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ne Number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32초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여가시간활용과 바우처사업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부여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Leisure Time and Service Satisfaction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Focused on Buyeo)

  • 전병진;이재신;권미화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35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바우처사업 서비스 만족도와 여가시간사용을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서비스 선호도를 고려한 여가시간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여군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들의 특성에는 성별, 배우자 유무, 건강수준, 학력, 월 생활비, 자녀수, 직업 등의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삶의 질,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t-검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의 여가활동에 대해 조사한 결과, TV시청하기, 친구만나기, 전화통화하기 등의 정적인 활동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있었으며, 바우처 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노인구강관리 서비스, 건강검진 서비스, 스포츠마사지 서비스 등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에 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농촌지역 노인의 의미 있는 여가시간활용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건강관련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강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여가활동에 대한 경험 및 지식습득의 기회를 제공하여 의미 있는 여가시간을 증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 PDF

5일 금연학교의 장기적 효과에 관한 연구 (Long-term Effect of the 5-Day Stop-Smoking School)

  • 김선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3-115
    • /
    • 1998
  • As the studies that smoking can be a major cause to various diseases have been made, many following researches on the outcome of stop-smoking education were in progress. Even though researches based on the knowledge about smoking and status about the teenagers were prevalent, the research based on the outcomes in long time basis were not in progress. Therefore, I tracked the people who went through 5-Day Stop-Smoking School that has taught through complexed structure of behavioral, intellectual, and psychological education. I made researches on the average of success and the hardest point during their efforts to stop just to show the necessity of going through re-educ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he ones who have completed the education on the years 1990, 1991. 47 were selected from 364 people that completed the training, and who were able to be contacted on the phone lin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7 Oct. to 7 Nov. 1997 through verbal interviews based on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used here was made by myself, assisted by my professor. Analysis was made through unstructured open question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ives are $97.0\%$ were male, $17\%$ ages below 40s, $34\%$ in the age group of 40s, and $48.9\%$ over 50s. Religiously christian 340/0, buddhist $19.1\%$, no religion or any other reason $46.8\%$. Status married $93.6\%$, unmarried $6.4\%$. There is someone smoking in the family $36.2\%$, no one smokes $63.8\%$. Reputation salary men $55.3\%$, personal business $27.7\%$. 2) The average of success is $42.6\%(20/47)$, the failure is $57.4\%$. 3) The results from the study 'When was the hardest point in the process of stop smoking' : For the successors the first week $33.3\%$, after the first week $66.7\%$. For the failures the first week $55\%$, after first week $45\%$(Statistics not precisely done), the most effective element that helped through the hardest point was the family $40\%$, personal determination $30\%$. 4)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 Successors needed $55\%$, not needed $45\%$. Failures needed $48.1\%$, not needed $51.9\%$(Statistics not precisely done). The perfect time for reeducation : Successors in 6 months $50\%$, irregular time basis $50\%$. Failures in six months $36.4\%$, after six months $27.3\%$, irregular time basis $36.4\%$(Statistics not precisely done). Synthesizing the result of the study can't generalize the long-term effect of the stop-smoking due to the number of the objectives,. but recognize the fact that 47.6 have experienced success, and also the self-determination and the support from the family are desirable. Seeing the fact that both are great motivation to stop smoking. Since the first week is necessary.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is rather high, so this education should be planned to be done repeatedly in a long term along with close observation, instead of short education.

  • PDF

모유수유에 대한 산모의 의식과 실천 현황 (Current Understanding and Practices of Breast feeding by Mothers)

