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6초

창의성센터 건립을 위한 학생,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조사 (A Survey Study of Perceptions for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Building Creativity Center)

  • 이성희;최선영;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177-18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a better of how creativity center is perceived among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by administering a questionnaire. A total of 320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developed the questionnaire which as categorized by four specific areas: 1) people's overall perceptions of creativity education; 2) the way of using the creativity center 3) programing of creativity center 4) space composition of the creativity center. The summary of survey results included; firstly, people had paid attention to creativity educa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secondly, they want to make use of creativity center with informal learning and extra-curriculum; thirdly, they prefer to participate in many experience activities such as camp or experiments; lastly, they more need creativity experience program and utilization of DIY education. In conclusio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creativity center is needed.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and follow-up study on building creativity center should be highly considered.

초등학교 자연과 상호작용 강화 학습일지의 학교 수준 적용 방안 (The Application of Interactive Journal to Elementary Science Classes at School Level)

  • 김찬종;오영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187-196
    • /
    • 2001
  • Students' journals in science class are supposed to contribute to students' science teaming and to provide plentiful information on students' learning and progress. If interaction could be reinforced in the process of writing journal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journals are expected to be increased. New approaches in teaching should be supported by school and community. Otherwise, teachers are frequently frustrated and failed to introduce new ways of instruction into science classes.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develop interactive journals, and approaches to introduce interactive journals at school level. The status and situation of the school were investigated by survey. Interactive journals were developed by teachers who experienced workshops on developing journals. A model journal was provided as a guidance to teachers. To establish environments for introducing journals in the school, an invited lecture was provided to increase parents' perceptions on journals. A communication system amo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as established, and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encyclopedia, books, computers, and so on were prepared. For efficient administration of journals, various prizes and events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participated experienc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rms of journals, interactive journals for science class were developed, the environments for the introduction of interactive journals at school level were established, and most students successfully completed science journals.

  • PDF

성취평가제로 인한 교수 실행 변화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탐색 -내신 석차등급 미반영 전후를 중심으로- (Exploring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Changes Due to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Focusing on the Impact of No Longer Indicating Course Ranking)

  • 전소현;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5-207
    • /
    • 2024
  • 우리나라는 학습결과를 상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소하고자 교과목별 학업성취 도달 수준을 평가하는 절대평가 형태의 성취평가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구현 방식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 구에는 고등학교 과학교사 20명이 면담에 참여하였으며, 성취평가제에 관한 인식, 성취평가제가 교사의 평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취평가제 운영으로 인해 변화되거나 개선된 점 등에 대한 본인의 의견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참여 교사들은 내신 석차 등급 미표기 이후 성취평가제가 기대하는 교육적 의미가 현장에 반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성취평가제로 인해 변별에서 벗어난 과학수업을 실현할 수 있었으며, 학생의 성취에 주목함에 따라 과학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결과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남으로써 과학과 교과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과학 교과의 본질적 목표에 집중할 수 있게 된 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진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교사들은 적정 성취수준을 교사 스스로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학생 활동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평정하는 과정의 난해함으로 인하여 성취평가제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한, 내신 석차 등급이 산출되지 않은 이후, 학생들이 수업에서 보이는 의욕과 열의가 현저히 떨어지는 현 상황에서 수업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Exploring the Impact of a STEM Integr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Secondary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Engineering and Their Attitude toward Engineering Integrated Teaching

  • Wang, Hui-Hui;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4-499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a STEM integr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teachers' perception of engineer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A total of sixty-eight teachers from ten school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five days. Data are collected from three main sources including (1) pre and post concept maps probing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ngineering discipline, (2) a pre and post survey measuring teachers' self-efficacy of teaching science/mathematics within the engineering context, and (3)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or) mathematics lesson plans and teaching reflections. This study utiliz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depending on the data we have collect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science and math teachers thought that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provided valuable outcomes, i.e., promoting students' learning about engineering and improving their interest in science or math through real-world problem solving exercises. Participants also felt more comfortable about integrating engineering in their teaching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also imply that the teachers' understandings of engineering become more concrete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also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hallenges and advantages of teaching engineering in K-12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rooms.

과학선도학교 사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교육과정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The Effects of National Science Leading School Program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and Teachers' Perception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actors Affecting PES)

  • 강훈식;이수영;김희경;이성희;곽영순;신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79-293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과학선도학교 사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교육과정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사업을 수행한 과학선도학교 중에서 2017년 2학기 말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결과를 제출한 총 117개 과학선도 학교의 학생 11,488명과, 비교군으로 50개 일반학교 학생 1,315명의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결과를 대상으로 학교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긍정경험 전체 점수에서는 창의융합형 과학실 모델학교 학생들의 점수가 과학중점학교와 사다리 프로젝트 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과학긍정경험 하위 영역별로 각기 다른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보다 심층적인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한편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교수 학습 방법 및 자료 활용과 평가의 영향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에서 항목별로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과학선도학교 여부에 관계없이 많은 교사들이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교 밖 과학 활동, 학생 중심의 과제 연구 및 탐색 활동, 자료의 활용 측면에서는 정보통신기술과 기기의 활용, 그리고 평가 방법 중 관찰 평가와 실험보고서 평가가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농어촌 지역 초등학교단위 교원연수 교육요구 분석 (Needs Analysis of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Rural Areas)

  • 이태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01-311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the needs analysis of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rural areas of Kyungki and Chungnam provinces. Using a modified survey, the Korean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Needs Assessment Survey (KSSDNAS), adapted from the Teacher Needs Assessment Survey (TNAS) developed by Gary M. Ingersoll et al. and the Korean Teacher Needs Assessment Survey (KTNAS) developed by K. Chung, the study analyzed 192 teachers' respons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one-way ANOVA were compu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needs. These involved "building learning objective and learning group "and" cooperation of classroom management and students' activity".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need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chool size or school location. Most of all, it may be suggested that active teachers can improve the achievement of their rural schools by rearrangement of the subject contents and by understanding their students in rural areas.

