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검색결과 1,320건 처리시간 0.029초

모바일 결제 앱에서의 보안과 신뢰 : 개인의 성향과 보안 신호를 중심으로 (Security and Trust of Mobile Payment Apps : Focus on Personal Predisposition and Security Signal)

  • 김민경;최보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94-204
    • /
    • 2019
  • 최근 모바일 결제 앱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보안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로 인하여 모바일 결제 앱 사용률이 서비스 제공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결제 앱을 사용하는 개인의 성향과 결제 앱 자체의 보안 신호가 사용자들의 인지된 개인정보 유출 위험과 보안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러한 요인들이 최종적으로 어떻게 모바일 결제 앱의 신뢰에 영향을 주는지 설문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도는 인지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증가시키고 모바일 시스템 보안 정도를 감소시키는 반면, 친숙도, 인지된 명성, 보안 마크는 인지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시스템 보안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의 감소와 모바일 시스템 보안의 증가가 모바일 결제 앱의 신뢰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

클라우드컴퓨팅 이용 신용카드사의 영세수탁자 개인신용정보 보호방안 (Protection Plan of Trustee Personal Credit Information for Credit Card Company Using Cloud Computing)

  • 김시인;김인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885-895
    • /
    • 2019
  • 최근 금융권 해킹사례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공격자는 금융회사를 직접 해킹하기 보다는 보안관리가 허술한 수탁자를 대상으로 해킹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위탁자는 수탁자에 대한 보안점검 및 통제를 강화하고 있으나 영세 수탁자의 경우 전산설비 부족 및 보안장비 도입 시 과도한 비용 발생으로 인해 정보보호 투자에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신용카드사들로부터 개인정보를 제공 받은 영세수탁업체의 보안강화를 위해 개인정보 라이프 사이클 기준으로 취약점에 대해 알아 보고자한다. 취약점 해결방안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소송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데이터 전송구간은 가상사설망을 설치하여 기밀성 및 무결성을 확보한다. 또한 사용자 보안강화를 위해 사용자PC에 PC방화벽, 출력물 보안등의 설치를 통한 개인신용정보 처리 보호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핀테크 서비스의 개인정보보호 자가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간편결제 서비스 중심 (A Study of Self-Checklist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FinTech Service: For the Simple Payment Service)

  • 강민수;백승조;임종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7-102
    • /
    • 2015
  • 핀테크 서비스 산업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ICT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금융 및 결제서비스의 혁신을 이끌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간편결제 서비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 산업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핀테크 서비스는 여러가지 보안 위협들이 존재하며, 그 중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수집 이용함에 따라 이에 대한 정보 유출이나 프라이버시 침해 사고 가능성도 증가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핀테크 서비스 중 간편결제 서비스를 대상으로 자신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이용자들(Privacy Pragmatists)에 대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 및 선택 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자가평가를 할 수 있도록 평가항목을 도출하며, 이를 통해 향후 핀테크 서비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보안 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개인정보 유출 탐지 및 차단에 관한 연구 : 안드로이드 플랫폼 환경 (Study to detect and block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 Android-platform environment)

  • 최영석;김성훈;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57-766
    • /
    • 2013
  • 안드로이드 사용자의 증가와 함께 안드로이드를 타겟으로 하는 악성코드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악성코드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악성코드를 이용해 개인정보를 유출하고, 소액결제를 시도하는 '체스트'라는 악성코드가 출현하여 금전피해를 발생시켰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개인정보 유출을 탐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기존 기법들은 안드로이드 보안모델의 특성상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적용이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커널레벨의 시스템 콜 후킹과 white-list 기반의 접근정책을 이용해 허용되지 않은 개인정보의 접근과 인터넷 연결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구현을 통해 실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적용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경비업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tec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in Private Security Provider's)

  • 안황권;김일곤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99-108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개인정보보호 제도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개인정보처리자인 경비업자가 경비업무 수행 중에 반드시 준수해야 할 개인정보보호의 제도를 논의하고 유의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개인정보보호법의 기본이념과 원칙, 수집 이용, 민감정보 고유식별정보 처리와 개인정보 암호화 등의 안전조치 강화,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 운영제한, 개인정보 유출대응에 대한 벌칙 등을 기술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의 개인정보보호법 사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유의점은 경비업자가 충분한 법적 검토와 더불어 인식을 변화하는 것이다. 아울러 첫째,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시 이용의 목적을 가능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특정하고, 둘째, 개인정보 수집의 필요성에 따라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취득하여야 하며, 셋째,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외에 또는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해서는 아니 되며, 넷째, 개인정보의 안전한 관리 조치에 의거 안전조치 의무를 숙지하고,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개인정보보호 관점에서의 웹 트래픽 수집 및 분석 서비스에 대한 타당성 연구 (The Evaluation for Web Mining and Analytics Service from the View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Privacy)

