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se compensation

검색결과 990건 처리시간 0.037초

가변 스텝 적응적 루프를 이용한 직접 변환 방식 수신기에서의 이득 및 위상 불일치 보상 알고리즘 (I/Q Gain and Phase Imbalances Compensation Algorithm by using Variable Step-size Adaptive Loops at Direct Conversion Receiver)

  • 송윤정;나성웅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104-111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직접 변환 방식의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I 채널 및 Q 채널 간의 이득 및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직접 변환 방식의 복조기에서의 이득 및 위상 불일치를 가변 스텝(Variable Step-size) 적응적 루프를 이용하여 블라인드(blind) 등화 방식으로 보상하는 알고리즘을 된 논문에서 제안한다. 이득 및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해 일반적인 블라인더 등화 기법을 이용할 경우 루프 이득에 따라 수렴속도와 지터(jitter) 영향이 trade-off 관계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적응적 루프의 이득을 오차에 따라 가변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 스텝 적응적 루프를 이용하여 빠른 수렴속도와 지터의 영향을 줄이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신호 손실 보상과 수렴 속도의 향상을 확인한다.

HDR-WPAN 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옵셋 보상과 트래킹 알고리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and Tracking Algorithms for HDR-WPAN System)

  • 박지우;오창헌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40-14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HDR-WPAN 시스템에 적합한 주파수 옵셋 보상과 누적 위상오차를 개선할 수 있는 트래킹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주파수 옵셋 보상 알고리즘은 CAZAC sequence의 자기상관 특성을 이용하여 각 심벌 내 샘플 간 위상오차를 통해 coarse 주파수 옵셋과 fine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게 된다. 그러나 HDR-WPAN 시스템은 payload에 pilot 심벌이 없기 때문에 payload 길이가 길어질수록 샘플 간 미소 위상오차가 누적되어 수신단의 성상도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트래킹 알고리즘을 통해 틀어진 누적 위상오차를 보상해야 한다. 트래킹은 성상도내 들어온 신호가 일정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벗어난 만큼의 크기 ${\theta}$을 곱해 누적된 미소 위상오차를 보상하게 된다.

  • PDF

전 영역의 전압보상을 위한 단상 직렬형 Quasi Z-소스 전압 Sag-Swell 보상기 (Single-Phase Series Type Quasi Z-Source Voltage Sag-Swell Compensator for Voltage Compensation of Entire Region)

  • 엄준현;정영국;임영철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22-332
    • /
    • 2013
  • Conventional single-phase series quasi Z-source voltage compensator can not compensate for voltage sag less than 50% that frequently occurs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is study, single-phase series quasi Z-source voltage sag-swell compensator which can compensate the voltage variation of entire range i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is composed of two quasi Z-source AC-AC converters connected in series with output terminal stage. Voltage sag less than 50% could be compensated by the intersection switching control of the upper converter duty ratio and of the upper converter duty ratio. Also the compensation voltage and its flowchart for each compensation mode are presented for entire sag-swell region.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ystem, a DSP(DSP28335) controlled experimental system was manufactured. As a result, the proposed system could compensate for the voltage sag/swell of 20% and 60%. Finally, voltage compensation factor and THD(Total Harmonic Distortion) according to voltage variation and load change were measured, and voltage quality shows a good results.

Phase Compensation of Fuzzy Control Systems and Realization of Neuro-fuzzy Compenastors

  • Tanaka, Kazuo;Sano, Manabu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3년도 Fifth International Fuzzy Systems Association World Congress 93
    • /
    • pp.845-848
    • /
    • 1993
  •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method of fuzzy phase-lead compensator and its self-learning by neural network. The main feature of the fuzzy phase-lead compensator is to have parameters for effectively compensating phase characteristics of control systems. An important theorem which is related to phase-lead compensation is derived by introducing concept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We propose a design procedure of fuzzy phase-lead compensators for linear controlled objects. Furthermore, we realize a neuro-fuzzy compensator for unknown or nonlinear controlled objects by using Widrow-Hoff learning rule.

  • PDF

A Phase Compensation for a Low Power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 Yamauchi, Tsutomu;Takahashi, Kazukiyo;Yokoyama, Michio;Shouno, Kazuhiro;Mizunuma, Mitsuru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1
    • /
    • pp.337-340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a phase compensation technique for the low power consumption OTA. Power consumption of the low power OTA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Wang's OTA. However. this circuit has an oscillation problem. The phase margin is -24deg. By using the phase compensation capacitor, the phase margin becomes 52deg. As a result, the low power consumption OTA circuit becomes to have an enough phase margin and to operate stably.

