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easy of use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4초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age and diffusion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 Lee, Eunyoung;Shin, Chan;Baatdawa, Baatdaw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38-43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usage and diffusion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which is fast growing industry recently. After wide reviewing previous research about mobile payment, Some factors are identified as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mobile easy payment services-confidence, innovativeness, mobile self-efficacy, relative advantage- through several mediating factors- perceived ea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risk. Empirical study for a research model showed confidence, mobile self-efficacy and relative advantage are effective to the intention to use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via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risk.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practical implication for customer retention and acquisition are suggested.

중국소비자의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hinese Consumers' Smartphone Adoption)

  • 쑨전바오;박미연;황금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1호
    • /
    • pp.149-17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consumers' intention to adopt Smartphones. This paper examines Smartphone characteristics factors (situational dependence, diversity and security) and consume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novation, self-efficacy and familarit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320 sets of data are tested against the model using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diversity and secur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self-efficacy affects only perceived easy of use, and familiarity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easy of use, usefulness and playfulness. This study finds that perceived easy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behavioral intention to adopt Smartphones, and situational dependence and innovation directly affect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perceived cost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중국사례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A Case of Chinese User)

  • 진로;이동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1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 특성(즉시 접속성, 경제성, 보안성), 사회적 특성(주관적 규범, 이미지), 개인적 특성(자기 효능감, 개인 혁신성, 적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과 수용의도를 연구변수로 도입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서 최종 43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제기된 연구가설을 검증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서비스 특성, 사회적 특성, 개인적 특성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지각적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매개효과를 통한 인지적 나이가 소비자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효과 연구 (The Study on the Structural Effects of Cognitive Age on Consumer Innovativeness by Mediating Perceived Usefulness and Easy of Use of Mobile)

  • 손영석;나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40-148
    • /
    • 2022
  • 본 연구는 모바일의 지각적 사용 용이성과 지각적 유용성을 매개효과로 인한 소비자들의 인지적 나이가 소비자 혁신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효과를 밝히는 것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병렬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의 인지적 나이가 젊다고 지각할수록 소비자 혁신성이 높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의 지각적 사용 용이성과 모바일 지각적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에서도 모바일의 지각적 사용 용이성은 소비자 혁신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소비자들의 인지적 나이가 소비자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모바일의 지각적 사용 용이성과 지각적 유용성 간의 구조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기여점을 둘 수 있다.

디지털융합미디어시대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삼성페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eptance Decision Factors for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in Digital Convergence Media Ara: Focusing Samsung Pay)

  • 김차근;김정근;최성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213-221
    • /
    • 2017
  • 본 연구는 삼성페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에 대한 수용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분석 결과는 SPSS 21 프로그램과 AMOS 21프로그램을 인용, 경로분석을 통해 주요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은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은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에 대한 태도는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위험은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에 대한 태도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보시스템 후기수용모델과 가치모델의 통합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 Integration of information system Post Acceptance Model and value model)

  • ;김은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1호
    • /
    • pp.155-181
    • /
    • 2019
  • Purpose As the mobile easy payment service grows fast, competition in the payment service market is getting stronge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users' utilization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explains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based on PAM and value model.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proposed an extended model by integrating PAM, which is a representative model of continuous use intention in IS field, and value model of mobile field. Also this study empirically tested 298 users who have experience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verifies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were determinants of continuous use intention in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Expectation confirmation has been proved to be a positive predictor of satisfac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Also, among the value factors, perceived ease was not a valid predictor of satisfaction, and the remaining factors were positive predictors of satisfaction.

스마트 스피커의 사용-확산 관련 영향 요인 -중국소비자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Use-diffusion of Smart Speakers)

  • 박현정;진천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149-157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 스피커의 사용-확산을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제안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소비자 사용-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스피커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중국 소비자 262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 스피커의 자동성과 적응성 모두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기능성과 호환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반응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의인화는 지각된 유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모두 사용 다양성과 사용량을 향상시키고 지각된 유희성은 사용 다양성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스마트 제품의 디자인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소비자들에 대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모바일뱅킹의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of Mobile Banking)

  • 염창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2-13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of customer satisfaction as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mobile banking. Based on previous exploratory work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of customer satisfaction, nine key factors are identifie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y of use, perceived ubiquity, perceived safety, perceived tangibles, perceived reliability, perceived responsiveness, perceived assurance, and perceived empathy. A conceptual model is developed and hypotheses are empirically examin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y of use, perceived safety, and perceived empath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reu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금융 MVNO 환경에서의 소비자의 모바일지급결제서비스 이용의도 (Intention to use of Mobile Payment Service in Financial MVNO Environment)

  • 박진성;강인양;한필구;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13-227
    • /
    • 2012
  • Recently MVNO has been adopted to reform the monopoly structur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industry in Korea. MVNO is expected to not only enable mobile telecommunication industry more free, but also provide various welfare service with customers, in particular mobile payment system service. Based on TAM,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f intention to use of mobile payment system service in MVNO environ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all system quality facto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but only stability of service quality factor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y of use was found to be sigi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use of mobile payment system in MVNO environment, but percevied usefulness was not.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 관련변인 간의 관계 규명 (An Investigation of the Predictability of Variables Related to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Intention to Use)

  • 정애경;홍유나;강정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17-223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테크노스트레스 변인들 간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교육을 받고 있는 64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테크노스트레스는 테크놀로지 활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다양한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테크놀로지가 유아교육환경에서 유용한 교수학습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