노랑명나방은 왕대(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죽순대(P. pubescens Mazel), 솜대 (P. nigra var. henonis Stapf), 오죽(P. nigra Munro), 줄허리들명나방은 왕대, 솜대, 오죽으로 밝혀졌는데, 본조사(本調査)에서는 줄노랑명나방의 솜대와 오죽 2종(種)과 줄허리들명나방의 솜대 1종(種)이 새로운 기주(寄主)로서 확인(確認)되었다. 3. 줄노랑명나방은 담양지역(潭陽地域)에서 연(年) 1회(回) 발생(發生)하며 그 최성기(最盛期)는 5월(月)하순(下旬)이었고 줄허리들명나방은 나주지역(羅州地域)에서 연(年) 2회(回) 발생(發生)으로 그 최성기(最盛期)는 6월(月)상순(上旬)과 7월(月)중순(中旬) 경(頃)이었다. 4. 각(各) 태별(態別) 평균기간(平均期間)을 보면 줄노랑명나방은 난(卵)이 8일(日), 유충이 293일(日), 용(踊)이 16일(日), 성충수명은 자충이 12일(日), 웅충이 9일(日)이었고, 줄허리들명나방은 1화기(化期)는 난(卵)이 11일(日), 유충이 28일(日), 용(踊)이 12일(日) 성충수명은 자충이 18일(日), 웅충이 15일(日)이었으며 2화기(化期)는 난(卵)이 7일(日), 유충이 261일(日) 용(踊)이 20일(日), 성충수명은 자충이 11일(日) 웅충이 10일(日)이었다. 5. 1일중(日中) 줄노랑명나방의 성충우화시간을 보면 저녁 6시(時)부터 새벽 4시(時)까지였고 그 Peak는 밤 $8{\sim}10$시(時)였다. 6. 월동태(越冬態) 및 월동장소(越冬場所)는 줄노랑명나방은 6령충(齡蟲)으로 땅에 떨어진 죽순껍질과 새로 나온 대나무 밑부분에 붙어있는 죽순껍질에서 줄허리들명나방은 $1{\sim}2$령충으로 수상(樹上) 대나무엽(葉)에서 월동(越冬)하였다. 7. 줄노랑명나방의 수고별(樹高別) 피해엽율(被害葉率)에 있어서는 주(主)로 상부(上部)에 피해(被害)가 많았으며 하부(下部)로 내려갈수록 피해(被害)가 적었다. 종류별(種類別)로는 솜대, 왕대 죽순대 순(順)으로 피해(被害)가 많았으며 수령(樹齡)과 피해율(被害率)과의 관계(關係)는 1년생(年生), 2년생(年生), 3년생(年生), 4년생(年生), 5년생(年生) 순(順)으로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r=-0.739^{**}$)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