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uasive Knowledg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야외 지질 학습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Abductive Inference during a Geological Field Excursion)

  • 맹승호;박명숙;이정아;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818-831
    • /
    • 2007
  • 지구과학 탐구에서 귀추적 탐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모델로 한 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구체적인 지구과학 탐구의 장으로서 야외 지질 학습 현장에 대한 귀추적 탐구의 연구 사례는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귀추적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구성된 야외 지질 학습 프로그램을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사례와 그 과정에 사용된 사고 전략 및 교사의 교수법적 중재가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야외 지질 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암석의 구별,함께 나타나는 서로 다른 암석의 생성 과정 설명,변성암의 절리 형성 과정 설명,답사 지역 지형의 형성 과정 설명 등의 사례를 귀추적으로 추론하였다. 또한,학생들은 노두에서 관찰한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규칙을 찾아내는데 다양한 사고 전략들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야외 지질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과학자들이 수행하는것과 유사한 탐구 및 추론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야외 지질 학습 과정에서 교사의 교수법적 중재는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과정을 지원하였으며, 특정한 사고 전략을 유도하기도 했지만, 추론의 내용까지 보장해 주지는 못하였다. 학생들은 관찰한 사실들을 설명하기 위한 규직을 추리할 때,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잘못된 배경 지식에 근거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야외 지질 학습 과정에서 올바른 가설을 수립하여 답사 지역의 지질을 해석하고,설득력 있는 귀추적 추론을 위한 규칙을 추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능력을 길러 주는 것뿐만 아니라,학생들에게 정확한 배경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환경친화집단과 비환경친화집단의 친환경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특성연구 - 대전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Customer Characteristics about Eco-Friendly Apparel Products between 'Environmentally Friendly Group' and 'Non-environmentally Friendly Group' -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in Daejeon -)

  • 최나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91-802
    • /
    • 2012
  • This study promotes education, purchase, and advertisement activities related to eco-friendly apparel products. The study examined college students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ir recognition of and interest in, knowledge, purchase, and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related to eco-friendly apparel products. In this study, 337 students from various universities in Daejeon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from March 7 to March 25, 2011.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 tabulations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18.0 software. The results of these tests revealed that more students from the upper grades belonged to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Non-environmentally Friendly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Group had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and expressed a greater interest in eco-friendly apparel products as well as towards the launch of educational programs. Additionally, this group was more supportive of the need for new courses and had a higher likelihood to enroll in these courses.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compared to the Non-environmentally Friendly Group)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Group exhibited a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 designs of eco-friendly apparel products and had more experience to examine advertisements about eco-friendly apparel products; in addition, they expressed a higher likability and reliability to these advertisemen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Group believed that advertisements had persuasive power and were quite impressive in recalling the advertisements.

새로운 산림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의 모색과 미디어별 효과 차이: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적용 (A New Approach to Communication Method in Forest Science and Media Type Effects: An Application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 홍성권;박미선;김재현;이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377-386
    • /
    • 2007
  •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교화 가능성 모델이 산림분야에서도 적용 가능한지와 미디어간 커뮤니케이션 효과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모델이 제시하고 있는 주요 변수인 동기변수(관여도, 인지욕구 및 감성욕구)와 능력변수(사전 지식)가 태토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으로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독립변수들은 유의성이 높아 산림분야도 이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미디어 효과는 TV, 인터넷 및 신문으로 동일한 메시지를 전달한 후, 미디어별 설득력과 회상의 차이로써 검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TV가 신문보다 설득력이 있었지만 TV와 인터넷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회상의 경우에는 인터넷과 TV가 신문보다 효과적이었다.

