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Uncodifiability Thesis in Anti-theory Argument: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Uncodifiability Thesis i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반이론주장의 조직불가능성명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직불가능성명제의 이론적 의미와 실천적 의의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4.07
  • Accepted : 2011.04.19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uncodifiability thesis in anti-theory argument is the typical claim for the impossibility of ethical theorizing. Based on this thesis reflecting particularism strongly, contemporary anti-theorists in ethics argue that individual decisions in particular situations cannot be codified into moral principles. The uncodifiability thesis needs to be examined by the following two issues: a theoretical issue of whether the object of codification is moral practices or not; and a practical one of whether moral principles present the decision procedure of moral reasoning or not.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reasoning show that the object of codification in ethics, as moral theorists insist, is not moral practices but morality itself. Also moral theorists, contrary to the criticisms of anti-theorists, insist that moral reasoning is comprised of not only moral principles but also moral judgments with contextual knowledge and moral wisdom. In brief, moral theorists make a persuasive response to the uncodifiability thesis when they do neither intend to codify moral practices into moral principles nor to deduce the moral reasoning from moral principles. For them moral judgments should be examined by the moral principles which present universal and idealistic morality.

반이론주장의 조직불가능성명제는 윤리적 이론화의 불가능성에 대한 대표적인 근거이다. 특수주의가 강하게 반영된 이 명제를 통해 반이론가들은 구체적인 도덕적 상황에서 개개 행위자들이 내리는 결정들은 도덕원칙으로 조직화될 수 없기 때문에 윤리적 이론화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조직불가능성명제의 적절성은 이론적 차원에서 조직화의 대상이 도덕적 실제인지 아닌지의 쟁점을 통해, 그리고 실천적 차원에서 도덕원칙으로부터 도덕적 추론이 연역되는지 아닌지의 쟁점을 통해 검토될 수 있다. 먼저 실천적 숙고의 성격은 도덕적 실제 그 자체가 아니라 도덕적 실제를 넘어서는 도덕성이 조직화의 대상이라는 도덕이론가들의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또한 반이론가들의 비판과 달리 도덕이론가들은 도덕적 추론을 위해서 도덕원칙이외에도 상황적 지식과 행위자의 지혜에 근거한 도덕판단이 필요하다고 본다. 도덕이론가들은 다양한 도덕적 실제를 반영하는 행위자의 판단이 도덕성을 제시하는 도덕원칙을 통해 검토되고 이에 근거하여 도덕적 지위를 갖게 되는 형태의 윤리학을 추구한다. 결국 도덕이론가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도덕적 실제를 도덕원칙으로 조직화하거나 도덕원칙만으로 도덕적 추론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지 않기 때문에 조직불가능성명제를 통해 윤리적 이론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하려는 반이론가들의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하게 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KRF-2009-327-A00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