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and Practicability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품질평가기준 (The Consumers' Evaluative Criteria of Quality on the Clothing Products)

  • 김민수;김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1호
    • /
    • pp.47-6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evaluative criteria based on clothing quality perception of adult males and females. A demonstr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on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were considered to afford to purchase clothes. A total of 6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380 were used for the demonstrative analysis. The study used SPSSWIN V.8.0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introduced as analysis methods using the varimax rotation to classify consumer evaluative criteria for clothing purchasing.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1-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uncan test are executed.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expectati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examined by customer quality perception. Four factors- practicability, care, aesthetics, and symbolism- are classifi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19 evaluative attributes based on importance. Second, differences of quality perception f3r expectati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found partly in custo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the influential relation of satisfaction and quality perception is examined. Aesthetics and practicabil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eneral satisfaction of evaluative attributes by performance.

  • PDF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에 대한 소비자인식 및 수용과정에 따른 소비자혜택과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Consumer Benefit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reating Shared Value(CSV) Based on Consumer Perception)

  • 황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13
    • /
    • 2018
  • 공유가치창출은 기업의 수익과 경쟁중심적 전략에서 벗어나 기업의 활동이 사회적 가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경영전략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어떠하며 이러한 기업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가치창출전략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실천가능성인식, 혜택인지가 소비자의 공유가치창출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공유가치창출활동의 실천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기업혜택인지의 수준을 높이고 이것이 다시 소비자혜택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가 직접효과에 비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혜택과 소비자혜택에 대한 인지수준이 소비자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기업측면에서의 실용적인 성과를 높게 인지할 때, 그리고 이러한 기업혜택이 소비자혜택으로 연결된다고 여겨질 때 참여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 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분석 및 저나트륨 식사 방법의 실천용이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Practicability of Guidelines for Reducing Sodium Intake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Housewives)

  • 안소현;권종숙;김경민;윤진숙;강백원;김종욱;허석;조해영;김혜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24-736
    • /
    • 2012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odium-related perception, dietary behavior, and practicability of methods for reducing sodium intake(RSI)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consumer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770 housewives, among them 553 subjects who answered the key questions for the stage of change were categorized into 'Maintenance (M)' stage (maintaining reduced salt intake for more than 6 months; n = 287, 51.90%), 'Action (A)' stage (maintaining reduced salt intake for less than 6 months; n=139, 25.14%), and 'Pre-Action (P)' stage (not starting reduced salt intake; n = 127, 22.97%). The subjects in M and A were significantly older than those in P (p < 0.01). The scores of desirable dietary habit and dietary balance were the highest in M followed by A and P. When eating out, the subjects in P considered 'price' more and 'healthiness of food' less than those in M and A did. Among the guidelines for RSI, 'Avoid Processed Foods', 'Eat enough vegetables and fruits' and 'Add little amount of dipping sauce for fried food' were selected as the three easiest items to perform. With regard to the sodium-related perception, the subjects in M considered eating-out food to be more salty than homemade dishes, read nutrition labels more, avoided table salt or dipping sauce for fried food more, and had 'own low-sodium recipe' than those in P (p < 0.001). It is suggested that practicability of actions for RSI and the stage of change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effective personalized education program and nutrition guidance.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대학의 환경풍토가 윤리적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mpus Environment on the Perception of Ethic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 김윤경;정민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5-12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mpus environment on the perception of ethic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323 nursing students attending four universities in Busan and Kyungnam.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25, 2017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ethical sensitivity of nursing students were identified as professional self-concept (${\beta}=.36$), nursing role (${\beta}=.24$), scholarship (${\beta}=.17$), practicability (${\beta}=.17$), and propriety (${\beta}=-.13$). Five factors explained 40.5% of nursing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further educational programs 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mpus environments for enhancement of nursing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의복디자인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실루엣 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lothing Design Evaluation Instrument)

  • 이경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ual effects of clothing design.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develop a clothing design evaluation instrument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visual responses with clothing design: 2)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lothing design evaluation instrument: 3) to test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to the clothing design depending on sex and knowledge about clothing design. The major findings were: 1. 37 pairs of descriptors of clothing form were found to include five factor dimensions (total variance:62.1%). Five major factors were found: attractiveness, practicability, elegance, comfort, hardness and softness. 2. for the visual evaluation of silhouett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H-line was explained by the simple image. A-line was explained by the comfortable image. V-line was explained by the mature and refined image. X-line was explained by the attractive and femine image and evaluated positively. 3. For the visual evaluation of observers, there were part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ex and knowledge about clothing design in the observers' responses. But there were greater differences depending on sex than knowledge about clothing design in the observers' responses.