The Effect of Emotional Certainty on Attitudes in Advertising

  • Bok, Sang Yong;Min, Dongw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57-75
    • /
    • 2013
  • It is a well-established theory that emotion is influential in cognitive processing. Extensive prior research on emotion has shown that emotional factors, such as affect, mood, and feeling, play a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he or she has enough knowledge. Most of their findings focused on the effect of emotional valence (i.g., one's subjective positivity or negativity related with the emotion). Recently, several studies on emotion suggest that there is another dimension of emotion, which affects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ing. The studies argue that emotional certainty facilitates heuristic processing, whereas emotional uncertainty promotes systematic processing. Based on the findings, current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ertainty on attitudes and recall. Specifically, the authors investigate the effect of certainty on how much effort individuals use to process advertising information and how certainty affects attitude formation toward the advertised product. The authors also focus on recall to clarify the working mechanism of certainty on attitudes, because recall performance reflects the depth of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previous findings, the authors hypothesize that uncertainty (vs. certainty) leads to more favorable attitudes as well as better recall, and conduct an experiment using a fictitious advertisement with 218 participants. The results confirm the predicted effects of certainty only on attitudes not recall. A possible explanation of this discrepancy between attitudes and recall lies in the measurement method, unaided recall. To rule out this possibility, the authors perform an additional analysis with the participants who recall any correct information of the target advertisement. The results show certainty has a negative effect on both attitudes and recall. A bootstrapping test reveals that recall mediates the effect of certainty on attitudes. This result confirms that certainty decreases elaboration, which in turn leads to less favorable attitudes relative to uncertainty. Additionally, our data shows the association among certainty, recall, and attitudes by showing the indirect effect of certainty on attitudes via recall. This research encourages practitioners in the field to emphasize that they should focus on target audiences' emotional certainty before they provide the persuasive message, by showing that uncertainty promotes effortful processing, which in turn leads to better memory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 PDF

중등학교 학생의 건강증진 행태와 관련요인분석 (An Analysi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귀희;남철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3-45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 1996 through June 30,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ising a policy for school health especially students health promotion and for developing of an education program. Middle school students were 1000, high school students were 2000 and a total of 3000 students were selected randomly among the boys/girls/middle/high schools which are in Seoul, Pusan, Taegu, Pohang, Suwon, Kyungsan, Milyang and a town or subcountry. The summary and conclusion are as follows. 1.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51.8% were girl students, 33.7% were middle school students, 66.3% were high school students. 37.2% were living in a medium and small city, 89.1% were middle classes, 43.6% were having no religion, 27.3% were buddhists. 2. As a result of analyzing, exercise, nutrition, personal behavior, knowledge of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level which are the factors promotion, exercise level were 3.61 of the perfect 9(40.1/100), nutrition level were 3.71(41.1/100), personal hygiene were 6.89(76.6/100), health education level were 5.1(58.9/100), all of the them are low level. 3. Judging from characteristics, in case of exercise behavior level, It was far higher in boy students than in girl student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n in high school students. It was respectively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e second graders of middle school, in the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in the residents who live in a big city, in the high classes in the buddhists. 4. The students level against disease was average 9.11 of the perfect score 14(65.1/100). The level of disease consciousness was high in girl students by characteristics, in the second graders of high school by grades, in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5. In health status, 55.4% were healthy, 7.9% were unhealthy. It was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boy students,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sidents who live in a big city, in high classes of life level, in buddihists, in higher education level of parents. 6. Judging from the factor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and the degree of significance,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ercise and dietary life as P〈0.001, in personal hygiene as P〈0.05, in health education an P〈0.01. 7. Knowledge on disease, health promotion behavior level were average 19.42 ± 4.01 of the perfect score 50(38.8/100) this score was too low. As for characteristics, the level between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higher life level, in the higher parents education level, in the happier family. 8. Judging from health status, knowledge on disease, health behavior level,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level significantly in the better health status, in the better school record. 9. As a result of the multiplex regression analyzing the factors which were under influence on health status, the variables like exercise, school record level, the degree of family happiness, nutrition, grades, the members of family influenced much and its persuasive power was 10.2%. The factors which are under the influence on the health promotion were exercise, satisfied degree of education, health status, the degree of family happiness, knowledge on disease, the usage of physical training, sex, the number of the family members, mother's education level. It’s explained power was 21.3%. promotion were high We should develop a text book and an education program to study exercise, nutrition(dietary life), personal hygiene, knowledge on disease and health systematically. As far as health education irrespective city and locality without considering the entrance exam for high school and university we should execute it continuously. To do this, it’s important to cultivate and secure qualified men of ability who can teach things related health promotion and the related subject, that is, health or health promotion subject should be established in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necessarily.

