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stent inten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보안 대책이 지속적 보안 정책 준수에 미치는 영향 (An Understanding of Impact of Security Countermeasures on Persistent Policy Compliance)

  • 박철주;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23-3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원들의 지속적인 정보보안 준수행위를 유도할 있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보안 대책인 보안인식교육과 보안정책을 선행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보안인식교육은 보안 정책과 정보보안 정책의 지속적 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보안 정책의 포괄성은 지속적 보안 정책준수 태도와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보안 정책의 간결성은 태도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 지속적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on the intention to pay Price Premium and Continued Purchase Intention)

  • 김현규;정선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75-92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존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친환경제품, 기부, 봉사활동, 공정무역)이 소비자가 지각하는 기업의 신뢰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 그리고 지속적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소비자 성별의 차이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요인에 따른 기업의 신뢰도와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기업신뢰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 그리고 지속적 구매의도와 같은 주요연구변수에 관한 선행연구와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실증조사는 사회적 기업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중 친환경제품과 공정무역은 기업신뢰도와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는 지속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신뢰도는 지속적 구매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를 거쳐 지속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가운데 봉사활동과 공정무역이 기업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봉사활동과 기부는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남성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PT 공격 탐지를 위한 공격 경로 및 의도 인지 시스템 (Attack Path and Intention Recognition System for detecting APT Attack)

  • 김남욱;엄정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7-78
    • /
    • 2020
  • Typical security solutions such as intrusion detection system are not suitable for detecting advanced persistent attack(APT), because they cannot draw the big picture from trivial events of security solutions. Researches on techniques for detecting multiple stage attack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security events or alert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academic field. However, these studies still use events from existing security system, and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the entire security system suitable for advanced persistent attack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ttack path and intention recognition system suitable for multiple stage attacks like advanced persistent attack detection. The proposed system defines the trace format and overall structure of the system that detects APT attacks based on the correlation and behavior analysis, and is designed with a structure of detec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and big data technology, etc.

모바일 앱 서비스 특성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ffects of Mobile App Service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 김병곤;김기원;서홍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3호
    • /
    • pp.99-12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new strategy for customer service improvement by deriving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mobile app service user characteristics, system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liability, innovation, familiarity, convenience, and self-efficac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 are analyzed as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user's perceived usefulness. Second, convenience, mobility, and visibility are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 service. Third, identity, security, and expectation agreement among mobile app servic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s negative factors that do not affect users' perceived usefulness. Fourth, interactivity, familiarity, and self-efficac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 service were analyzed as positiv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effect on user's perceived ease of use. Fifth, reliability, mobility, visibility, and convenience among mobile app servic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s factors that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ease of use of app users. Sixth, identity, innovation, and secur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 service are negatively influenced by mobile app users' perceived ease of use. Sevent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obile app users is analyzed as a factor that has a very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Eighth,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mobile app users is analyzed as a factor affecting perceived usefulness positively. Ninth, the perceived ease and expectation of mobile app users are positively influenced on user satisfaction. The tent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mobile app users was analyzed as a factor having a very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sistent intention to use. For the eleventh,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mobile app users was analyzed as a factor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istent intention to use. The twelfth, mobile app user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factor having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persistent intention to use.

온라인 과학탐구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전략 활용, 수강지속의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on Self-regulations Strategy Use, Persistent Intention, and Achievement in a Context of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 이성혜;채유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65-38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과학영재교육에서 중 고등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과 수강지속의사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과학탐구중심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수강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434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흥미, 도전감, 의미, 선택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인으로, 인지조절전략(시연 전략, 정교화 전략, 조직화 전략, 초인지 전략)과 행동조절전략(노력관리, 시간관리, 도움활용)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과 학업성취도와 수강지속의사에 대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연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정교화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과 의미였다. 도전감 인식은 시연 전략 활용과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간관리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도움활용 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이었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요인 중 흥미, 도전감, 의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후속 강의를 수강하려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도전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탐구학습 점수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영재교육에서 담화촉진, 도전감, 학습결과간의 관계 (A Relationship among Facilitating Discourse, Students' Perceived Challenge, and Learning Outcomes in an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 최경애;이성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541-559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의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실재감의 하위요소 중 하나인 담화촉진 요소와 도전감, 학습결과 변인인 지속수강의사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K대학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학생 245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Shea, Swan과 Pickett(2005)의 교수실재감 문항 중 담화촉진 6문항과, Gentry와 Owen(2004)이 개발한 SPOCQ 도구의 도전감 5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담화촉진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느끼는 도전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화촉진 인식수준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지속수강의사와는 정적인 관련이 있으나, 학업성취도와는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전감은 지속수강의사 및 학업성취도와 정적인 관계에 있으며 넷째, 도전감은 담화촉진 정도와 지속수강의사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가 온라인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대화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다고 느낄 때 수업에 대한 도전감이 높아지며, 높아진 도전감이 궁극적으로 지속수강의사와 학업성취도 같은 학습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따라서 온라인교육을 실시할 때는 학생들의 도전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학생들의 참여와 토론을 촉진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

VR 특성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R 프레즌스, 이용자 특성, VR 멀미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Influence of V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Continuously -Focusing on VR Presence, User Characteristics, and VR Sickness-)

