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Libraries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4초

공공도서관의 테마전시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및 이용행태 변화 연구 (A Study on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 Changes after Using the Theme Display Service)

  • 정유라;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45
    • /
    • 2017
  •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분석 (An Analysis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Special Libraries)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7-271
    • /
    • 2017
  • 현재와 장래에 이용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유지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디지털 큐레이션은 전문도서관에서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디지털정보 환경 하에서 전문도서관이 수행하고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와 현재 전문도서관에서 수행되는 큐레이션 업무 수준 및 전문도서관 사서가 인지하는 큐레이션 업무의 중요도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대표할 수 있는 활동범주와 이에 해당되는 세부업무를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전문도서관의 수행정도와 중요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흡하였고 이에 대한 중요도 인식도 그다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 사서들이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고 내부적으로는 장기적인 정책 및 업무절차를 수립하지 못하여 체계적인 디지털 큐레이션을 못하고 있으며, 셋째, 사서들은 여전히 도서관의 전통적인 업무 사이클인 정보조직-소장-이용을 중요시 여기고 이 업무들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개념으로 새로운 실무와 기술을 익혀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보존에 대한 중요도 인지와 이와 관련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키는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을 통한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Using Smart Phones)

  • 이은희;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7-392
    • /
    • 2011
  • 본 연구는 오늘날 점차 확장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았으며, 특히 관련 연구나 서비스 제공이 미흡한 공공도서관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스마트 폰을 통해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함께 e-Contents 서비스에 대한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이 기존 정보서비스의 혁신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정보서비스에 대한 또 하나의 접근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대학도서관 홍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Relations of University Libraries using Instagram)

  • 소하은;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7-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대학도서관의 홍보 활동에 대한 재학생의 이용 현황과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홍보를 위한 대학도서관 인스타그램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도서관 인스타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소속 대학의 도서관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도서관 인스타그램 운영 개선을 위해 첫째, 재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과 밀접하게 연관된 '도서관 행사 및 이벤트' 정보를 활용하되 실질적인 도서관 이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참여 방법을 기획하여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서관 이미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 인스타그램을 통해 사서의 역할을 홍보하고 일상적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도서관 인스타그램에 이용자가 문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 주기적인 게시물 업로드와 모니터링을 통해 이용자와의 소통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nd Percep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n Special Libraries)

  • 황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37-158
    • /
    • 2011
  •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도서관 현장에서는 도서관이 처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수시로 변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제전문서비스가 거론된 바 있다. 전문도서관 역시 주제전문서비스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사례는 없는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에서 주제전문서비스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주제전문사서들은 주제전문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는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일반, 주제전문사서 채용과 교육 훈련,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애로사항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AR 기반 정보 시스템에 대한 아동 인식 연구 (Augmented Reality Based Information Systems: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standing Children's Perception)

  • 최시영;이경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5-105
    • /
    • 2024
  • 도서관은 어린이들이 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공공기관으로, 미래 세대를 위한 다양한 기술 기반 정보 시스템의 영향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은 최근 어린이들의 교육, 치료, 여가 등 다양한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들의 AR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 디자인 세션을 통해 AR 기술에 대한 어린이들의 인식과 요구를 직접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Would You Rather?' 기법을 통해 어린아이들은 AR 기술에 대한 경계와 기대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AR 기술 환경을 현실 세계의 확장으로 간주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도서관에서 어린이를 위한 AR 콘텐츠를 개발할 때에 고려해야 하는 요소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공공도서관 사서인식 조사연구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about the Response to the COVID-19)

  • 노영희;장로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3-220
    • /
    • 2020
  •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 도서관계의 서비스 방법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유행성 질병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하는 국가 중심의 도서관 대책 마련, 둘째,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을 통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공공도서관 비대면 및 온라인서비스 강화, 셋째, 직원 및 이용자 측면에서의 철저한 방역 및 선제적 대응, 넷째, 정보불평등 계층의 디지털 문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도서관서비스 확대를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위치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of School Library Location)

  • 이영모;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76
    • /
    • 2015
  •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정보자료 및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는 독서를 통한 창의력 향상 및 인성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에게는 학생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교수방법을 개발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실시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은 더 이상 도서 보관의 장소가 아니며 학교교육 과정의 중심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 과정의 중심공간인 학교도서관의 주이용자인 학생 및 교사가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학교도서관의 위치로 운영자인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적합한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시설에 관한 연구와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 분석하고 전국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의 '소재건물, 층수, 건물 내 위치, 면적' 등의 요인들은 사서대상 위치 만족도 조사에서 유의미한 수치가 발견되었으며, 사서들의 학교도서관 위치 인식 전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전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현황과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사서의 인식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 Status and Librarians' Perceptions on Promoting Services in Special Libraries)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57-179
    • /
    • 2017
  • 본 연구는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정보서비스 현황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정책분야별 전문성과 역할을 강화하고 정보서비스의 지속적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2개 정부출연 연구기관 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정보서비스 계획단계, 조사 제공단계, 평가단계, 시스템 운영, 사서에게 요구되는 필요능력, 역할 확대 및 변화에 대한 인식, 애로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7영역, 12항목, 6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질적분석을 위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도서관의 신생업무로 연구정보 관리툴 도입 운영, 자문위원회 운영, 발간물 관련업무 수용 등을 발견하였다. 제언으로 직무중심의 모듈별 표준매뉴얼 제작,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역할 확대를 위한 계속교육, SNS의 적극적인 정보서비스 활용을 주장하였다.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Librarians' Perception of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89-109
    • /
    • 2011
  • 이 연구는 다수의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경험해 온 전문가의 관점을 통해 어린이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더불어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관찰한 어린이의 정보탐색 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과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축적하여 왔는가? 셋째,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우리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등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 29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서들은 현행 목록이 어린이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어린이의 정보요구와 탐색행태에 기초한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