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Disposition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초

감성(Sensibility)의 개념 분석 (Analysis of the Concept of Sensibility)

  • 박현주;최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0-149
    • /
    • 2006
  • Purpose: The concept of sensibility as sensitive perception is a part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human relations and nursing. However, sensibility has not been a focus of nursing research and it seems important to clarify the meaning of sensi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sensibility as a cognitive faculty of humans was explored.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science and art. Method: The process described by Walker and Avant to analyze concepts was used to define the concept of sensibility. Results: Attributes of sensibility were defined as 'emotional ability to feel', 'delicate, sensitive awareness of emotion' 'appreciative, tender hearted about oneself and others', 'awareness of intellectual, moral values', 'liability to be vulnerable', 'direct interrelation with individual'. Conclusion: The sensibility mentioned above included the attribute of caring within nurses intrinsic disposition which is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interrelational communication. Therefore continuous study and development of this concept should not only provide resources for nursing but also have a positive effect in therapeutic personal relationships.

  • PDF

고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의 관련성 (Associations between Interpersonal Disposition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최슬기;박경옥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0-126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terpersonal dispositions and social suppor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604 students (320 males and 284 females) from four high schools conveniently sampled from high schools in the Incheon area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ered survey. Results: According to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articipants' depression levels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0.6%: grade, perceived health status, sympathetic-acceptable personality, sociable-friendly personality, rebellious-distrustful personality, parent support, peer support, and the support from community. Conclusion: In this study, interpersonal dispositions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engthening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upport can help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mental health and suicide prevention.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가 소비자의 과잉혼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n Perceived Overload Confusion due to Modular Product's Option Size)

  • 김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4
    • /
    • 2017
  • 다양한 선택사항이 있는 모듈형 제품은 제품 구조나 배열 변경의 용이성을 장점으로 소비자들의 제품선택 폭을 확대해주고 맞춤형 제품의 구매기회를 제공해 준다. 또한 생산자로서의 소비자 역할을 수행케 함으로써 구매 후 부조화 감소와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이용만족도도 높여 준다. 하지만 과도한 모듈화 또는 선택사항의 증가는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정보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과잉혼란을 유발하여 구매결정의 연기 및 포기하는 부정적 결과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 사항 즉 옵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과잉혼란의 지각 정도가 소비자들의 심리적 성향인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 등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에 따른 과잉혼란 지각정도가 이들 세 가지 변수의 영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3가지 조절효과 가설을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향상초점 소비자에 비해 예방초점 소비자가 옵션 수 확장에 따른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친숙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이들 두 변수 모두 그 정도가 낮은 그룹이 높은 그룹에 비해 옵션 수 확장에 따라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업 종사자의 특성이 지식공유, 직무만족,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Study on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Professionals on Knowledge Sharing, Job Satisfaction, and Firm Innovation)

  • 조휘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225-24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업 종사자의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과 성과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금융업 종사자의 특성변수는 개인적 차원의 신뢰성향, 주관적 규범, 지식공유 의지를, 조직적 차원의 팀원 간 신뢰, 경영층 지원을 설정하였다. 성과변수는 직무만족과 기업혁신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연구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모델은 금융업 종사자 185명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개인적 차원 중에서 신뢰성향은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적 차원의 팀원 간 신뢰 그리고 경영층 지원은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성요인 중에서 팀원 간 신뢰가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금융업 종사자의 지식공유는 직무만족과 기업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의 나눔 활동 - 어빙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을 중심으로 - (Sharing Activities in an Online Fashion Community - Focusing on Erving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