  • 장형준;김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20-431
    • /
    • 2018
  • 본 연구는 가상현실(VR)을 주제로 이용자 관점에서 프레즌스를 기반으로 만족과 지속 이용 의도에 관한 주제로 접근하였다. 설문조사 기관을 통해 의뢰한 569명의 남녀 이용자들이 느끼는 만족과 이를 매개로 한 지속 이용 의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에서는 독립변수인 VR 프레즌스의 구성 요인을 사실감이나 몰입감, 상호작용으로 설정 하였다. 이용자 특성은 개인의 혁신적 성향이나 몰입의 정도, VR 이용 경험으로 설정 하였다. VR 프레즌스와 이용자 특성 그리고 어지러움이나 시각적 피로도로 대표되는 VR 멀미가 콘텐츠 만족과 시스템 만족에 미치는 관계와 지속 이용 의도에 대해 연구 문제와 모델을 제시하였다. 구조방정식(SEM) 모델을 적용한 연구 문제의 해석으로는 8개의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결론에서 VR 콘텐츠의 만족을 높이는 요인과 지속적 이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으로 작용하는 콘텐츠 만족이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핵심 시사점으로 나타났다.

Psychosocial Work Condi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eir Influences on Mental Health Risk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Public Health Workers: A Cross-sectional and Follow-up Study in Taiwan

  • Ming-Wei Lin;Yi-Ting Wang;Yawen Che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4호
    • /
    • pp.438-444
    • /
    • 2023
  • Backgroun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sychosocial work conditions on mental health risk and intention to leave the public sector among workers of public health agencies in Taiwan. Methods: We surveyed 492 public health workers in March 2022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formation on job demands, job control, workplace justic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and its type and origin, and mental health status (assessed by the 5-item Brief Symptom Rating Scale, BSRS-5) was obtained. Of them, 192 participated in a follow-up survey conducted in May 2023 that assessed mental health status, employment changes, and intention to leave. Results: In the initial survey, 32.93% of participants reported poor mental health status, defined by having a score of BSRS-5 ≧ 10, and 48.17% experienced some form of workplace violence over the past year. Notably, high psychosocial job demands (OR = 3.64, 95% CI = 1.93-6.87), low workplace justice (OR = 2.58, 95% CI = 1.45-4.58), and workplace violence (OR = 2.38, 95% CI = 1.51-3.77)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mental disorders.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ollowup survey, 22.40% had persistent poor mental health, and 30.73% considered leaving or have left the public sector. Longitudinal analyses indicated that job demands predicted persistent mental disorders and intention to leave the public sector, and the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added additional mental health risks. Conclusion: The public health workforce is crucial for effective and resilient public health systems. Our findings that public health workers were at high mental health risk and had a high intention to leave the job warrant attention and policy interventions.

Why do people visit social commerce sites but do not buy? The role of the scarcity heuristic as a momentary characteristic

  • Lee, Ho;Choi, Jaew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7호
    • /
    • pp.2383-2399
    • /
    • 2014
  • Due to the low conversion rate of social commerce, its sustainability is question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different antecedents between visit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a visit intention, this study employs the concept of the scarcity heuristic and its momentary characteristic. The scarcity heuristic is created by a scarcity of time and quantity, and provisional coupons. In previous studies, the scarcity heuristic has often been treated as a major factor in which to influence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is study examines the scarcity heuristic only as an antecedent of the visit intention, not of the purchase intention, because of its momentary characteristic.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as this study expected, the attributes of the scarcity heuristic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ly with the visit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Addition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two distinct intentions in social commerce: visit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antecedents of the two distinct intention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why people visit social commerce sites regularly but do not buy.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Explicating Motivations & Attitudes Affecting the Persistent Intention to Adopt Binge-Watching)

  • 한순상;유홍식;신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21-534
    • /
    • 2017
  • 2013년 미국의 OTT기업 넷플릭스(Netflix)가 '하우스 오브 카드 시즌1' 13편을 온라인 동시개봉한 후 몰아보기(binge-watching)는 빅뱅을 맞이했다. 한 자리에서 2편이상의 동일 프로그램을 연속으로 이어 보는 몰아보기는 전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시청행태 변화이자 문화적 사회적 현상이다. 본 연구는 Venkatesh의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몰아보기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동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TV시청 행태이자 문화적, 사회적 현상이기도 한 몰아보기에 대해 이용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런 인식들이 몰아보기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몰아보기를 둘러싼 변인들 상호간에 어떤 역학관계를 보이는지를 이용자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부수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도 살펴보았다. 그를 통해 공급자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 대해서도 고찰해 본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 설문 응답자는 총333명였다. 분석결과 몰아보기 동기요인은 모두 5개의 요인군으로 분류되었는데 <프로그램의 화제성>, <본방사수의 어려움>, <몰아보기의 기능성> 요인군은 몰아보기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인 반면 <몰아보기의 상대적 잇점 재미>, <몰아보기의 경제성 요인>군은 몰아보기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릴수록, 몰아보기를 자주 할수록, 지각된 유용성을 높게 평가할 수록 몰아보기 이용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수적으로 하우스 오브 카드 제작과정 분석을 통해 변인 도출의 현실성을 더했고, 몰아보기가 C-P-N-D 콘텐츠 가치사슬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차세대 콘텐츠 기획과 관련 영상산업 발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