  • PDF

다산역의 관점에서 본 경방의 효변설 (Jingfang's yaobian theory seen from Dasan Jeong Yagyong's view on the Book of Change.)

  • 방인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199-222
    • /
    • 2014
  • 서한(西漢) 시대의 역학자 경방(京房)은 다양한 해석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상수역의 이론적 발전과정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다산역의 해석방법론은 상수역에 연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역학사적 기원을 밝히기 위해서는 경방역과의 관계가 명확히 해명될 필요가 있다. 필자는 다산역과 경방역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하여 정약용이 효변설과 관련하여 경방에 대해 어떠한 평가를 내렸는지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효변설이란 효의 변화에 의하여 변괘(變卦, 즉 지괘(之卦))가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정약용은 "주역사전"에서 경방이 역사(易詞)를 풀이함에 있어 효변설을 적용하였다는 추정을 내리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건초구(乾初九), 관상구(觀上九), 박상구(剝上九) 등의 역주(易注)에서 찾았다. 정약용이 제시한 증거를 통해서 본다면, 건초구(乾初九)와 박상구(剝上九)는 효변을 취한 명백한 증거로 보이는 반면에 관상구(觀上九)는 증거로 채택하기에 의심스러운 점이 있다. 그러나 설령 두 곳에서 경방이 효변을 적용한 것이 명백하다고 하더라도 정약용의 효변설과 경방의 효변설이 같은 것이라고 볼 근거는 없다. 오히려 양자의 효변설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서로 계통을 달리하는 이론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그 다음으로, 정약용은 건초구(乾初九)의 역주(易注)에서 경방과 더불어 효변을 이해하고 있는 인물로 경방보다 대략 백여년 이전(以前)에 활동했던 가의(賈誼)를 언급하였다. 필자는 가의가 세상을 떠난 기원전 168년은 마왕퇴 3호 한묘(漢墓)의 묘주(墓主)의 묘장(墓葬) 연대와 같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효변설의 근거로 제시되어 온 "춘추좌씨전"의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식은 마왕퇴(馬王堆) 백서본 "주역"에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기원전 168년 이전(以前)에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식이 널리 유행하고 있었음이 확실해진다. 만약 가의가 마왕퇴 백서본 "주역"에 나타난 효변설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고 있었고, 경방도 역시 효변설을 이해하고 있었다면, 효변설은 역학사적으로 가의 이후로 경방에 이르기까지 백여년 동안 전승되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추론에 대해 설득력있는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면, 이것은 역학사적으로 중요한 발견이 될 뿐 아니라, 다산역의 이론을 확증해주는 증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트위터 상의 이미지 이용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Image Use in Twitter Message)

