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petrator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기독교와 대순진리회의 종교윤리 비교연구 - 원수사랑과 해원상생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between the Religious Ethics of Christianity and Daesoon Jinrihoe: 'Love Your Enemies' versus 'Grievance-Resolution for Mutual Beneficence')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40집
    • /
    • pp.39-76
    • /
    • 2022
  • 기독교의 '원수사랑'과 대순진리회의 '해원상생'은 같은 종교윤리인 것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 이 종교윤리들은 '원수'라고 하는 특정 대상을 구체적으로 지목하고 그를 이타적으로 대하라는 가르침을 담는다는 공통점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교윤리학의 관점에서 보면 두 종교윤리는 같은 게 아니다. 그들이 근거로 삼는 신앙이 다르며, 추구하는 종교적 인격도 다르고, 정당성을 획득하는 과정과 논리, 구현 방식도 다르다. 두 종교윤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원수사랑이 피해자의 역할을 강조한 종교윤리인 데 비해서, 해원상생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역할을 같이 강조한 종교윤리라는 데 있다. 원수사랑의 경우, 가해자가 피해자를 외면하고 절대자에게 죄의 사함을 먼저 받았다고 믿어버린다면, 이때 피해자는 원수사랑을 실천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원수사랑은 값싼 은혜, 값싼 은총이라는 비판을 받지 않기 위해서, 절대자의 역할보다는 피해자와 가해자인 두 당사자의 역할을 동시에 더 부각할 필요가 있다. 해원상생은 피해자에게 상생을 목표로 원한을 풀 것을 독려하고, 가해자에게 상생을 목표로 피해자의 원한을 풀어줄 것을 요구한다. 특히 증산은 가해자가 피해자의 원한을 풀어주어야 한다는 것을 '척(慼: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가지는 원한)'을 풀라[無慼]는 윤리로 강조했다. '무척윤리(無慼倫理)'는 가해자 윤리이고, 해원상생의 구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소아청소년 집단에서 집단 따돌림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정신병리 현상 (Prevalence of School Bullying and Related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권순재;박태원;박선희;양종철;정영철;정상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3호
    • /
    • pp.143-153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prevalence rate of school bullying and its related psychopathology. Methods : A total of 3,550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 self-report questionnaire on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in school bullying was used for collection of data regarding prevalence and the present state of school bullying. For evaluation of associated psychopathology, self report forms, including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ARS),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Korean-Youth Self Report (K-YSR), and the Korean Eppendorf Schizophrenia Inventory (K-ESI) were applied. Samp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subtype groups (control, victim, perpetrator, and victim-perpetrator) an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Results : Overall, the prevalence rate for bullying perpetration was 64.4% and the prevalence rate for bullying victimization was 63.4%, indicating involvement of more than half of students in school bullying. Bully-victims reported high social immaturity and depressive and suicidal tendency, whereas bully-perpetrators reported less social immaturity and more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the subtype groups, the victim-perpetrator group showed the most prominent depressive/anxiety tendency and behavioral problems. Conclusions : Both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of bullying are common problems for child and adolescent groups and several psycho-social problems were found to be re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uide direction of future study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bullying.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을 중심으로- (Impact of School Viol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Students' Happiness and Suicidal Impulse)

  • 김경미;염유식;박연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36-247
    • /
    • 2013
  • 본 연구는 학교폭력 경험이 한국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학교폭력 경험을 피해형, 가해형, 피해-가해형, 무경험형으로 구분해,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2013년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의 조사 자료를 이용, 다중 회귀와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학교폭력은 피해, 가해 등 경험 유형에 상관없이 학생들의 자살위험을 높였다. 특히,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를 중복적으로 경험한 양자형의 자살충동은 무경험형과 비교해 7.1배나 높았다. 한편, 학교폭력 경험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즉, 피해 경험과 피해-가해 중복 경험만이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해경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주관적 행복감 분석에서는 통제변인으로 사용된 스트레스 변인의 영향력이 부각됐다. 특히, 친구관계에서 비롯된 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경험의 영향을 부정적 안녕감(자살충동) 측면에서만 다루지 않고, 긍정적 안녕감(주관적 행복감)까지 동시에 분석한 최초의 시도로서, 학교폭력 경험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가능케 할 것으로 보인다.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이 고의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범죄 전형성의 역할 (The Effect of Analytic-holistic Thinking Style on Intentionality Judgment: The role of crime typicality)