  • 허현주;전재훈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9-459
    • /
    • 2023
  • This study focuses on online communities and the ritual conversations of users when participating in sharing activitie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phenomena that occur between users within the context of Erving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Case studies and a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by collecting posts and comments related to fashion products in the sharing activities category on Naver Cafe "Family Sale." On the one hand, the study identified various disposition motives among givers, including a desire for recognition, self-expression, activation of the community, emotional sympathy, goodwill, play, and simple disposition. On the other hand, receivers' purchase motives included the need for a product, reciprocation based on a sense of belonging, play, gift-giving, and simple response. Analyzing the posts of givers and the comments of receivers of fashion products using impression management strategies and dramaturgical analysis, the study interpreted us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revealed propensities in fashion consumption: fashionability, conspicuousness, value orientation, and economic feasibility. Through ritual conversations, users managed to attain emotional stability on an individual level, while they reinforced collective bonds on a social level. They fulfilled their roles with their own narratives to achieve personal and collective goals in a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non-monetary transac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normative communication in an online community and user relationships to understand a recent phenomenon in the fashion industry.

병원근무자의 직무만족 요인 분석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Employees)

  • 장미경;최윤경;황지인;김은경;박노현;이지영;황정해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81
    • /
    • 2004
  • Purpose: To identify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employees and the relating factors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a total of 1,031 healthcare workers(doctors, nurses, pharmacists, medical engineers, office workers, etc) at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 expert group.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1 items including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five Likert scale.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on job characteristics was 3.24 on the five Likert scale. The satisfaction of each item was 4.14 in role clarity, 3.26 in communication participating rate, 3.10 in work variety, 3.06 in autonomy, and 2.64 in workload. The overall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ulture was 3.00. Particularly, the satisfaction on collaboration was 3.83, co-worker's support. 3.73, identity, 3.62, education/training opportunity, 3.12, pay, 2.62, welfare, 2.35, promotion, 2.34, and organizational conflict, 2.00.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3.00. In the satisfaction of each item, the score of disposition was 3.83, contribution to the hospital, 3.75, pride as a member of hospital, 3.70, and attitude on job performance, 3.68.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other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work variety. The satisfaction related significantly to loyalty index(r=.486, p=.000), autonomy(r=.415, p=.000), pride as a member of hospital(r=.411, p=.000), supervisor support(r=.364, p=.000).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developing organizational strategy to promote job satisfaction can decrease the turnover rate and increase loyalty to the organization. It will contribute to enhance productivity in hospital.

  • PDF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정부 요소 및 개인적 요소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Government Trust: on the Basis of Individual Trust Factors)

  • 최성락;전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38-248
    • /
    • 2019
  • 신뢰는 개인적인 감정으로 개개인의 특성 및 사회분위기의 영향을 받는 측면이 존재한다. 그런데 기존 정부신뢰에 대한 연구에서는 정부의 공정성 및 전문성과 같은 정부적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주로 정부의 능력 및 특성에 따라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한다. 하지만 정부신뢰는 이러한 정부적 요소 외에 개인적 성향과 특성 같은 개인적 요소들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신뢰가 정부적 요소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치관 및 일반적인 신뢰 성향과 같은 개인적 요소에도 영향을 받는가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정부신뢰는 정부의 전문성과 공정성과 같은 정부 요소와 정의 관계에 있었다. 그리고 연령, 정당지지 성향, 현재의 행복도, 향후 국가에 대한 전망 등 개인적 가치관 요소 및 기업신뢰와 같은 개인의 신뢰 성향도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정부신뢰가 정부의 전문성, 공정성 등과 같은 정부의 변수만이 아니라 개인의 가치관 및 신뢰 성향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정부신뢰는 단순히 정부의 행태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변수가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가치관 및 신뢰 성향과도 연관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둡에서 개인 성향을 이용한 영화 추천시스템 (A Movie Recommender Systems using Personal Disposition in Hadoop)