  • 강신범;심미나;방제완;이상진;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21-134
    • /
    • 2009
  • 소비자 중심 마케팅 성장과 더불어 확대되고 있는 웹 트래픽 수집 및 분석 서비스 시장에서는 이미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간 정보 활용과 정보보호의 치열한 공방이 시작되었고 보다 상세한 소비자 정보를 마케팅에 활용하고 싶은 욕구가 극대화되고 있다. 기업은 익명화된 개인정보의 마케팅활용을 정당화하고 개인은 잠재적 우려사항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국내의 웹 트래픽 수집 및 분석 서비스 산업에서 개인정보보호에 저해되는 프로세스를 검토하고 잠재적 우려사항을 밝히고자 한다. 국내 주요 상용서비스를 중심으로 개인정보보호정책 분석과 서비스과정의 고의 혹은 우연한 개인정보 수집행위 등 목적 외 범위 타당성을 검토하고, 역공학을 통해 서비스과정에서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범위를 분석하였다. 개인정보 추출 범위 확대와 침해 가능성 심화로 인해 현재 국내 서비스의 타당성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웹 트래픽 수집 및 분석 행위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의 잠재요인과 서비스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보호의 요건을 명확히 밝히는 것은 웹 트래픽 분석산업과 개인정보보호의 균형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할 것이다.

공·사립 유치원 홈페이지의 운영 및 개인정보 관리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Homepages)

  • 김종민;천희영;최은아
    • 아동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19-132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er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homepages. Methods: A total of 2,846 kindergartens were selected from the I-Sarang portal service for analyzing operation, and 217 self-operating homepages were selected for evaluating management. Seven evaluation items from three domains (information gathering procedures and scope, information security, and management of file exposure protection) were used. Wireshark and Google were used for analyzing some evaluation items. Results: The operating ratio of kindergarten homepages was low and most of the kindergartens self-operated their homepages. The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gathering procedures and scope showed that the rule of consent process was not rigidly followed but that the rule of legality for information gathering was followed. Item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were followed at very low levels. As for the management of file exposure protection, the evaluation of item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attachment disclosure showed that the rule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an attached file was followed but that the notice regarding information protection was not. Across all evaluation items,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as higher in public (vs. private) kindergarten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methods to more securely and effectively manage personal information on kindergarten homepages.

해외 애플리케이션의 개인정보 무단 수집 실태 분석과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Analysis and Response of Unauthorized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in Foreign Applications)

  • 김세환;윤형준;정다현;장승훈;한철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453-462
    • /
    • 2021
  •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해외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 중 많은 국내 이용자의 수를 보유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행해지는 개인정보 무단 수집은 이용자의 민감한 개인정보들이 악의적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어 위험성이 크다. 또한, 이는 사업자윤리에 위반되는 행위이고 건전한 IT 생태계 조성을 방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해외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자 개인정보 무단 수집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An Analysis on Intention to Use Information Service for Personal Information Breach)

  • 김택영;전효정;김태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99-213
    • /
    • 2018
  • 2008년부터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이를 해결하고자 국가적 차원의 교육, 정책, 법률 등이 제정 및 시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인정보 침해와 유출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개인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추정 및 대처 할 수 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 정보 침해 및 유출사고 등 개인정보 침해에 예방 및 대응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정보 침해에 관한 정보가 제공 및 전달된다면, 개인은 개인정보 침해 정보를 얼마나 받아들이고 개인정보보호 행동으로 옮겨질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개인정보 침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지 정의하고, 정보 제공에 대한 일반인의 수용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 관련 정보 제공에 대한 필요성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개인의 주동적인 정보보호 활동을 장려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출력물에서의 개인 정보 제어 및 보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and Security in Printed Matter)

  • 백종경;박재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415-2421
    • /
    • 2013
  • 개인 정보의 이용이 사회 전반적으로 보편화되면서 이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개인 정보 유출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여러 가지 개인 정보 유출방지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프린트 출력 시 개인 정보 유출 및 제어에 있어 기존 방안들은 검출이 되지 않거나 외부로의 유출 시 개인정보가 노출이 되는 단점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API-Hook 방법을 사용하여 출력물에 대해 개인정보를 검출하여 제어하고, 출력 된 문서에 대해서는 마스크하여 개인정보의 노출을 보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로 구현하여 개인정보가 포함 된 문서에 대해 보안을 보장 여부를 확인 하였다. 보안을 위해 기밀성만을 중요시하기 보다는 가용성과의 조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