  • 박은영;조수진;이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162-1165
    • /
    • 2005
  • 목 적 : 실질적인 모유수유 교육 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산모의 모유수유의 실태와 의식을 조사하고 6년 전 시행했던 유사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모유수유의 추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동대문병원에서 건강한 신생아를 출산한 127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산모는 출산 후 1일에 면담하였고 1, 2, 3개월에 다시 전화 추적 면담으로 모유수유 상태와 계획을 조사하였다. 결 과 : 분만 직후 96.1%의 산모들이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었다. 이중 73.2%는 완전 모유수유를, 22.8%는 혼합수유를 계획하고 있었다. 모유수유 기간은 대부분에서 7-12개월을 계획하고 있었다. 모유수유를 주위에서 권장한 사람은 가족이 가장 많았다. 3개월이 경과되면서 완전 모유수유를 하는 산모의 비율은 50%정도로 감소하였고, 혼합 수유하던 산모들은 대부분 인공수유로 이행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1999년에 Jung 등이 시행했던 연구에서와 비슷하나 3개월까지 완전모유수유를 유지하는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모유수유 실패 요인은 젖 부족이(35.0%), 직장 복귀가(27.5%)로 의료인의 지지와 교육으로 도와줄 수 있는 원인들이었다. 결 론 : 1999년 Jung 등의 연구와 비교하여 볼 때 생후 3개월까지 완전 모유수유를 유지하는 비율은 27%에서 50%로 증가하였으나, 모유수유를 실패하는 대부분은 생후 1개월에 인공수유로 전환됨을 알 수 있었다. 혼합 수유를 시행하는 산모에게 실질적이고 지지적인 교육을 통해서 모유수유 성공률은 증가될 수 있다.

보건교사의 비만관리실태 조사연구 (A study on practice of obesity control by school nurses)

  • 주현옥;송미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9-261
    • /
    • 2002
  • This study was a research study to find out the real picture and practice of student obesity control by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chool nurses. The study sampled 196 school nurses working in the Busan City and Northern Gyungsang Province, who agre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When it comes to the study process, at the meeting of the whole school nurses,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sked them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return on the spot. The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chool nurses in field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control student obesity by examining perception of school obesity control and the real picture or practice of obesity control as well as its problems. The study used SPSS 10.0 to analyz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Annual plans about obesity control appeared significant at the primary school, 89.3%, higher than 77.3%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p<0.05). Annual project 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regions, 56.0% of metro cities vs. small cities(p<0.01). The number of measuring weight of obese students was higher at the primary school than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p<0.05). Also small cities conducted the weight measurement more often than metro cities(p<0.001). Among the health education methods for obesity, counseling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The health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e experienced school nurses. Among the educational media, environment postings were used at the primary school, 24.0%, higher than 5.3%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OHP or epidiascopes were used at the primary school, 36.4%,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p<.001). In addition, computer was used at the primary school, 21.5%, higher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p<.05). Problems of obesity education data included a lack of textbooks and programs and a short of educational media. However it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s or in regions. Counseling activities for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s(p<.01) and in regions(p<.001). When parents with obese students were in counseling, those in their 20s used home correspondence and those in their 30s and 40s used phone call(p<.01). The rate of equipment to measure obesity was higher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than the primary school,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Therefore, regular health education curriculums for school nurses should be systematically created to promote student health. Furthermore, it needs to make standard textbooks for health education by grades as well as by levels an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media.

A Novel Query-by-Singing/Humming Method by Estimating Matching Positions Based on Multi-layered Perceptron

  • Pham, Tuyen Danh;Nam, Gi Pyo;Shin, Kwang Yong;Park, Kang Ryo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7호
    • /
    • pp.1657-1670
    • /
    • 2013
  •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usic files in smart phone and MP3 player makes it difficult to find the music files which people want. So, Query-by-Singing/Humming (QbSH)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retrieve music from a user's humming or singing without having to know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title or singer of song. Most previous researches on QbSH have been conducted using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MIDI) files as reference songs. However, the production of MIDI files is a time-consuming process. In addition, more and more music files are newly published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 market. Consequently, the method of using the more common MPEG-1 audio layer 3 (MP3) files for reference songs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However, there is little previous research on QbSH with MP3 files because an MP3 file has a different waveform due to background music and multiple (polyphonic) melodies compared to the humming/singing query.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new QbSH method using MP3 files on mobile device. This research is novel in four ways. First, this is the first research on QbSH using MP3 files as reference songs. Second, the start and end positions on the MP3 file to be matched are estimated by using multi-layered perceptron (MLP) prior to performing the matching with humming/singing query file. Third, for more accurate results, four MLPs are used, which produce the start and end positions for dynamic time warping (DTW) matching algorithm, and those for chroma-based DTW algorithm, respectively. Fourth, two matching scores by the DTW and chroma-based DTW algorithms are combined by using PRODUCT rule, through which a higher matching accuracy is obtained. Experimental results with AFA MP3 database show that the accuracy (Top 1 accuracy of 98%, with an MRR of 0.989) of the proposed method is much higher than that of other methods. We also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on consumer mobile device.