  • 김세헌;허태균;최승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2호
    • /
    • pp.253-273
    • /
    • 2023
  •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 중 하나인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이 고의성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서 범죄 사건의 전형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건 가해자 및 피해자의 도덕적 특성을 바탕으로 범죄의 전형성을 다르게 조작한 사건에서 고의성 판단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사람들은 범죄 사건의 전형성이 높을수록 고의성을 높게 판단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종합적 사고 양식을 보이는(그리고 인과성과 변화 인식이 높은) 사람들은 사건 가해자의 고의성을 낮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은 범죄의 전형성과 상호작용하여 고의성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종합적 사고를 하는(그리고 인과성이 높은) 사람들은 전형적인 사건에서는 가해자의 고의성을 높게 판단한 반면, 비전형적인 사건에서는 고의성을 낮게 판단하였다. 이 결과는 분석적 사고에 비해 종합적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 가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의 도덕적 특성을 고려한 범죄 전형성에 근거한 고의성 판단을 더 강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함께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과 범죄 전형성 및 고의성 판단과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집단따돌림 동조유형이 집단따돌림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Bullying Defenders on Bullying Behavior: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 박소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25-136
    • /
    • 2017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따돌림 동조유형이 집단따돌림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1, 2학년 488명이다. 분석을 위해 SPS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평균차이 검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의 특성을 보여주기 위해 관련변수를 표준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해자 동조경험과 방관자 동조 경험이 많을수록 집단따돌림 가해행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집단따돌림 가해행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가해자동조와 방관자동조는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감능력은 가해자동조와 집단따돌림 가해행위관계와, 방관자동조와 집단따돌림 가해행위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집단따돌림 가해행위에 더 많이 노출되고, 학년이 높을수록 방관자동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 실천적 제언과, 학문적 제언과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아동보호서비스 개입사례의 재학대 특성 연구: 생존분석의 적용 (The Characteristics of Recurrence on Intervention Cases of Child Protective Services: Application of Survival Analysis)

  • 장희선;김기현;김경희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225-26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보호서비스 개입사례의 재학대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접근하여 2012년에 신고 접수된 전수를 추출하였고 이들 사례 중 아동학대로 판정된 사례를 중심으로 2014년까지 총 3년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기간 내 재학대가 발생한 사례들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재학대 특성은 생존분석을 통해 재학대 발생 시점 및 빈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2012년에 학대판정을 받은 5,542사례 중 323사례가 이후 3년 이내에 재학대를 기록하였다. 대부분의 사례(93.5%)가 1회의 재학대를 기록하였지만 2회의 재학대를 기록한 사례도 21사례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대로 판정된 이후 1개월 이내에 가장 많은 재학대가 발생하였고, 이전 아동보호서비스 연루 유무, 중복학대 유무, 신체학대 포함 여부, 서비스 제공 유형 등에 따라 재학대 발생 시기 및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아동의 연령 및 문제행동 수, 학대행위자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고립, 가족구성원인 학대행위자, 이전 아동보호서비스 연루 기록, 재신고 총 횟수 증가 등은 이후의 재학대 발생과 관련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아동학대의 재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고 관련 제언을 제시하였다.

