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Residue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2초

고추 부위별 chlorothalonil, kresoxim-methyl 및 procymidone 농약성분의 잔류 분포 (Residue Distribution of Chlorothalonil, Kresoxim-methyl and Procymidone among Different Parts of Hot Pepper Plants)

  • 이미경;황재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22-726
    • /
    • 2009
  • Chlorothalonil, kresoxim-methyl 및 procymidone 농약성분은 고추 과육 대 꼭지에서의 잔류농도의 비율이 농약성분에 따라 1:2-5로서 고춧가루에 꼭지가 혼입될 경우 고춧가루 중 농약 잔류량이 약 20%만큼 상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고춧가루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고춧가루 제조 시 꼭지가 혼입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고추 과육 대 고춧잎에서는 실험 농약성분 3종의 잔류농도 비율이 농약성분에 따라 1:11-39로 나타났다. 이것은 현재 실험 농약 3종의 고춧잎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의 비설정 조치가 기준 설정 여부의 판단기준에 부합되는 것임을 말한다. 그러나 chlorothalonil 수화제의 경우 고춧잎 식용금지 문구가 부재한데 이것은 식용금지 문구 포함 여부의 판단기준에 부합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착색단고추 중 침투성농약 플로니카미드 및 대사물질의 생성 및 잔류양상 (Residual Characteristics of a Systemic Insecticide Flonicamid and Its Metabolites in Sweet Pepper)

  • 서은경;김택겸;홍수명;권혜영;권지형;조남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28-235
    • /
    • 2014
  • 착색단고추 중 침투성농약 flonicamid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flonicamid 및 그 대사물질의 잔류농도를 분석하고 경시적인 잔류량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플로니카미드 10% 입상수화제를 추천사용농도 및 그의 2배 농도로 경엽처리하고, 살포 후 1, 7, 15, 30, 50, 70, 87일의 총 7회에 걸쳐 과실, 상엽, 하엽을 구분하여 시료를 채취하여 잔류농도를 분석하였고 살포 후 87일간의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실, 상엽, 하엽 모두에서 모화합물인 flonicamid의 잔류량은 1일차에 최고치를 나타낸 이후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대사물질 TFNG의 잔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5-30일차에 최고 잔류량을 나타내었고 살포 후 87일 이후에도 초기 잔류량 보다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과실 중 총 flonicamid의 잔류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살포 후 87일까지 높은 농도를 유지하는 잔류양상은 착색단고추 잎 중에 높은 농도로 잔류하는 대사물질 TFNG의 이동에 의한 결과로 보여지며, 이러한 잔류량 변화는 기준량 및 2배량 처리구에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와 연계한 국내산 표고 잔류농약 실태 조사 (Research of pesticide residue of domestic Lentinula edodes related with the positive list system)

  • 김경제;고영우;임승빈;진성우;하늘이;정희경;정상욱;윤경원;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0-386
    • /
    • 2020
  • 전국 12개 지역에서 수집된 표고 768건, 표고배지 143건의 시료를 대상으로 다종다성분 320종 및 단성분 mepiquat chloride에 대해 분석한 결과, 표고 4건, 표고배지 3건으로 총 7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성분은 carbendazim, diflubenzuron, fluopyram, dinotefuran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3건, 배지 1건으로 총 4건의 시료에서 carbendazim이 검출되었으나 각각의 검출량은 0.056 mg/kg, 0.17 mg/kg, 0.043 mg/kg, 0.09 mg/kg으로 MRL인 0.7 mg/kg에 비해 소량으로 나타났다. Fluopyram은 0.068 mg/kg, dinotefuran은 0.06 mg/kg으로 모두 배지에서 각각 1건씩 검출되었다. 식물생장조절제로 사용되는 mepiquat chloride는 본 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전체 수집표고 중 소수의 시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나, 등록되지 않은 농약은 PLS에 의하면 0.01 ppm이 최대허용치로 구분되어 있어, 후속 연구를 통하여 표고를 비롯한 버섯류의 안전성의 기준 작성에 필수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과채류 중 Neonicotinoid계 농약의 모니터링 및 인체노출평가 (Monitoring of Neonicotinoid Pesticide Residues in Fruit Vegetable and Human Exposure Assessment)

