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toniti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1초

수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생화학적 특성 (Serotypes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Seafood Products)

  • 함희진;진영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
    • /
    • 2003
  •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2001년 1-12월 수거한 총 742건의 수산물(어류 192건, 패류 242건, 갑각류 39건 그리고 연체류 71건)을 대상으로 대장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2.4%(92/742) 검출율을 보였다. 분리된 92주의 월별분포를 살펴보면, 1월 10%(1/10), 2월 7.1%(2/28), 3월 9.7%(7/72), 4월 10.8%(8/74), 5월 1.9%(1/53), 6월 20.3%(16/79), 7월 13.3%(10/75), 8월 40.0%(20/50), 9월 8.1%(7/86), 10월 10.0%(9/90), 11월 8.3%(6/72) 그리고 12월 9.4%(5/53) 검출율을 보여 6-8월 등 하절기에 많은 대장균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고, 검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어류가 10.4%(20/192), 패류 14.5%(35/242), 갑각류 4.7%(10/212)그리고 연체류 28.1%(27/96) 검출율을 보여, 연체류가 어류, 패류 및 갑각류에 비해 대장균 분리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강원 12.5%(8/64), 경기 8.7%(6/69), 경남 18.4%(25/136), 경북 33.3%(1/3), 전남 13.2%(30/228), 전북 11.8%(8/68), 충남 6.3%(2/32), 제주 17.7%(3/17) 그리고 우리나라 이외의 지역에서 7.2%(9/125) 검출율을 보였다 92주 가운데 61주를 대상으로 분리균들의 O 혈청형을 동정한 결과, 개미더덕 1건에서 O6, 숭어와 갈치 각각 1건에서 O25가 확인되었고, 개미더덕, 한치알, 백합 각각 1건에서 O29가, 개미더덕 1건에서 O78 그리고 굴, 갑오징어, 갈치, 병어, 적어, 동죽살 각각 1건씩에서 O112, O136, O146, O159, O166, O168이 각각 확인되어 총 21.3%(13/61) 혈청형이 동정되어 어패류 등 수산물에 대장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판 해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월별, 산지별 분포 (Serotypes and Distributions of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Products in Wholesale Market)

  • 함희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18
    • /
    • 2008
  •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수거한 총 2,066건의 해산물(어류 573건, 패류 721건, 갑각류 208건 그리고 연체류 564건)을 대상으로 대장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0.3%(212/2,066)의 검출율을 보였다. 분리된 212주의 대장균의 월별 분포를 살펴보면, 1월 4.0%, 2월 1.0%, 3월 0.7%, 4월 9.5%, 5월 4.4%, 6월 9.4%, 7월 30.5%, 8월 42.1%, 9월 21.2%, 10월 6.6%, 11월 0.7% 그리고 12월 4.6%의 검출율을 보여, 6-9월 등 하절기에 많은 대장균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고, 검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어류가 7.0%(40/573), 패류 12.8%(92/721), 갑각류 8.7%(18/208) 그리고 연체류 11.0%(62/564)의 검출율을 보여, 패류, 연체류가 어류, 갑각류에 비해 대장균 분리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강원 21.3%의 검출율을 보였고, 인천 15.6%,경남 12.1%, 전남 11.5%, 전북 22.2%, 충남 11.6%, 제주 6.7% 그리고 우리나라 이외의 지역에서 9.0%의 검출율을 보였다. 212주를 대상으로 혈청형 동정을 실시한 결과, O6은 소라, 키조개, 그리고 건해삼에서 각각 1건씩, O25는 문어, 멍게에서 각각 1건씩, O29는 소라, 키조개에서 각각 1건씩, 그리고 O8, O25, O26, O27, O55, O78, O126, O158, O168은 문어, 갈치, 미더덕, 바지락, 낙지, 쭈꾸미, 소라, 오징어 알에서 각각 1건씩, O167도 소라에서 1건 확인되어 총 16주 (7.5% = 16/212)의 O 혈청형이 동정되어 어패류 등 해산물에 대장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카르복시테라피 후 발생한 급성 신우신염 및 근육염 : 증례 보고 (Acute pyelonephritis and myositis after carboxytherapy : A case report)

