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17초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읽기자료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강석진;석종임;고한중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3호
    • /
    • pp.315-326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s. Participants were 181 teachers from 23 elementary schools who were teaching science and 643 third- to sixth-grade students from 12 elementary schools.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consisted of 18 items and a questionnaire for students consisted of 11 items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s. Nine to twelve items, according to grades, examining the actual uses of each reading material in science textbooks were also included to both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and frequently use them in case of needs for supplement and/or enrichment of science learning. Novic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less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expert teachers. Over 70 percent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read all reading materials.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were tended to have less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third-grade students. Finally, students tende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their teachers.

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대한 인식 조사 (Perceptions of High-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STS))

  • 강순자;조선향;여성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1-460
    • /
    • 1997
  • Various modern social problems are also relat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Thorough understanding about Technology-Society(STS) interactions is required to take informed action about how to deal effectively with these problems. In this case, there is a need for S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Technology-Society interactions and differences of their perceptions. It is my hope that this thesis will contribute to future "General Science" class in Korea. We obtained the data by a survey of 414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General Science" courses in Seoul and 54 of their science teachers. The survey was made using 10 multiple-choice items selected from the VOS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item p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that science is exploring the unknown and discovering new things. Their perceptions about the science are somewhat stable, but about the technology various. 2. Most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that science and technology interact and complement each other. They also thought that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needs investments in both science and technology 3. Most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social facts as community, government, and politics influenced scientists and scientific research. They also had a good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society. We can conclude from this that they had a Science-Technology-Society oriented viewpoint.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boys and girls in following categories (p<.05): Influence of Community or Government Agencies on Scientists Influence of Politics on Scientists Role of Scieoce/Technology in Resolving Social Problems 5.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following categories (p<.05): Definition of Science Influence of Politics on Scientists

  • PDF

과학 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cience Textbooks)

  • 손영옥;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40-749
    • /
    • 2002
  • 본 연구는 과학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먼저, 교사 및 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과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 학생의 교수 학습관에 따른 교과서관의 관계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교과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대구 경북지역의 중학교 과학교사 113명과 중학생 7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주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와 학생간의 교과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교 교사의 인구학적 변인 중 교과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소재와 학급규모이었고, 교사의 연령, 성에 따라서는 별 차이가 없었다. 중학교 학생의 인구학적 변인 중 교과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소재와 남녀공학여부, 학급규모, 학년이었고, 성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상대주의적 교수관을 가진 교사나 상대주의적 학습관을 가진 학생이 교과서의 지식을 상대적으로 보았으며, 학생중심의 교과서를 선호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보다 더 학생 중심으로 서술된 교과서를 선호하였고, 절대주의적인 지식관과 교수 학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은 교사들보다 더 전자교과서를 선호하였다.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일정성분비 법칙의 강의와 실험에 대한 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Lectures and Experiments of Law of Definite Propor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한감봉;민희정;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44-15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다루는 일정성분비 법칙의 강의와 실험에 대한 과학 교사들과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3명의 교사 수업을 관찰 기록하고, 면담을 통해 수업과 실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 성적과 인지 수준과 과학 태도, 실험 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에 따라 강의 수업에서 강조하는 점이 달랐으며, 특히 화학교사들은 기본 개념보다는 비례 관계의 계산과 응용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기본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실험 수업에서도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행 수준이 낮다고 보고, 실험 과정을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그리고 실험 결과의 오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다. 학생들은 실험 과정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실험 오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교사의 학교 과학 수업과 실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수학, 과학 학업성취의 성차에 대한 영재교사의 인식 연구 (Study on Gifted Teachers' Perceptions of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Ability)

  • 채유정;류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10-1120
    • /
    • 2011
  • 본 연구는 수학, 과학 성취에 대한 일반학생과 상위 성취 학생들의 성차여부에 대한 영재담당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초등 영재담당교사 167명과 중등 영재담당교사 122명이다. 교사들은 일반학생과 상위 성취학생의 수학, 과학 성취에 성차가 존재하는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등에 관한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의 65%는 남녀 학생 간 과학 성취에 성차가 존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성차가 존재한다고 인식한 교사의 63%는 초등 고학년에서 중학생 시기에 성차가 드러난다고 보았다. 상위 성취 학생집단에도 성차가 나타난다고 보는 교사들은 전체의 57%였으며, 성차가 나타난다고 응답한 교사들이 생각하는 성차 발현의 이유로는 선천적 능력의 차이, 사회적 기대, 부모의 양육태도 등이 있었다. 영재담당교사들의 수학,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성차인식은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어 남녀학생들의 실제 성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제언이 결론으로 제시되었다.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nd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 성혜진;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63-172
    • /
    • 2019
  •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the appropriateness of inquiry activities to science inquiry, and the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by inquiry activities. 85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Likert scale survey, and 7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that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the most essential were 'Engaging students in evaluating their explanations in ligh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and 'Engaging students in communicating and justifying their explanations'. Second, The inquiry activities that teachers thought the most appropriate to science inquiry were 'experiment' and 'project'.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s on 'discussion' and 'field trip' were relatively low. Third, the inquiry activity that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five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was 'experiment' while the mean score of 'field trip' was the low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the science inquiry were discussed.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기대도와 실행도에 관한 학생의 인식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 성승민;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3호
    • /
    • pp.246-25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made based on the advanced article, and conducted to 279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OVA, and $Scheff{\grave{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on the elementary teachers performance can not reach to those of their expect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me of the sub-domains of expectation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s (gender, grade, and interest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ion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about science teaching were suggeste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eaching from PST Perspectives

  • Alhwaiti, Mohammed 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169-174
    • /
    • 2022
  • The study aims to discover the scop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a pre-service teacher (PST) perspective in light of the gender and sub-major variables. The sample consisted of 84 MEd students/pre-service teachers at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Faculty of Education, Umm Al-Qura University. The descriptive analytical approach is used due to its relevance to the study. A survey consisting of the participant's basic information section and 12 statements was sent to a set of pre-service teachers. Findings showed tha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n overall high knowledge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M=3.93).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gender- or major-rel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α = 0.05), i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student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알아본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through Network Analysis of Keyword)

  • 성승민;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27-3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through network analysis of keyword.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lated by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then analyzed by Gephi 0.9.2 program as a tool of the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p 5 words in betweenness centrality were 'smart, experiment, fun, various, and student understanding'. There was some difference of perceptions of student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s(gender, grade and interest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ion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were suggested.

중·고등학교 과학실험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Comparison betwee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t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ience Instructions)

  • 조현준;양일호;이효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2권2호
    • /
    • pp.103-120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 사이의 중요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위해, 과학교사용과 학생용 설문지를 개발한 후 각각 중학교 교사 108명, 중학생 109명, 고등학교 교사 104명, 고등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결과를 수집하였다. 설문 결과는 절대순위 응답분석 기법을 통해 처리되고 비교되었다. 분석 결과, 중요하게 생각하는 실험목적에 대하여 중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과학탐구능력을 선택한 반면, 중학생들과 고등학생들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선택하였다. 또한 응답빈도의 집중경향도 교사들은 과학탐구능력이라는 특정 항목에 집중적으로 분포한 반면, 학생들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집중된 경향이 교사들에 비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인식과 달랐고, 이를 통해 교사와 학생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