  • 박병준;손경애;백민경;김진배;권혜영;홍수명;임건재;홍무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4-109
    • /
    • 2010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과채류 8작물 중 neonicotinoid계 농약 5종(acetamiprid, clothianidin, imidacloprid, thiacloprid, thamethoxam)의 잔류량을 모니터링 한 후 잔류량과 식품섭취량을 근거로 해서 확정론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노출평가를 실시하였다. 과채류 8종의 시료 240점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acetamiprid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고추에서 가장 높은 잔류량을 나타냈다. 과채류 중 검출된 농약 모두 MRL을 초과하지는 않았다. 확정론적 접근을 통한 만성 및 급성 노출평가를 실시한 결과, 해당 독성 기준치에 50배 이하로 나타나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노출결과는 확정론적 접근법을 이용한 결과이므로, 향후 확률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노출평가를 실시하여 과채류에 함유된 neonicotionid계 농약의 위해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을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국내 유통중인 식용꽃차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Commercial Flowering Teas)

  • 박정욱;이향희;오무술;김종필;장태관;유연아;하동룡;김은선;서계원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
    • /
    • 2013
  • 꽃차 100건(국내산 21건, 중국산 50건, 독일산 20건, 미국산 3건, 남아공 1건, 프랑스 1건, 인도 1건, 파키스탄 1건, 이란 1건, 일본 1건)에 대해 잔류농약검사를 하였다. 잔류농약 203종을 검사한 결과 국화차 3건, 연꽃차 1건 모두 4건이 검출되었다. 국내산 연꽃차는 기준이내 적합이었고 나머지 3건에서는 농약이 기준 초과로 검출되었다. 원산지별로는 국내산 1건, 수입산 3건이었다. 검출된 농약 성분은 총 5종이었고 이중 pyrimethanil은 중복검출되었다. 차문화의 대중화와 더불어 꽃차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수입에서 유통까지 철저한 안전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유통 수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from Traditional Markets)

  • 노현호;이재윤;박효경;정혜림;이정우;진미지;최황;윤상순;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3-29
    • /
    • 2016
  • 국내산 유통 수삼 중 농약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국 15개 지역의 45개 재래시장 상점에서 45점의 시료를 채취한 후 GC-MS/MS와 LC-MS/MS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을 이용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으며, 검출된 농약은 GC-ECD/NPD를 이용한 개별분석으로 수삼 중 잔류농약을 정량하였다. 잔류농약 분석 결과 총 45점의 시료에서 cypermethrin, fenitrothion, fludioxonil, thifluzamide, tolclofos-methyl이 검출되었으며, 검출율은 35.6%이었다. Tolclofos-methyl이 가장 높은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인삼에 대한 안전사용기준과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fenitrothion이 검출되었다. 수삼에서 검출된 농약은 모두 잔류허용기준 미만이었다. 수삼 중 검출된 농약의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일일섭취추정량은 0.03-16.67%이었다.

한국형 총식이섭취조사(Total Diet Study, TDS) 모델 확립을 위한 농약섭취수준에 대한 접근 (Establishment of the Korean total diet study (TDS) model in consideration to pesticide intake)

  • 양앤젤;심기훈;최옥자;박종혁;도정아;오재호;황인균;심재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1-16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분석대상 농약의 선정, 분석대상 식품의 선정, 분석대상 식품의 수집, 추출방법의 최적화를 통해 잔류농약 섭취 수준 평가를 위한 한국형 총식이섭취조사(Total Diet Study, TDS) 모델을 확립하였다. 또한 총식이섭취조사 모델 확립을 위해 필요한 각각의 항목에, 기준을 설정하여 확립된 모델에 의한 잔류농약 수준을 모니터링 하였다. 모니터링은 1단계에서는 총 102종의 대표식품, 2단계에서는 총 70종의 대표식품, 3단계에서는 12종의 대표식단과 109종의 대표식품을 대상으로 98종 농약에 대해 $GC-{\mu}ECD$, GC-MSD, 그리고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검출된 농약들은 모두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 이하의 잔류량을 보였으나 검출된 잔류농약이 해당 작물에 대해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한국형 총식이섭취조사 모델을 확립함은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먹거리 제공,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농산물 생산자들의 농약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제공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국내 골프장농약 사용에 따른 골프장 및 인근 지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조사를 통한 영향평가 (Pesticides Residue Monitoring and Impact Evaluation of Golf Course and Neighbouring Area in Korea)