  • 김선호;김세준;모하영;김채린;박규태;박두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42-644
    • /
    • 2014
  •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사용자들은 오히려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에 얻는 것이 힘들어졌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새로운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추천 시스템 중에서 영화를 추천해주는 방법에는 사용되는 알고리즘에는 협업필터링 방법이 가장 성공한 알고리즘으로 사용되고 있다. 협업 필터링 방법은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입력한 선호도 평가치를 바탕으로 추천 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취향이 비슷하다고 판단되는 사람들 즉, 최근접 이웃을 구하고 최근접 이웃의 선호도 평가치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영화를 추천을 해주는 기법이다. 그러나 협업 필터링에는 몇 가지 대표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희박성 및 확장성, 투명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추천 시스템에서의 협업필터링의 희박성 문제를 보완하고자 개개인의 성향을 반영하여 효율이 좋은 추천 방법을 제안하고 하둡에서 성능평가를 하였다.

e-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활동이 소비자 행위에 미치는 영향 (Privacy Assurance and Consumer Behaviors in e-Business Environments)

  • 박재영;정우진;이상근;김범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7
    • /
    • 2018
  • 최근 대다수 온라인 기업들이 고객의 개인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들은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로 개인정보 제공을 꺼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통해 고객들에게 개인정보보호를 보장함으로써 신뢰를 높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활동이 소비자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실험 연구 결과,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혹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이 프라이버시 신뢰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의 경우, 프라이버시 신뢰를 매개로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신뢰 성향이 높은(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를 통해 보다 높은 신뢰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의 필요성을 입증함으로써 기업 경영진의 정보보호 투자 관련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hy Genuine Luxury Brands Are Consumed? Counterfeits? Examining Consumer Identification

  • Suh, Hyunsuk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69-102
    • /
    • 2012
  • Owing to increased number of luxury brand users, both genuine and counterfeit luxury product consumption continues to increase every year. Luxury brand is defined as use or display of a particular branded products which brings the ownership prestige apart from its functional utility(Grossmand and Shapiro 1988). Some luxury brands have imitations sold in marketplace due to their popularity. These imitations or counterfeits have been jumping on the bandwagon of the upturn in sales of their originals.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understand consumer's underlying motives to consume luxury brands, genuine and or counterfeits. To do this, we propose functional theories of attitudes, decision-making styles, and life attitudes to form the determining causes for different consumption choices of luxury brands: genuine brands, counterfeit brands, both genuine and counterfeit brands, and no consumption on luxury brands types. In proposed causal pathways, we examine moderated effects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to further investigate if consumer profiles would exert influences in causal relationships. From the existing theories of functional attitudes: value-expressive and social-adjustive attitud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new measure of rationality-consumptive attitude. From the existing eight decision-making characteristics of consumer styles inventory(CSI), three measures of high-quality, hedonic-shopping, and price-shopping styles were primarily applied in the study along with newly introduced measure of 'high-price' being added, which makes four total. Seven life attitude measures of life purpose, life control, will to meaning, goal seeking, future mean to fulfill, life satisfaction, and religiosity were applied. Finally, such socio-psychological measures as age, gender, marital status, income, and age-gap between couples were assumed to function as moderators. With 430 valid study samples, ages from 20s to 50s, with more females(316) than males(114), with average personal possessions of 5 genuine and 9 counterfeit luxury brands,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adjustive function is totally disappeared in the relationship due to current social trend of widespread consumptions on both genuine and counterfeit brands which in turn, make consumers feel less special on wearing or carrying them unlike in the past. Self-expressive function and rationality-consumptive functions act as strong catalysts for genuine brand consumption and counterfeit brand consumption, respectively. On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s, high-price sublation is the most powerful indicator anticipating counterfeit consumption, even more powerful than personal incomes. In life attitude, the overall model fit was not validated, and only life control and life satisfaction are proven to be significant on both genuine and counterfeit product consumptions. Employment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in the model improved understanding of users further. Young consumers tend to go for genuine products over counterfeits. Consumers in different income groups; low, medium and high, all significantly consume genuine products for reasons of different decision-making sty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umers whose personal disposition is predisposed to consume products in the form of reflection of his or her personality, go only for genuine brands for quality reason, while consumers who rationally consume products for its function or usability, go only for counterfeits for high-price sublation reason. Meanwhile, both product users support for high-price orientation who are not well of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