  • PDF

성남 지역 외식업소의 나트륨 저감화 현황과 종사자의 저감화 실행에 대한 인식 및 실천용이도 (Current status, perception and practicability of restaurant staffs related to reducing sodium use in Seongnam, Korea)

  • 안소현;권종숙;김경민;이윤나;김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475-487
    • /
    • 2019
  • 본 연구는 외식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나트륨 저감화에 대한 인식 및 업소의 나트륨 저감화와 관련된 현황, 나트륨 저감화 방법에 대한 실천용이도, 실행을 위한 지원방법 등을 조사하여 외식의 나트륨 저감화 정책과 사업에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성남지역 외식업소의 관리자 및 조리종사자 312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나트륨 저감화 실행을 위한 행동변화는 고려전단계, 고려단계, 준비단계를 합한 행동전단계에 속하는 비율이 79.7%로 나타났고, 조리 시 소금 및 장류를 거의 계량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38.5%, 조리 시 염도를 거의 측정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79.2%에 달하였으며 업소 메뉴의 염도정보를 제공하는 비율은 10.4%에 불과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조리 시 소금 및 장류계량 가능성은 나트륨 저감화 교육이나 캠페인 경험에 의해 증가되고, 조리 시 염도측정은 조리 시 소금 및 장류계량,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 중 행동 및 유지단계, 업소 메뉴의 염도 제공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나트륨 저감화 실행의 주요 장애요인은 '맛이 없음'과 '다른 방법으로 맛을 내려면 번거로움'으로 나타났다. 외식업소의 나트륨 저감화 실행방법 중 '영양표시의 나트륨 양 비교하여 식재료 선택하기'가 실천이 가장 어렵고, '장아찌, 젓갈 등의 짠 음식을 반찬으로 내는 것 피하기', '김치의 제공량 줄이기', '덜 짠 김치제공하기', '식당 내 나트륨 저감화 홍보자료게시' 등은 실행하기 쉬운 항목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조리 시 소금 및 장류 계량, 염도측정을 하는 업소 종사자는 하지 않는 업소 종사자에 비해 나트륨 저감화 방법에 대한 평균 실천용이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외식업 종사자의 대부분 (82%)이 지자체의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나트륨 저감화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참여음식점에 대한 인증 팻말 등의 홍보와 나트륨 저감화 조리법 기술지원을 희망하였다. 결론적으로 조리 시 소금 및 장류계량, 염도측정은 나트륨 저감화 실행의 행동변화단계 및 저감화 방법에 대한 실천용이도와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으므로 외식업소의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지침으로 유효하며, 외식업소 종사자들에 대한 단계적인 지원과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공지능 스피커(AI 스피커)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이용 동기 요인 연구 (A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 of and Use Moti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Speaker)