  • PDF

대학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Perspectives of College Students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on Factors Affecting College Science Learning)

  • 홍미영;강남화;김주아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875-881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고등학교 과학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학생들은 전공별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주는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학과의 경우에는 수학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화학과와 생물학과의 경우에는 영어 능력과 기초 과학 지식이 대학에서 공부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학생과 과학 교사 두 집단 모두 기초 과학 지식과 수학 능력이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크게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과학 학습을 위한 과학교육 개선 방안으로, 대학생들은 탐구 기회 확대, 과학교사들은 선택과목의 필수 이수 확대라고 각각 응답하여 두 집단 간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과학 교사와 동료 학생에 의해 강조되는 동기적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성취 목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udents' Perceptions of Motivational Climate Emphasized by Science Teachers and Peers on Achievement Goals)

  • 전경문;박현주;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64-370
    • /
    • 2005
  • 본 연구는 중학교 153명을 대상으로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동료 학생에 의해 강조되는 동기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교사의 학습 장려/교사의 상대적 비교 강조/동료들의 자기 개선 및 자기 발전 추구/동료들의 상대적 우월성 추구/실수에 대한 걱정)과 성취 목적(과제 지향/수행 지향/수행 회피)을 조사하였다. 동기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이 성취 목적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동기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에서는 성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성취 목적에서는 유의미한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동료 학생이 학습에 대한 자기 개선이나 자기 발전을 중요시 한다고 인식하는 것은 학생들이 과제 지향 목적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학 교사나 동료 학생이 상대적 우월성 및 비교를 추구한다고 인식하는 것은 학생들이 수행 지향 목적을 가지도록 유도하였으며, 동료 학생이 실수에 대해 걱정한다고 인식하는 것은 수행 회피 목적을 가지도록 이끌었다. 과학 교사의 상대적 우월성 및 비교 강조는 수행 지향 목적뿐만 아니라 수행 회피 목적의 채택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긍정적인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생의 과학적 재능과 흥미에 대한 학생 본인, 학부모,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erception on Students' Scientific Talent and Interest Among Students Themselves,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 조현주;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59-56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 중학생이 가진 과학 재능 및 흥미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해보고, 그 중에서 과학고 진학 희망 학생틀의 과학 재능 및 흥미에 대한 학생 본인,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비교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한 개 광역시의 초 중학생 592명과 그들의 학부모 592명 및 그들의 지도교사들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질문지에 의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학생의 과학 재능 및 흥미에 대한 인식이 학생에 비해 교사나 학부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인식 정도는 세 집단 모두에서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둘째, 학생, 학부모의 경우는 남학생의 과학 재능과 흥미에 대한 인식이 여학생보다 높았던 반면, 교사의 경우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과학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의견의 일치도는 세 집단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는 5%로 아주 적었고, 학생은 원하지만 학부모와 교사가 원하지 않는 경우와 학생은 원하지 않는데 학부모는 원하는 경우를 합하면 50% 정도로 의견의 불일치 정도가 상당히 컸다. 이상의 결과는 학생의 과학 분야의 진로 선택에서 학생의 의견과 적성이 우선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학생, 학부모, 교사 간의 대화를 통한 의견 조율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현재로서는 과학 분야의 진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중학생 시기가 진로 탐색 시기임을 고려하여 학부모와 교사가 그 학생의 과학적 적성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과학 분야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적절한 진로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행 및 어려움에 대한 인식 탐색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mplementation and Challenges on Process-Based Assessment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이현주;백종민;곽영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133-144
    • /
    • 2020
  • 본 연구는 현장 적용 2년차를 맞이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모니터링 연구의 일부분으로, 중학교 1, 2학년 수업을 담당하는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 적용 실태와 어려움 및 효과성 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교육 선도학교와 일반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선도학교 교사 44명(41.9%), 일반학교 교사 61명(58.1%)을 표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전국으로부터 105명의 과학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조사 후 교사 초점집단을 구성하는 16명의 중학교 과학교사들과 심층면담을 통해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적용 실태와 어려움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사의 평가 방식 변화, 과정중심평가 현장 적용의 어려움, 과정중심평가의 효과에 대한 인식으로 제시하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에서 과정중심평가를 강조함에 따라 본인의 수업에서도 과정중심평가의 요소들을 반영하게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가방법에 비해 다양한 과정중심평가를 활용하는 빈도도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응답은 선도학교 교사들이 일반학교 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면담결과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 적용의 어려움으로 과정중심평가 개념의 모호성, 과정중심평가와 순위를 정해야 하는 학교평가체제와의 충돌,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도의 확보의 부담감, 개개인을 평가해야 하는 현실적인 업무 부담 등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과정중심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성장을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매우 효과적이라는 만족감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