  • 정은경;윤정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5-90
    • /
    • 2013
  • 이용자들은 최근 소셜 미디어를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는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배태가 주요한 특징이다. 본 연구는 트위터 상에서 이미지 이용 행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4월에 발생한 "보스턴 마라톤 대회 테러" 사건과 관련된 1,589건의 이미지 포함 트윗 메시지를 수집하여 이 중에서 영향력 있는 트윗 메시지 200건과 선호하는(favorite) 트윗 메시지 200건, 무작위로 선택된 일반 트윗 메시지 200건을 각각 선정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두 단계의 분석과정과 세 그룹의 데이터 셋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코딩 체계를 활용하여 세 그룹의 데이터에 대해서 트윗 메시지, 이미지 이용, 이용자에 관하여 각각 수행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세 그룹의 데이터 셋(일반 트윗, 영향력 있는 트윗, 선호하는 트윗)의 코딩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서, 의견을 표현하는 트윗이 가장 선호되었으며, 정보를 공유하는 트윗이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이용 관점에서는 정보배포, 일러스트레이션, 감정적/설득적, 정보처리 이용목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미지 이용은 기존의 이미지 이용 패턴과 달리 이미지를 데이터로서 이용하는 목적이 객체 중심으로 이용하는 목적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분석에서는 정부기관, 유명인, 이미지 사이트가 가장 선호되고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용 맥락 관점의 차세대 이미지 정보 검색 패러다임을 위한 이용자 관점의 이해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lass Using EBS Program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le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지현;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4-233
    • /
    • 2023
  • 본 연구는 P광역시 S초등학교 6학년 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을 유의미하게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학교라는 공간적 제약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지구시민들이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다는 점을 알려준다는 점과, EBS 교육방송 환경 콘텐츠에서 제안하는 환경 문제를학습자가 자신의 문제로 삼아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 기대감이라는 정서적인 측면을 기르고, 더 나아가 일상생활, 학교생활에서 환경 문제를 찾아보고 친환경 행동에 참여, 실천하면서 환경감수성이 길러졌다고 생각된다. 둘째,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지식전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환경과 관련된 시민적 행동, 교육적 행동, 경제적 행동, 신체적 행동, 설득적 행동으로 연결되는 학습을 제안한다는 점과 실천에 참여한 학생들이 서로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나눠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환경에 대한 책임감이 길러졌다고 판단된다. 셋째,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를 분석한 결과 연구집단 20명의 학생들 중 80%의 학생들이 만족했으며, 90%의 학생들이 수업이 흥미로웠다고 답했다. 또한 수업의 참여도를 묻는 질문에도 85%의 학생들이 열심히 참여했다고 답했다. 학생들이 지식으로만 환경문제를 접하고 끝내는 수업이 아니라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행동에 변화를 주면서 환경문제에 자신이 직접 참여하고 있음을 알게 하였기에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반이론주장의 조직불가능성명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직불가능성명제의 이론적 의미와 실천적 의의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Uncodifiability Thesis in Anti-theory Argument: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Uncodifiability Thesis i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노영란
    • 철학연구
    • /
    • 제93호
    • /
    • pp.121-148
    • /
    • 2011
  • 반이론주장의 조직불가능성명제는 윤리적 이론화의 불가능성에 대한 대표적인 근거이다. 특수주의가 강하게 반영된 이 명제를 통해 반이론가들은 구체적인 도덕적 상황에서 개개 행위자들이 내리는 결정들은 도덕원칙으로 조직화될 수 없기 때문에 윤리적 이론화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조직불가능성명제의 적절성은 이론적 차원에서 조직화의 대상이 도덕적 실제인지 아닌지의 쟁점을 통해, 그리고 실천적 차원에서 도덕원칙으로부터 도덕적 추론이 연역되는지 아닌지의 쟁점을 통해 검토될 수 있다. 먼저 실천적 숙고의 성격은 도덕적 실제 그 자체가 아니라 도덕적 실제를 넘어서는 도덕성이 조직화의 대상이라는 도덕이론가들의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또한 반이론가들의 비판과 달리 도덕이론가들은 도덕적 추론을 위해서 도덕원칙이외에도 상황적 지식과 행위자의 지혜에 근거한 도덕판단이 필요하다고 본다. 도덕이론가들은 다양한 도덕적 실제를 반영하는 행위자의 판단이 도덕성을 제시하는 도덕원칙을 통해 검토되고 이에 근거하여 도덕적 지위를 갖게 되는 형태의 윤리학을 추구한다. 결국 도덕이론가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도덕적 실제를 도덕원칙으로 조직화하거나 도덕원칙만으로 도덕적 추론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지 않기 때문에 조직불가능성명제를 통해 윤리적 이론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하려는 반이론가들의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