성조숙증 여아와 정상발달 여아의 심리사회적 행동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Psycho-Social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and Normal Girls)

  • 문우진;권호장;황만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57-369
    • /
    • 2018
  • 본 연구는 성조숙증 여아와 정상 발달 여아의 심리사회적 행동특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성조숙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여 성조숙증 예방 및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 조사기간은 2016년 6월 1일부터 2017년 2월 25일까지였으며,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어린이전문 H한의원과 S한의원에 성조숙증으로 내원한 환자군 여아 104명과 대조군 A그룹 104명, 지방 군단위 소재 초등학교 여아의 대조군 B그룹 104명으로, 성별과 연령을 짝지은 총 312명과의 비교를 통해 성조숙증 여아와 정상 발달 여아의 심리사회적 행동특성을 파악하고자 집단 간 특성을 t-test, ${\chi}^2test$, ANOVA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성조숙증의 영향요인은 이항로지스틱(Multinomial logistic)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조숙증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은 첫째, 행동특성의 식습관에서 고기류 섭취횟수(p<.05)와 외식빈도(p<.05)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특성의 일상생활에서 TV시청(p<.001)과 스마트폰 사용시간(p<.01), 수강학원 수(p<.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특성에서 정서상 및 신체상의 지수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남으로써 병리를 더 지닌 것으로 도출되었다. 넷째, 사회적 특성에서 가족 및 친구관계의 지수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남으로써 병리를 더 지닌 것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증가하는 여아의 성조숙증에 대해 부모와 학교 나아가 사회적 관심이 중요하며 성조숙증에 대한 발생원인과 발생빈도를 밝히는 광범위한 연구수행이 필요하다.

성조숙증 여아와 정상 발달 여아의 신체상 부모특성 및 행동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Physical Parent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Characteristic between Girls of Precocious Puberty and Girls of Normal Development)

  • 문우진;황만기;심정연;김희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53-662
    • /
    • 2017
  • 본 연구 목적은 우리나라 성조숙증 여아들의 신체상 부모특성 및 행동특성이 성조숙증에 미치는 관련성을 파악하여 성조숙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조사기간은 2016년 6월 1일부터 2017년 2월 25일까지였으며,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어린이전문 H한의원과 S한의원에 성조숙증으로 내원한 환자군 여아 104명과 대조군 A그룹 104명, 지방 군단위 소재 초등학교 여아의 대조군 B그룹 104명으로, 성별과 연령을 짝지은 총 312명과의 비교를 통해 성조숙증 여아와 정상 발달 여아의 신체상 부모특성 및 행동특성을 파악하고자 집단 간 특성을 t-test, $X^2test$, ANOVA 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성조숙증의 영향요인은 이항로지스틱(Multinomial logistic)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조숙증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은 첫째, 신체 및 부모특성에서 본인 신장과 어머니 초경연령이 도출되었다. 둘째, 행동특성의 식습관에서 고기류 섭취횟수와 외식빈도가 도출되었다. 셋째, 행동특성의 일상생활에서 TV시청과 스마트폰 사용시간, 수강학원 수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증가하는 여아의 성조숙증에 대해 부모와 학교 나아가 사회적 관심이 중요하며 성조숙증에 대한 발생원인과 발생빈도를 밝히는 광범위한 연구수행이 필요하다.