  • 선경훈;허준호;황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17-421
    • /
    • 2018
  • 카르복시테라피(Carboxytherapy)는 메조테라피(mesotherapy)와 방법, 치료 조건 및 결과 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중요한 차이점은 카르복시테라피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피부 바로 아래의 피하층으로 주입하는 반면 메조테라피는 비타민, 미네랄, 그리고 약물의 혼합물을 주입한다는 것이다. 메조테라피의 합병증으로 혈종, 파누스육아종, 봉와직염, 농양 등 이전에 많은 사례들이 보고되었으나, 카르복시테라피는 피하 및 얕은층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이산화탄소는 주입 1주일 안에 흡수되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보고 되지 않았다. 3일전과 2주전에 한의원에서 카르복시테라피를 받은 29세 여자 환자가 고열, 근육통, 심한 요통 및 엉덩이 부위부터 아래쪽 흉벽까지 피하 기종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즉시 영상의학과에 판단을 의뢰하였다. 바늘에 의한 손상으로 인한 급성 복막염을 배제할 수 없어 즉각적인 광범위항생제를 투여하였으며, 판독 결과 근육염과 바늘 손상으로 인한 신우신염이 확진되었다. 신우 신염의 경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패혈증까지 진행할 수 있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바늘에 찔리거나 침을 맞은 후에 환자가 늑골척추부위나 허리에 통증이 있는 경우 응급의학과 의사는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신속한 초기 평가가 필요하다.

체강액에서 총 Lactate dehydrogenase 및 Lactate dehydrogenase 동위효소 측정의 진단학적 의의 (Diagnostic Significance of Total Lactate Dehydrogenase(LD) and LD Isoenzyme Measurement in the Body Fluids)

  • 전창호;배은경;홍석일;김정숙;이영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93-199
    • /
    • 1986
  • 1984년 10월부터 1986년 5월까지 영남대병원 임상병리과에 의뢰된 132예의 복수액과 늑막액의 진단적가치를 설정하기위한 연구로서 총 LD, LD 동위효소의 활성도, 생화학 및 혈액학적 검사, 세포진검사 등의 소견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복수액은 총 LD활성도 및 단백양으로 여출액의 감별이 가능하였다. 2. 복수액과 늑막액의 악성삼출액은 LD2가 염증성 삼출액에 비하여 증가되었고(P<0.01), 혈청에 비하여 LD4가 증가되어(P<0.05)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3. 늑막액과 복수액의 염증성 삼출액은 LD5가 증가하여 혈청과 악성삼출액에 비하여 의의성 있는(P<0.05) 증가를 나타내었다. 4. 복수액에서는 염증성 삼출액의 총 LD양은 악성삼출액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여 총 LD활성도에 의한 삼출액의 구별이 가능하였으나 늑막액에서는 악성 삼출액과 결핵성 삼출액의 총 LD 활성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5. 총 LD 및 LD5동위효소의 삼출액에서 백혈구수와 상관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 PDF

개에서 췌장염이 병발한 간외성 담관계 페쇄 치료를 위한 경피적 초음파 유도하 담낭 천자술 2예 (Percutaneous Ultrasound-Guided Cholecystocentesis for Treatment of Extrahepatic Biliary Tract Obstruction Concurrent with Pancreatitis in Two Dogs)

  • 조항묘;천행복;김주형;전혜영;김태훈;강지훈;한태성;나기정;양만표;김근형;장동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5-302
    • /
    • 2008
  • Two dogs were referred to Veterinary Medical Cente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clinical signs of vomiting, diarrhea, anorexia, and jaundice. Both dogs were diagnosed as extrahepatic biliary tract obstruction(EHBO) with concurrent pancreatitis based on dilated common bile duct and hyperechoic or mixed-echoic pancreas in abdomin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nd serum biochemical abnormalities, such as high serum bilirubin, cholesterol, and increased cholestatic enzyme activity. Percutaneous ultrasound-guided cholecytocentesis(PUCC) was performed to examine bile and decompress the gall bladder. After PUCC with medical therapy, both dogs were steadily improved clinical signs of jaundice and anorexia. Also, cholestatic enzyme activity and serum bilirubin concentration decreased. Any complications that have been describ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peritonitis resulting from bile leakage and hemorrhage, were not identified. It is assumed that percutaneous ultrasound guided cholecystocentesis may be an useful diagnostic and therapeutic tool in canine gallbladder disease and can be used easily and safely to gain bile for diagnosis of bacterial cholecytitis.