  • PDF

Compensation PWM Technique for Extended Output Voltage Range in Three-Phase VSI Using Three Shunt Resistors

  • Shin, Seung-Min;Park, Rae-Kwan;Lee, Byoung-Kuk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324-1331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compensation PWM technique for the extension of output voltage ranges in three-phase VSI applications using three shunt resistors. The proposed technique aims to solve the dead zone, which occurs in high modulation indexes. In the dead zone, two phase currents cannot be sampled correctly, so that the three-phase VSI cannot be operated up to the maximum output voltage. The dead zone is analyzed in detail, and the compensation PWM algorithm is developed.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by numerical analysis and experimental results.

SVPWM 방식의 3상 인버터에 대한 간단한 데드타임 보상 알고리즘 (Dead Time Compensation Algorithm for the 3-Phase Inverter using SVPWM)

  • 김홍민;추영배;이동희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10-617
    • /
    • 2011
  • 본 논문은 공간벡터펄스 변조법(SVPWM, 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을 사용하는 3상 인버터의 새로운 데드타임 직접 보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데드타임 보상방식은 인버터에 인가되는 데드타임을 중간상 전류의 방향에 따라, 유효전압이 인가되는 유효전압벡터 인가시간에서 직접 보상하는 방식이다. 3상 인버터에서 각상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유효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고, 데드타임의 영향에 따라, 실제로 유효전압이 인가되는 스위칭 시간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제안된 방식에서는 실제로 전류의 방향에 따라 손실이 발생하는 유효전압벡터의 인가시간에 직접적으로 손실 시간을 더하여 유효전압벡터의 인가시간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전압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제어기와 복잡한 d-q 변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방식은 3상 R-L 부하에 대하여 컴퓨터 모의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식의 데드타임 보상을 검증하였다.

왜곡된 전원 전압 하에서 삼상 PWM 컨버터의 전류 보상 기법 (Current Compensation Method of a Three Phase PWM Converter under Distorted Source Voltages)

  • 박내춘;목형수;지준근;김상훈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52-35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왜곡된 전원전압 하에서 삼상 PWM 컨버터의 전류 보상 기법을 제안하였다. PWM 컨버터의 제어에 있어서 전원단 전압의 정확한 위상각 정보는 필수적이다. 동기좌표계 PLL 기법을 이용하여 고조파 전압이 포함되어 있는 전원단의 위상각을 검출하는 경우 전원 전압의 고조파로 인해 왜곡된 위상각을 얻게 된다. 이러한 왜곡된 위상각으로 컨버터를 제어하는 경우 입력 전류는 순수 정현파가 되지 않고 고조파가 포함된다. 본 논문에서는 왜곡된 전원단 전압 조건에 대해서도 입력 전류의 고조파를 IEEE Std. 519 규정인 5% 이내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 보상기법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Mid-span Optical Phase Conjugator를 이용한 장거리 광 전송 시스템에서의 색 분산과 자기 위상 변조의 보상에 관한 연구 (Compensation of Chromatic Dispersion and Self Phase Modulation in Long-hau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Mid-span Optical Phase Conjugator)

  • 이성렬;이윤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76-58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광 전송 링크의 전송 성능 향상 방안으로써 표준 단일 모드 광섬유에 발생되는 색 분산과 자기 위상 변조 (SPM ; self phase modulation)에 의한 광 펄스의 왜곡을 최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광 위상 공액기(OPC ;optical phase conjugator) 에서의펌프 신호의 최적 전력을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적인 방법으로도 도출하고, 최적 펌프 전력 조건하에서의 안정된 수신 성능 유지를 위한 초기 입력 광 신호 전력의 범위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보상 기법은 전송 링크 중간에 광 위상 공액기를 두어 신호 왜곡을 보상하는 MSSI(mid-span spectral inversion)이고, 보상정도에 대한 평가는 EOP(eye-opening penalty)를 통해 수행하였다. 자기 위상 변조 등의 비선형 현상에 의한 신호 왜곡의 보상에 있어 전력 조절 문제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 전송 거리, 속도 및 성능에 맞는 최적 펌프 전력, 신호파 초기 전력, 증폭기 간격등의 도출과 이의 적용으로 전송 능력이 매우 증대된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PDF

위상천이법을 이용한 삼차원 형상측정에서 위상오차 보정 (Phase error compensation for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based on a phase-shifting method)

  • 박윤창;안성준;강문호;권영철;안승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023-3030
    • /
    • 2009
  • 고속 삼차원 형상측정에서는 충분한 위상이송 스텝 수를 적용할 시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스텝 수를 축소하게 되면서 위상측정에서의 잡음이 증가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파장 PMP법에 있어서 두 파장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위상에 포함되어 있는 위상오차를 예측하고, 이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보정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위상천이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텝 수에 비해 월등히 많은 스텝의 위상 이송으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동일한 대상물을 고속 삼차원측정에서 적용되는 3-3 step의 위상 이송으로 측정하여, 두 경우에서의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고속측정에서의 측정잡음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보정 방법을 측정된 맥놀이 위상과 절대위상에 적용한 결과, 각각에 있어서 90%와 17.2%의 잡음감소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