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llinus Linteus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3초

상황버섯의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분석 (Phellinus linteus; Market and Technology Trends Analysis)

  • 손은화;노현숙;박영서;손은수;강세찬;강남성;표석능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09-117
    • /
    • 2008
  • 담자균류의 버섯은 대부분 영양생장단계의 균사체와 포자를 형성하는 생식생장단계인 자실체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자연산 상황버섯은 자연계에서의 분포수가 극히 적어 그 자실체를 얻기 어려우며, 이러한 희귀성으로 인해 매우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상황버섯은 균사체 배양기술과 인공재배법이 확립된 후 농가에서 대량생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하였다. 그러나 인공재배법에 의한 상황버섯 추출물은 자연산 추출물의 항암 및 효능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자연산 자실체와 같은 수준에서의 약효를 나타내기 위한 인공배양기술과 고농도 유효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추출법이 핵심기술로 대두되었고, 인공배양된 상황버섯과 자연산의 다각도적인 약효 비교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높게 함유된 저렴한 추출물이 생산될 수 있는 기반 기술들이 기능성 음료용수, 식품 및 의약품으로 개발에 중요한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상황버섯 기능성 식품의 시장은 상황버섯의 효능에 대한 인지 증대, 웰빙열풍을 의한 건강 음료에 대한 선호도 증대 등으로 인해 향후에도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중소기업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어 마케팅 및 유통의 한계로 인해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지 않으나, 사업매력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어 대기업에서도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시장에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산지가 다른 상황버섯의 휘발성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hellinus linteus from Different Areas)

  • 장은영;임성임;정영기;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9-164
    • /
    • 2006
  • 산지가 다른 세 종류의 상황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고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분석 동정하였다. 검출된 화합물 중 총 82성분을 동정 또는 추정하였으며, 관능기별로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탄호수소류 등이 검출되었다. 식용버섯에서는 보고되지 않았던 2-methylphenol, methoxy benzene, coumaran, azulene, ${\alpha}-cedrene,\;{\alpha}-longipinene,\;{\beta}-selinene,\;{\alpha}-selinene$, camphor, ${\gamma}-ionone,\;{\beta}-ionone$, phytol, borneol등 탄화수소류, 케톤류 및 알코올류의 화합물이 상황버섯에서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부산진성 상황버섯은 클로로필 유래의 Phytol과 곰팡이 냄새의 특징을 갖는 methoxy benzene이, 진주금황 상황버섯은 꽃냄새에 기여하는 phenylacetaldehyde가 많은 양 검출되었다. 반면, 제주귤림 상황버섯은 methoxy benzene 류는 소량 검출되었으나, phenylacetaldehyde는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함류량이 세 종류의 상황버섯에서 양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gamma}-ionone$${\beta}-ionone$이 소량 동정되었으며, 이는 carotenoid의 분해물로 생성되는 것으로 상황버섯이 carotenoid계의 색소를 함유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 액체발효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iquid Fermentation by Phellinus linteus Mycelium)

  • 신현영;김훈;정은진;김현경;손승우;서민근;김나리;서형주;유광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87-497
    • /
    • 2021
  • To investigate the industrial availability of liquid fermentation (PL-ferment) by Phellinus linteus mycelium as a postbiotics for the inhibition of inflammation, PL-ferment was fractionated into culture supernatant (CS), hot-water extract (HW) from PL-ferment, EtOH-precipitate (CP) fractionated from HW, and the dialysate (DCP) of CP. Compared to the other fractions, DCP which is expected to contain exopolysaccharide (EPS) as the major compon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O, IL-6, and MCP-1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IL-6 and IL-8 in TNF-α and IFN-γ-induced HaCaT cells. The general compon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onents was observed between the fractions, whereas sugar composition analysis revealed that DCP had decreased glucose and increased mannose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fractions. This suggests that mannos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ctive fraction, DCP.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alysis revealed that DCP was mainly composed of low-molecular-weight material-removed high-molecular-weight polysaccharides of 18-638 kDa, suggesting that EPS originated from P. linteus EPS.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CP of P. linteus mycelium fermentation us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could be used industrially as postbiotic material.