개에서 복막투석 적용: 20 증례 (2006-2008) (Peritoneal Dialysis in Dogs: 20 cases (2006-2008))

  • 남소정;최란;오원석;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28
    • /
    • 2009
  • 복막투석은 정상적인 생리적 상태의 장애를 야기하는 체내의 독성물질을 치료적으로 제거하는 임상적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부전으로 내원한 환자에게 복막투석을 적용한 20증례의 임상적 결과와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복막투석을 실시하는 동안 적혈구수, 혈구용적, 신기능과 관련된 혈액 화학적 수치 및 전해질 등의 혈액학적 분석과 합병증, 임상적 결과 등을 기록하였다. 복막투석의 결과로 19마리의 개에서 혈중 요소 질산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5), 17마리의 개에서 혈중 크레아티닌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복막투석의 부작용으로는 저알부민혈증(12/20, 60%), 빈혈(10/20, 50%), 투석액의 피하 누출(9/20, 45%), 세균성 복막염 (6/20, 30%), 투석액의 저류 (5/20, 25%)와 사지의 부종(4/20, 20%)이 나타났다. 본 증례고찰을 통하여 복막투석은 신부전(특히 급성기)에 이환된 개에서 질소혈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흉부 대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Early Results in Surgical Treatment of Thoracic Aortic Aneurysm)

  • 안병희;신성현;나국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686-692
    • /
    • 1997
  • 저자들은 1994년 2월부터 1995년 8월사이에 본 교실에서 흉부대동맥류로 외과적 치료를 받았던 15 례의 임상성적을 분석하여 수술수기 및 수술결과를 향상시키는 계기로 삼고저 한다. 남자가 9례, 여자 가 6례였으며 평균연령은 55.07$\pm$11.76세였다. 원인질환은 대동맥박리증이 9례, 죽상경화증이 4례, 외 상이 2례이었다. 9례에서 상행 대동맥 및 대동맥궁의 부분 및 완전 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3례에서 하행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치 환술을 시행하였고, 1례에서는 전체 대동백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외 상성 대동맥류 2례에서는 단단문합하였는데 대동맥 박리증 환자에서는 Wheat씨 방법으로 봉합부위를 보강한 후 치환하였다. 9례에서는 정중흉골절개술을, 4례에서는 후외측 흉벽절개술을, 2례에서는 후외 측 흉부절개후 흉복부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상행 대동맥 및 대동맥궁을 치환하였던 9례에서는 상대정맥을 통한 역행성 뇌관류를 평균 56.67$\pm$29.25분 동안 시행하였고 하행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을 치환하였던 3례에서도 고도의 저체온화를 시행하였는데 술후 항구적인 뇌나 척추 신경장애가 발생한 례는 없었다. 술후 외상성 복담즙에 의한 복막염, 다장기 기능부전, 악성고혈압에 의한 잔여 박리성 동 맥류파열로 3례(20%, 3/15)가 사망하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출혈에 의한 재수술이 4례, 일시적인 의식장애 3례, 늑막삼출 등의 폐 합병증이 3례, 심낭압진 1례 있었다. 타의료기관에서 관찰중인 1례를 제외한 11례를 추적관찰중인데 사망하거나 만기 합병증을 보인 례는 없었다.

  • PDF

선천성 장 폐쇄증의 임상적 분석 (A Clinical Analysis of the Intestinal Atresia)

  • 박진영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0권2호
    • /
    • pp.99-106
    • /
    • 2004
  • 1994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경험한 선천성 장폐쇄증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재태기간과 출생시 체중, 산전진단 및 출생장소, 임상소견, 수술전 검사, 동반기형, 수술방법, 형태학적 분류, 합병증 및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총 36예의 환자중에서 십이지장 폐쇄증 17예, 공장 폐쇄증 11예, 회장 폐쇄증 8예 있었다. 남녀비는 십이지장 폐쇄증은 1.4:1, 공장 폐쇄증 2.7:1, 회장 폐쇄증의 경우는 7:1 이었다. 형태학적 분류에서 십이지장 폐쇄증은 3형이 7예로 가장 많았으며, 공장 및 회장 폐쇄증은 1형이 10예로 가장 많았으며, 3a형이 7예 있었다. 임상 소견은 담즙성 구토와 복부 팽만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 수술 전 검사는 십이지장 페쇄증은 전예에서 단순복부촬영만으로 정확하게 진단이 가능하였다. 동반 병변은 십이지장 폐쇄증 환자 중선천성 심기형 6예, 다운증후군이 3예 있었고, 공장 및 회장 폐쇄증에서는 3예에서 태변성 복막염이 동반되었다. 수술방법은 부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13예로 가장 많았다. 술 후 합병증은 문합부 유출 3예, 장 폐색증 3예, 창상 감염이 3예 있었으며, 십이지장 폐쇄증 환자 2예 9사망률:11.8 %)에서 동반된 선천성 심 기형으로 사망하였으며, 공장 폐쇄증 환아 2예(사망률: 18 %)는 폐혈증과 3b 형에서 장 절제 후 단장 증후군으로 각각 사망하였다.