  • 이준배;조훈제;곽은지;박경훈;이민경;김현구;정현미;장희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7-282
    • /
    • 2018
  • BACKGROUND: At these days, the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concerns of pesticide used for turf grass management at golf courses in Korea have increased.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determine the pesticide residues for golf course and neighboring area and evaluate the impact moved into neighboring area of pesticides treated at golf courses. METHODS AND RESULTS: Three golf courses and neighboring areas in Korea were monitored from July to October, 2017. The soil sample collection was divided the golf course into its logical parts (such as a greens, fairways, and rough) and neighboring a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points. The water samples of the golf course and neighboring area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points, respectively. The pesticide residues for soil and water sample were monitored by the multi-residue screening method of 98 pesticide with HPLC-MS-MS. The concentrations of detected pesticide in soil and water samples of the golf course were in the range of 0.01~1.26 mg/kg and 0.0001~0.0089 mg/kg, respectively. The residue levels for detected pesticides in neighboring area were at 0.01~0.04 mg/kg and 0.0001~0.0029 mg/kg, respectively, well below those level in golf course.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esticide residue levels of golf course and neighboring area in Korea may not a possible risk of exposure on soil and aquatic environment. For future work, more monitoring should be performed so that the evaluation data becomes more valid.

한국산 강활(羌活)의 잔류농약에 대한 연구 (Studies on Pesticide Residues in Ostrici Radix)

  • 나승영;김홍준;최고야;정승일;주영승;오서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41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residual pesticide in herbal medicine of Osterici Radix which are purchased on Kwangju(Hanyaksarang). Methods : In order to analyze many pesticides in Osterici Radix, simultaneous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by GC-ECD/NFD was used. Results : But the amount of residual pesticide in Osterici Radix, simultaneous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by GC-ECD/NFD was used.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sterici Radix in current has safety. In future, it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furnished the basis to succeeding studies and it is needed to extensive comparative study for the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PDF

Effect of Pesticide Residue in Soil on Silkworm, Bombyx Mori L- Survey Analysis

  • Jyothi, N.B.;Prashant, N. Bavachikar;Maribashetty, V.G.;Radhakrishna, P.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8권2호
    • /
    • pp.31-37
    • /
    • 2019
  • Silkworm larval mortality specifically during spinning stage leading to non-spinning with specific morphological symptoms was frequently complained by sericulturists in Karnataka, India during 2015. Survey was conducted a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from the identified farmers who faced the problem of non-spinning in both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areas of Karnataka.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blem is specific to the silkworm crop of those farmers' who shifted from other crops of agriculture/ horticulture/olericulture/ floriculture to Sericulture. Silkworm rearing performance of the batches fed with these leaves confirmed that the pesticide sprayed to the crops previous to mulberry, remain in the soil and when mulberry plantation is taken up in these gardens, the pesticide is absorbed by the roots of mulberry plants and transported to the leaves. Silkworms that feed on these mulberry leaves, grow and ripen normally but during spinning stage, larvae die with external symptoms like regurgitation, body shrinkage, rectal protrusion later become hook shaped leading to non-spinning or partial metamorphosis into pupa and death or spin flimsy cocoons. Larval mortality ranged from a minimum of twenty five percent to a maximum of hundred percent. The problem was noticed from the first harvest of leaves and lasted for a maximum period of 36 months. Cocoon crop loss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duration and type of pesticides used previously for other cr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