고의성 판단에 확증편향이 미치는 영향: 범죄의 전형성 및 심각성의 역할 (The Effect of confirmation bias on Intentionality Judgment: The Role of Crime Typicality and Seriousness)

  • 최승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3호
    • /
    • pp.329-349
    • /
    • 2020
  • 본 연구는 형사사법판단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판단 오류를 발생시키는 확증편향이 고의성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건 가해자 및 피해자의 도덕적 특성을 다르게 조합한 중상해 사건과 사망 사건에서 확증편향이 고의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사건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나쁜 사람들이 연루된 사건을 더 전형적인 범죄사건이라고 지각했고, 이러한 전형적인 범죄사건의 가해자에게 더 높은 고의성을 부여하였다. 특히, 확증편향이 높은 사람들은 더욱 범죄사건에 대한 고정관념과 일관된 방향으로 사건 가해자의 고의성을 높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심각한 범죄사건에서는 이러한 확증편향의 조절효과가 사라지고 범죄의 전형성 효과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함께 고의성 판단을 왜곡시키는 편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교 따돌림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Bullying and Perceived Parenting Practices of Adolescents)

  • 김동희;김영신;고윤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96
    • /
    • 2010
  • Purpose: To examine whether three, specific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are associated with school bullying. Methods: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1585 seventh and eighth-grade students in two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between 2000 and 2001. The instruments were the Korean Peer Nomination and Childrearing Behavior Questionnaire (measuring three dimension of parenting practice: Warmth/acceptance,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Descriptiv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ORs of perpetrator with maternal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was 1.065 (confidence interval: 1.008~1.126). Conclusion: Adolescents who were experiencing maternal rejection/restriction was at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for being perpetrators. Development of preventive and intervention programs with the goal of improving parenting skills may help to reduce adolescent school bullying.

金學鐵與約翰·馬克斯韋爾·庫切的離散世界, 及其外延擴張 - 以反殖民地, 反帝國主義, 反意識形態爲中心

  • 엄영욱;임환모
    • 중국학논총
    • /
    • 제64호
    • /
    • pp.99-117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themes the two authors shared - anti-colonialism, anti-imperialism, anti-imperialism, and anti-ideology - 《The Myth of the 20th Century》 and 《The Age of Passion》, 《Waiting for the Barbarians》 and 《Disgrace》. Both pieces opposed imperialist aggression and oppression and rejected colonial rule with the issue of their identity as strangers, and stood up against huge powers, including the fictionalization of ideology, racism, and despotism. Kim Hak-chul understood communism as a humanitarian, not a personal cult or individual dictatorship. Most of his work is autobiographical novels that he has experienced and are based on realism. Kim Hak-chul voluntarily chose China to actively fight against reality and showed the reality as it is to change history and politics, but Coetzee did not directly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petrator and victim, the ruler and the one being ruled, but maintained a certain distance from politics, revealing the reality of society and its system.

아동학대사례의 잠재유형화와 유형별 재학대 위험요인 (Classifying Predominant Type and Examining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 이상균;이봉주;김세원;김현수;유조안;장화정;진미정;박지명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3호
    • /
    • pp.171-208
    • /
    • 2017
  • 본 연구는 아동학대 재발생 사례의 학대유형을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분류하고, 학대유형별 재발생에 미치는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로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이 수집 관리하는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의 행정데이터를 이용하였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학대판정을 받은 피해아동 26,921명 중 재학대를 경험한 1,447명을 재학대 발생집단으로, 2012년 학대판정사례 중 재학대를 경험하지 않은 피해아동 4,580명을 재학대 미발생집단으로 추출해 분석하였다. 잠재계층분석과 잠재전환분석을 이용해 중복학대와 단일학대 모두를 포함시켜 분류한 결과, '신체학대 우세형', '정서학대 우세형', '성학대 피해집단', '방임피해 집단' 등 4개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4개 학대유형별로 재학대 미발생집단과 비교해 재학대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피해아동 성별과 연령, 가해자 성별, 가족빈곤, 친부모 가해자, 배우자 폭력, 가해자 알코올남용 문제, 양육기술 부족, 원가정 분리보호 등 위험요인이 학대유형별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변인모형을 이용한 학대유형화는 재학대 예방 및 개입의 표적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며, 학대유형별 개입표적으로 삼아야 할 차별적인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해 아동학대 재발생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