  • 이희준;조창환;이소윤;길영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38-15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이론을 토대로 소비자의 AI 스피커의 사용 행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I 스피커 사용 경험이 있는 국내 소비자 330명을 대상으로 AI 스피커의 속성 인식과 이용의 동기적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용자의 AI 스피커 이용 동기 요인은 사회성 유지 및 현실 일탈, 정보습득 및 학습, 유희와 휴식, 유용성 추구의 4개 하위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I 스피커 사용자의 연령대는 주로 30대이며, 혁신적 성향이 높은 사용자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AI 스피커 사용 동기요인 중 사회성 유지 및 현실 일탈 요인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그리고 정보 습득 및 학습, 유희와 휴식, 유용성 추구 요인은 연령과 혁신성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AI 스피커의 특성을 반영한 사용자 이용 동기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AI 스피커를 활용한 전략적 콘텐츠 운용 및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나와 가족관계' 단원에 대한 중학생의 긍정적 인식, 실천성 인식과 가족건강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and practicability of the "Me and My Family Relations" unit and Family strength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조병은;정선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9-114
    • /
    • 2007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술 가정 교과서 '나와 가족관계' 단원의 내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정도와 실천성 인식정도, 가족건강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학생의 가족환경, 교과서의 긍정적 인식, 실천성 인식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서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임의표집방법으로 질문지 430부를 배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은 기술 가정 교과서 '나와 가족관계' 단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신들의 실제 가족생활에서는 실천성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중학생이 인지하는 자신의 가족건강성 정도는 높게 나타났고, 감사와 애정정도, 유대감, 긍정적인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의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어머니 직업이 있을 경우, 생활수준, 부 학력 수준이 높을 경우 가족건강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가족환경, 교과내용의 긍정적 인식 정도, 실천성 인식정도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교과서 내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가족의 정서환경이 가장 맡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구조적 환경은 정서적 환경에 비해 미치는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의 실천성 인식은 긍정적 인식에 비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대학생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 (Awareness and Practice of Patients'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은영;임경숙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21-13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중 2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을 경험한 남녀 간호대학생 122명으로 자료수집은 2017년 10월 13일부터 28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정보보호 인식도와 실천도는 5점 만점에 인식도는 4.44(SD=0.44)점, 실천도는 4.28(SD=0.62)점이었다. 학교(t=5.094, p<.001)와 병원(t=2.028, p=.045)에서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인식도 차이가 있었으며, 실천도는 병원에서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51, p=.012). 의료정보보호 인식도와 실천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의료정보보호 실천도는 의료정보보호 인식도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영역(r=.420, p<.001), 정보관리영역(r=.368, p<.001) 및 의뢰영역(r=.304,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개발에 힘쓰고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부산광역시 10대전략산업과 디자인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management of the design industry and 10 strategic industr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박광철;조경섭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293-314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산업 성장과 고도화를 기반으로 3단계에 걸쳐 실행하는 10대전략산업에 디자인경영 측면에서 해석한 미래전략 디자인산업의 위치와 부산 디자인산업 육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미래가치에 대한 창조혁명의 시대에 핵심 역할로서 디자인산업의 역할과 디자인경영 관점에서 조망하였으며, 부산 10대 전략산업에서 미래전략의 구성과 디자인산업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전략산업과의 연관관계를 해석하였다. 디자인경영의 관점은 가치기반으로서의 디자인이 핵심 전략적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미래가치의 산업이며, 디자인경영의 주요 기능과 비즈니스경영의 관계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한편, 부산 디자인 육성방안에서 제시된 항목을 정리하여 전략산업과의 연관관계에서 디자인산업 여건과 부산 디자인전략 수립기반의 조성을 위한 추진목표와 체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략산업의 디자인 경영 요소를 분석하고, 부산디자인 육성 컨셉을 분석하여 핵심전략으로서의 의미와 위치관계, 정책우선 등 부산산업 30대 프로젝트의 분석과 그룹핑을 통하여 단계별 실현가능성의 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는 창의성 산업은 미래 산업 결정조건과 핵심가치라는 점과, 디자인 경영에 대한 인식의 전환, 그리고 부산 디자인산업의 비전과 추전전략으로서의 의미를 평가해 보는 것이다. 21세기 초에 정보혁명의 지식경제가 도래하였다. 2000년대의 전반적인 축이 디자인 전략 경영에 의해 창조적 혁신의 성장기를 준비하고 있다. 창조 패러다임의 도래와 지금은 창조경제 시대의 기능과 역할의 중심에 디자인경영의 새로운 이노베이션 DNA을 창출 할 것이며, 개별산업디자인에서 산업의 컨버전스화로 산업간 융합을 거쳐 디지털의 정보화, 지식화를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가 변화가 되었으며, 정보, 기술을 활용한 가치창출의 통합디자인이 부산디자인산업 육성과 10대 전략산업의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