상태레벨 공유를 이용한 MLLR 적응화의 회귀클래스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ression Class Generation of MLLR Adaptation Using State Level Sharing)

  • 오세진;성우창;김광동;노덕규;송민규;정현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727-73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HM-Net (Hidden Markov Network)을 다양한 태스크에의 적용과 화자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HM-Net 음성인식 시스템에 MLLR (Maximum Likelihood Linear Regression) 적응방법을 도입하였으며, HM-Net 학습 알고리즘을 개량하여 회귀클래스 생성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PDT-SSS (Phonetic Decision Tree-based Successive State Splitting)알고리즘의 문맥방향 상태분할에 의한 상태레벨 공유를 이용한 방법이다. 즉, 문맥방향의 각 상태에 적응화자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문맥정보를 분할하여 적응화될 음소환경을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안방법은 새로운 화자로부터 문맥정보와 적응화 데이터의 발성 양에 의존하여 결정된 많은 적응 파라미터들을 (평균, 분산)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안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어공학센터 (KLE) 452 데이터와 항공편 예약관련 (YNU200) 연속음성을 대상으로 인식실험을 수행한 결과, 음소인식, 단어인식, 연속음성인식에 대해서, 평균 34∼37%, 평균 9%, 평균 20%의 성능 향상을 각각 보였다. 또한 적응화 데이터의 양에 따른 인식성능 비교에서 제안방법을 적용한 인식 시스템이 적응 데이터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향상된 인식률을 보여 MLLR 적응방법의 특성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MLLR 적응방법을 도입한 HM-Net 음성인식 시스템에 제안한 회귀클래스 생성방법이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전기재해 위험도 분석 (Analysis and Risk Prediction of Electrical Accidents Due to Climate Change)

  • 김완석;김영훈;김재혁;오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03-610
    • /
    • 2018
  • 본 산업의 발달 및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인하여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가 가속화되어 기존보다 강도 높은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전기시설물은 옥외에 시설된 경우가 많아 자연재해에 큰 영향을 받아 전기설비 관련 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기후변화에 따른 전기화재, 감전사고 및 전기설비사고의 통계 현황을 분석하여 기후변화와 연계한 위험도를 제시한다. 또한, 다양한 지역 별(광역시) 기후조건(온도, 습도)과 연계한 전기재해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각 지역의 월별 전기화재 위험도 분석 모델을 제시하고, 저압, 고압 설비의 자연재해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한다. 이러한 지역별, 설비별 위험도 분석 모델을 통하여 기초적인 전기재해 예측 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제시한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향후 각 지역 및 전기설비를 대상으로 전기재해 위험도 예측 맵을 웹사이트나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기안전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으며, 기후변화의 따른 자연재해에 대한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내성기준이나 전기설비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SSD 기반 서버급 스토리지를 위한 지역성 기반 청킹 정책을 이용한 데이터 중복 제거 기법 (Data Deduplication Method using Locality-based Chunking policy for SSD-based Server Storages)

  • 이승규;김주경;김덕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2호
    • /
    • pp.143-151
    • /
    • 2013
  • 낸드 플래시 기반 SSD(Solid State Drive)는 빠른 입출력 성능, 저전력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타블릿, 데스크탑 PC, 스마트폰, 서버 등의 저장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SSD는 쓰기 횟수에 따라서 마모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SSD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중복제거 기법이 도입되었으나, 일반적인 고정 크기 분할방식은 데이터의 지역성을 고려하지 않고 청크크기를 할당함으로써, 불필요한 청킹 및 해시값 생성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변 크기 분할방식은 중복제거를 위해 바이트 단위로 비교하여 과도한 연산량을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SSD 기반 서버급 스토리지에서 쓰기 요청된 데이터의 지역성에 기반한 적응형 청킹 정책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중복데이터가 가지는 응용프로그램 및 파일 이름 기반 지역성에 따라 청크 크기를 4KB 또는 64KB로 적응적으로 분할하여, 청킹 및 해시값 생성에 따른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중복 쓰기를 방지한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가변 크기 분할 및 4KB의 고정 크기 분할을 이용한 중복제거기법보다 SSD의 쓰기 성능이 향상되고 전력 소모 및 연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