  • PDF

식도천공 및 후천성 식도기관(지)루 (Esophageal Perforation and Acquired Esophagorespiratory Fistula)

  • 유회성;이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권1호
    • /
    • pp.45-56
    • /
    • 1972
  • Esophageal perforation is one of the most grave prognostic problems among thoracic and general surgical emergencies which necessitate urgent operative measures. In Korea,there are still many persons ingesting lye for suicidal attempt and thoracic surgeons in Korea have more chances to deal with lye burned esophagus with or without instrumental perforation than those in Western countries. Main cause of esophageal perforation in Korea is instrumental perforation in patients with lye stricture of the esophagus during diagnostic endoscopy or therapeutic bouginage. Other causes are corrosion of the esophagus due to ingestion of caustic agents, pathologic perforation, surgical trauma, stab wound and spontaneous rupture of the esophagus in our series. Therapeutic measures are various,and depend on duration of perforation, severity of its complications, pathology of perforated portion of the esophagus and degrees of inflammation at the point of perforation. The most important therapeutic measures are prevention of this grave condition during esophagoscopy, bouginage and surgical procedures on lungs and mediastinal structures and to make early diagnosis with prompt therapeutic measures.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59, to December, 1971, the authors experienced 65 cases ofesophageal perforation including acquired esophagorespiratory fistula at Dept. of Chest Surgery, the National Medical Center in Seoul, and obtained following results in the series. 1. Female were 35 cases, and peak age incidence was 2nd and 3rd decades of life. 2. Among 65 cases, 43 were corrosive esophagitis or benign stricture of the esophagus due to caustic agents, 7 were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and there were 5 cases of esophageal perforation developed after pneumonectomy or pleuropneumonectomy. 3. Causes of perforation are instrumental perforation in 45, acute corrosion in 7, pathologic perforation in 7, surgical trauma in 3, stab wound in 2 cases, and one spontaneous rupture of the esophagus. 4. Most frequent sites of esophageal perforation were upper and mid thoracic esophagus, and 8 were cases with cervical esophageal perforation. 5. Complications of esophageal perforation were mediastinitis in 42, empyema or pneumothorax in 35, esophagorespiratory fistula in 12, retroperitoneal fistula or abscess in 5,pneumoperitoneum in 3, and localized peritonitis in 1 case. 6. Cases with malignant esophagorespiratory fistula were only 3 in the series which is predominant cause of acquired esophagorespiratory fistula in Western countries. 7. Various therapeutic measures were applied with mortality rate of 27.7% in the series. 8. In usual cases early treatment gave better prognosis, and least mortality rate in cases with perforation in mid thoracic esophagus. 9. Main causes of death were respiratory complications,acute hemorrhage with asphyxia, and septic complications. 10. Esophageal perforation developed after pneumonectomy gave more difficult therapeutic problems which were solved in only 1 among 5 cases.

  • PDF

매개체 부재 하에 발생한 닭의 흑두병 증례 (An Outbreak of Chicken Histomoniasis in the Absence of Normal Vectors)

  • 손화영;김남수;류시윤;신현진;박민규;김현철;조정곤;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91-594
    • /
    • 2009
  • 10 주령의 육계 종계가 급성으로 폐사 하였다. 치사율은 20 수/계사/일 이상 이었고 사육환경은 평사였다. 분변검사에서 맹장 및 장으로부터 기생충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부검 소견에서 장간막과 장조직의 유착을 동반한 섬유소성 염증이 관찰되었다. 또한, 맹장의 충 출혈을 동반한 종대, 확장 및 비후가 관찰되었으며, 맹장의 내강에서 염증성 삼출물에 의한 단단한 치즈양 core가 관찰되었다. 간의 육안소견에서는 원형의 융기된 괴사 반점이 관찰되었다.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전형적인 칠면조편모충이 간조직에서 관찰되었으나 장점막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본 예에서 흑두병을 매개하는 닭맹장충을 부검 및 생존한 닭에서 관찰할 수 없었으며 계사의 토양에서 지렁이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증례는 닭에서 매개체 없이 칠면조편모충이 직접전파에 의해 감염된 사례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