기주식물에 따른 목질진흙버섯의 일반성분(무기물) 함량변화 I (Component(mineral) difference of Phellinus linteus on cultured to timber)

  • 이수원;한기원;장원철;이대진;정동식;이영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0-104
    • /
    • 2005
  • 두 종류의 목질진흙버섯인 P. linteus와 P. baumii를 뽕나무, 참나무, 느릅나무등 3가지의 기주식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켜 무기물의 함량을 ICP 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주 및 기주식물에 따라 무기물의 커다란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량 함유 무기물중 K은 두 균주 모두 가장 많은 무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참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K의 함량이 두배 정도 높았고 Ca은 뽕나무의 함량이 특히 높았다. Fe은 특히 느릅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Fe 함량이 월등히 적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량 함유 무기물은 Na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결과를 확인하여 두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재배된 자실체의 Na 함량이 10배나 크게 함유되었다. 또한 P. linteus의 무기물 함량 특징은 극미량 원소중 Zn가 원목에 따른 함량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Mn의 함량 또한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3배 정도 높게 함유되었다. 그리고 무기물만의 함량으로 P. linteus와 P. baumii를 구별하는데 Zn의 함량을 측정할 수는 있으나 Zn 만으로는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으나 형태적으로 P. linteus와 P. baumii의 자실체의 모양이 차이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 무기물의 함량을 측정하며 P. linteus와 P. baumii가 어떤 원목에서 재배되었는가를 판정할수 있는 자료로 연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PDF

상황버섯이 인간 백혈병 세포주인 HL-60 세포의 분화유도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llinus linteus on Differentiation and Cell Proliferation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 최은영;주성민;박진모;박준호;한동민;전병훈;김원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170-1175
    • /
    • 2007
  •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water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on the induction of HL-60 cell differentiation. The proliferation of HL-60 cell was inhibited dose-dependently by treatment with various doses of P. linteus extract. It also caused a significant change in NBT reduction (7.5 times). The expression of CD11b and CD14 was increased in the cells treated with the extract, especially in those arrested at G0/G1 stage, which suggested that some components in P. Linteus extract induced HL-60 cell differentiation to granulocytic and monocyte lineages. Moreover, the expression levels of $p21^{WAF1/CIP}$ and $p27^{KIP}$ were up-regulated during HL-60 cell differentiation induced by P. Linteus extract. These results together suggest that P. Linteus extract contains potential HL-60 cell differentiation agents.

Peroxynitrite scavengers from Phellinus linteus

  • Jeong, Da-Mi;Jung, Hyun-Ah;Kang, Hye-Sook;Choi, Jae-Su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08
  • Peroxynitrite ($(ONOO^-)$ is a cytotoxic species formed from nitric oxide and superoxide anion, which are highly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oxidative stress-mediated disea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avenging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on authentic $ONOO^-$, and further phytochemical studies are planned that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active principles. From the active EtOAc fraction, a mixture of fungisterol and 5-dihydroergosterol (1), a mixture of betulin and 1,2-benzenedicarboxylic acid bis (2-methyl heptyl) ester (2), protocatechualdehyde (3), protocatechuic acid (4), cirsiumaldehyde (5), hispidin (6), caffeic acid (7), phelligridin D (8), uracil (9), gallic acid (10), 2,5-dihydroxybenzoic acid (11), ferulic acid (12), 2,3-dihydroxybenzaldehyde (13), arbutin (14), isoferulic acid (15), guanosine (16), and ellagic acid (17) were isolated, and their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based on spectroscopic data. All compounds except 3, 6, 7 and 16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P. linteus. Compounds 3, 4, 6-8, 10-15, and 17 showed potent scavenging activity on $ONOO^-$, with $IC_{50}$ values of $2.06\;{\pm}\;0.10$, $3.45\;{\pm}\;0.57$, $0.71\;{\pm}\;0.05$, $2.78\;{\pm}\;0.36$, $5.42\;{\pm}\;0.26$, $1.13\;{\pm}\;0.02$, $1.82\;{\pm}\;0.17$, $0.91\;{\pm}\;0.19$, $1.59\;{\pm}\;0.09$, $1.88\;{\pm}\;0.07$, $1.22\;{\pm}\;0.37$, and $2.01\;{\pm}\;0.02\;{\mu}M$,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DL-penicillamine, with an $IC_{50}$ value of $5.04\;{\pm}\;0.06\;{\mu}M$.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 추출물 제제 PLM-WE1의 식물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억제 효과 및 활성성분의 동정 (Inhibitory Effects of PLM-WE1 Formulated from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Mycelium against Plant Viruses Inf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

