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17.36.3.255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Sung, Seung Min (Jeam Elementary School)
Yeo, Sang-Ih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36, no.3, 2017 , pp. 246-25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made based on the advanced article, and conducted to 279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OVA, and $Scheff{\grave{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on the elementary teachers performance can not reach to those of their expect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me of the sub-domains of expectation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s (gender, grade, and interest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ion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about science teaching were suggested.
Keywords
students' perception; elementary teacher; science teaching; expectation and performa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준형, 나지연, 정용재, 송진웅 (2015).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특징: 과학수업 문화 분석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99-508.   DOI
2 서경혜 (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165-187.
3 안미화 (2005).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인센티브 인식 간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 32(4), 91-114.
4 여상인, 김희정 (2005).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학력과 인지적 언어 능력 및 그 상관. 초등과학교육, 24(1), 51-58.
5 여상인, 성승민 (2013).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의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32(4), 535-544.
6 이기영, 박재용 (2014). 교사 지식의 관점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25-634.   DOI
7 이봉우 (2016).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03-112.   DOI
8 이상우, 강충열. (2009).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 교육과정연구, 27(2), 183-203.
9 이성은, 권리라, 윤연희 (2004).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1(3), 5-27.
10 이준수 (2012). 초등학생의 거주지별 학업성적 및 도농간 학업성적의 성별 차이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36, 119-159.
11 임재근, 양일호 (2008). 초등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연구. 초등과학교육, 27(2), 93-101.
12 정충덕, 강경희 (2014). 고등학생의 계열 및 성별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61, 29-48.
13 양일호, 최현, 임성만 (2014).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10-20.   DOI
14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09).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3판). 파주: 교육과학사.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과학과 수업장학 연수(II).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Graf, L. A., Hemmasi, M. & Nielsen, W. (1992).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A diagnostic tool for organizational change.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13(6), 8-12.   DOI
17 한재영 (2011). 과학 수업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학습지도 능력에 대한 다양한 관점. 과학교육연구지, 35 (2), 138-148.
18 한재영, 윤지현 (2012).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평가를 위한 이해당사자 기반의 평가 관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4), 941-960.
19 홍우림 (2017). 수업전문성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교육, 28(2), 1-17.
20 Cochran, K. F., DeRuiter, J. A. &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DOI
21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2 Knight, S. L. & Waxman, H. C. (1991). Students' cognition and classroom instruction. In Waxman, H. C. & Walberg, H. J. (Eds.), Effective teaching: Current research, (pp. 239-255). Berkeley. CA: McCutchan.
23 Kriewaldt, J. A. (2015). Strengthening learners' perspectives in professional standards to restore relationality as central to teaching.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Online), 40(8), 83.
24 Lynch, D. C., Surdyk, P. M. & Eiser, A. R. (2004). Assessing professionalism: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al Teacher, 26(4), 366-373.   DOI
25 Rosenthal, R. & Jacobson, L. (1968). Pygmalion in the classroom. The Urban Review, 3(1), 16-20.   DOI
26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Springer Netherlands.
27 Mar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Journal of Marketing, 77-79.
28 Park, S. H. (2007). Teacher efficacy as an affective affili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8), 743-754.
29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DOI
30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3.   DOI
31 Tichenor, M. S. & Tichenor, J. M. (2004&2005). Understanding teachers' perspectives on 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 Educator, 27(1&2), 89-95.
32 권성연 (2010).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6(1), 185-215.
33 고재천 (2001). 초등교사의 전문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14(2), 159-179.
34 곽영순, 김주훈 (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35 곽영순 (2011).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2(4), 422-434.   DOI
36 김병수, 임진영 (2014). 교과별 PCK에 기초한 초등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5), 1-23.
37 김지혜, 신영준 (2013). 성별과 학업 성취도에 따른 학교과학 실험의 목적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2(2), 159-168.
38 김초록, 강충열 (2014). 초등학교 아동에게 '6학년이 된다는 것'의 의미. 초등교육학연구, 21(1), 51-69.
39 김한나 (2015). 초등학교 자체평가 도구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김희백, 김미영, 임성민 (2004).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별 과학 선호도와 인과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87-398.
41 류광모 (2017).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 교사 역량모델 개발.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박병태, 신동희 (2010). 과학 성취도 최상위 학생의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성공자와 실패자의 성별 특성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2), 173-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