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Analysis of the Intestinal Atresia

선천성 장 폐쇄증의 임상적 분석

  • Park, Jin-Young (Department of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진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Intestinal atresia is a frequent cause of intestinal obstruction in the newborn. We reviewed the clinical presentation, associated anomalies, types of atresias, operative managements, and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36 cases of intestinal atresia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4 and February 2003. Location of the lesion was duodenum in 17 patients, jejunum in 11 patients and ileum in 8 patien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4 in duodenal atresia (DA), 2.7:1 in jejunal atresia (JA) and 7:1 in ileal atresia (IA). The most common type was type III (41.1 %) in DA, and type I (52.6 %) in JA and IA.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was vomiting(88.2 %) in DA, but in jejunoileal atresia, vomiting(89.4 %) and abdominal distension(89.4 %) were the most common sign and symptom. All cases of DA were diagnosed by plain abdominal radiography. There were 6 cases of DA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3 cases of DA with Down syndrome and 3 cases of JA with meconium peritonitis. Segmental resection was performed in 13 cases, duodenoduodenostomy in 11 cases, membrane excision in 7 cases, jejunojejunostomy in 2 cases, gastroduodenostomy in 2 cases and ileocolic anastomosis in 1 case. There were 9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3 each of anastomotic leakage, wound infection, and intestinal obstruction 3 cases. The mortality rate for DA was 11.8 %(2/17). Both deaths in DA were attributed to congenital heart disease. The mortality rate for JA was 18% (2/11). Both cases died with sepsis and short bowel syndrome.

1994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경험한 선천성 장폐쇄증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재태기간과 출생시 체중, 산전진단 및 출생장소, 임상소견, 수술전 검사, 동반기형, 수술방법, 형태학적 분류, 합병증 및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총 36예의 환자중에서 십이지장 폐쇄증 17예, 공장 폐쇄증 11예, 회장 폐쇄증 8예 있었다. 남녀비는 십이지장 폐쇄증은 1.4:1, 공장 폐쇄증 2.7:1, 회장 폐쇄증의 경우는 7:1 이었다. 형태학적 분류에서 십이지장 폐쇄증은 3형이 7예로 가장 많았으며, 공장 및 회장 폐쇄증은 1형이 10예로 가장 많았으며, 3a형이 7예 있었다. 임상 소견은 담즙성 구토와 복부 팽만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 수술 전 검사는 십이지장 페쇄증은 전예에서 단순복부촬영만으로 정확하게 진단이 가능하였다. 동반 병변은 십이지장 폐쇄증 환자 중선천성 심기형 6예, 다운증후군이 3예 있었고, 공장 및 회장 폐쇄증에서는 3예에서 태변성 복막염이 동반되었다. 수술방법은 부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13예로 가장 많았다. 술 후 합병증은 문합부 유출 3예, 장 폐색증 3예, 창상 감염이 3예 있었으며, 십이지장 폐쇄증 환자 2예 9사망률:11.8 %)에서 동반된 선천성 심 기형으로 사망하였으며, 공장 폐쇄증 환아 2예(사망률: 18 %)는 폐혈증과 3b 형에서 장 절제 후 단장 증후군으로 각각 사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