  • 권순배;배선화;최장경;이상용;김병섭;권용수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59-265
    • /
    • 2010
  •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을 액체 배양한 균사체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PMMoV 및 CMV에 대한 감염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PMMoV 및 CMV에 높은 감염억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P. linteus 균사체의 열수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제제화한 PLM-WE1의 효능 평가를 위하여, PMMoV 및 CMV의 국부감염 기주식물에서 PLM-WE1의 바이러스 접종전 처리효과, 엽이면 처리시의 감염억제효과 및 PLM-WE1의 지속효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LM-WE1(처리농도 10 mg/ml)의 바이러스 접종전 처리시의 감염억제율은 PMMoV 99.2%와 CMV 80.3%이었으며, 본 제제(농도 5 mg/ml)의 엽이면 처리시의 감염억제율은 PMMoV 45.0%와 CMV 41.9%, 약효지속성은 처리 3일 후까지 PMMoV 75%와 CMV 62% 수준으로 감염억제 효과를 보였다. 바이러스 전신감염기 주식물을 이용한 감염억제효과는 PMMoV 75~85%와 CMV 75%이었다. PLM-WE1제제의 바이러스 감염억제 기작을 해석하기 위하여, 정제한 PMMoV에 제제를 혼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입자의 형태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아, PLM-WE1의 바이러스 감염억제기작은 바이러스입자의 응집(aggregation) 작용과는 다른 기작에 의한 것임이 추정되었다. 목질진흙버섯 균사체로부터 식물바이러스 감염억제 성분의 분리 및 동정을 위하여 유기용매분획, 산 가수분해 및 에탄올 분별침전을 실시하여 고활성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 분획물을 $^1H$-NMR 및 $^{13}C$-NM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alpha$- 또는 $\beta$-glucan이 결합된 다당류(polysaccharide)로 확인되었다.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을 이용한 상황버섯 첨가 전통 발효 증류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irits Brewed with Phellinus linteus by Different Nuruks)

  • 김미숙;이윤희;김인용;엄태길;김성환;조남지;유성률;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2042-204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을 활용한 발효주 및 증류주를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술덧의 알코올 함량은 개량누룩보다 전통누룩으로 발효에서 더 높았으며, 상황버섯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알코올 함량도 증가하였다. 술덧의 pH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였으며, 전통누룩과 개량누룩 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총 산 함량은 전통누룩 발효에 비하여 개량누룩 발효에서 더 낮았으며, 상황버섯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다. 증류주의 향기성분 중 i-amyl alcohol이 주된 퓨젤유였으며, 전통누룩 발효에서보다 개량누룩 발효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i-butanol 함량은 전통누룩 발효에서보다 개량누룩 발효에서 더 높았다. 에스테르 화합물 중 ethyl acetate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전통누룩 발효에서 상황버섯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ethyl acetate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의 적합한 균사생장 (Favorabl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Phellinus linteus)

  • 이원호;김수영;박영진;김태웅;김호경;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5-100
    • /
    • 2004
  • 목질진흙버섯의 균사생육에 적합한 배지로는 MYA(malt yeast agar)와 SMS(soybean flour malt extract sugar)이며, MYA를 기본배지로 사용하였다. 균사생육은 $30^{\circ}C$의 온도와 pH는 5.0에서 생장이 양호하였다. 영양원으로는 malt extract 2%, yeast extract 0.2%와 $KH_{2}PO_{4}$ 0.1% 상태에서 균사생장 및 밀도가 양호하였다. C/N비는 10 : 1의 비율이 가장 적합하였다. 삼각플라스크배양을 위해서는 용기부피 300 ml Shake flask에 100 ml의 배양액을 넣고 $5{\sim}6$개 균사체 절편을 접종하여 20일간 배양하면 높은 고립상의 균체를 양호하게 증식시킬 수 있었다. 대량 액체종균 배양을 위해 접종원을 균질기로 분쇄하여 통기량 2.0 vvm의 조건에서 12일 배양하면 높은 균사의 생장을 보였고 접종에도 수월하였다.

배양 조건에 따른 상황 버섯의 다당류 생산 및 단당류 구성 변화 (Effect of Cultural Conditions on Polysaccharide Production and its Monosaccharide Composition in Phellinus linteus L13202)

  • 이재훈;조수묵;고경수;유익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75호
    • /
    • pp.325-331
    • /
    • 1995
  • 상황 (Phellinus linteus) 의 균사체 생장과 다당류 생산 및 다당류에서의 단당류 구성비에 대한 배양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여러 가지 배지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GP(glucose-peptone)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양호하여, 이 배지를 사용하여 탄소원 및 pH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중 glucose에서 최대 균사체 생장 (0.9 g/100 ml)을 보였고, 다당류의 수율은 $5{\sim}14%$ 로서 mannose에서 최대이었다. 최적 pH는 7 이였으며, 산성 pH에서는 비교적 좋은 생장을 보였으나, 알칼리 pH에서는 생장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pH에 따른 다당류 수율은 $5{\sim}8%$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탄소원 및 pH에 따른 단당류 구성비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즉 탄소원에 따라서 다당류에서 glucose, mannose, 및 galactose 함량은 각각 $80{\sim}95%,\;3{\sim}12%$, 그리고 $2{\sim}10%$이었다. 한편 pH 변화에 따라서, glucose는 $83{\sim}92%$, mannose 는 $4{\sim}8%$, 그리고 galactose는$5{\sim}8%$의 구성비를 보였다. 이 결과는 배양 조건에 의한 항암면역활성 다당류의 구조의 변환 및 생산 증강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