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ceived Aging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Factors Related to Perceive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South Korea

  • Jung, Min-Soo;Muntaner, Carles;Choi, Man-Kyu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4호
    • /
    • pp.292-300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aging phenomena that now characterize much of Korean society, and assessed issues associated with the life satisfaction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aging. Methods: By employing the National Survey on the State of Life and the Desire for Welfare of the Elderly, 2004 in South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The data utilized herein consisted of 3278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from 9308 households.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the final model after the introduction of 19 variables in 8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explanatory power in men (adj. $R^2=0.320$) and in women (adj. $R^2=0.346$). We found that economic condi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both men (B = 0.278) and women (B = 0.336) except perceived health condition variable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life satisfaction was health checkups in men (B = 0.128) and degree of nutritional diet in women (B = 0.145). Those who had experience with chronic diseases also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perceived life satisfaction and this was particularly true of women. Conclusions: The aging society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elderly individuals. This study explored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by using a life satisfaction model. The success of an aging society begins with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thus political attention will need to be focused on this matter.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Cross-Cultural Study of Successful Aging in Korean and Western Society)

  • 백지은;최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2호
    • /
    • pp.137-15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in Western and Korean society using a background of time and dominant values of each society. Content analysis of concepts and components of 'successful aging' was performed based on 12 Korean articles and 23 Western articles. The major findings were: (1) The studies of successful aging accomplished since 2001 and the studies that explore the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perceived by the elderly mentioned diverse elements as essential to successful aging. (2) There were both common and distinct components of successful aging in Western and Korean society. Som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for successful aging were commonly accepted, but others were varied and unique, reflecting the period of experience and cultural value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better understand unique successful aging of the Korean elderly, as well as to establish a basis of intervention that meets the specific demands of this population.

한국 재가노인의 신체활동과 신체활동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상태, 노화태도, 자아통합감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y, Perceived Health Status, Attitudes toward Aging, Ego-integrity and Overall Physical Activ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 김세민;임경춘;이주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8-22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urrent level of physical activity (PA)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for PA, perceived health status (PHS), attitudes toward aging, ego-integrity and PA in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Methods: A total of 164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centers, churche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Korea. With questionnair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3rd to 22th, 2016.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WIN 22.0 program. Results: The mean amount of total PA was 5,295.33±6,272.38 MET/min/week. The number of subjects engaged in vigorous, moderate, and low-intensity activities were 87 (53.0%), 45 (27.4%), and 32 (19.5%), respectively. Overall, physical activ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spouse (t=-2.79, p=.006) and the presence of housemate (t=2.03, p=.044). The mean scores of self-efficacy for PA, PHS, attitudes towards aging, and ego-integrity were 17.16±4.45, 9.00±2.41, 68.12±9.28 and 51.62±7.59,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overall PA and self-efficacy for PA (r=.34, p<.001), PHS (r=.23, p=.003), attitudes towards aging (r=.26, p=.001). Conclusion: Specific programs to promote physical activities in addition to continuous education for improving self-efficacy for PA, PHS, and attitudes towards ag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re needed.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Life in Old Age and Images of the Aged Perceived by Middle-Aged and Old-Aged Generations in Capital Region in Korea)

  • 최성재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329-352
    • /
    • 2009
  • 본 연구는 수도권의 인구 고령화 현상을 예견하면서 향후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를 계획하고 구체적인 복지 서비스 기관과 시설을 재편성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수도권 3개 지역에 거주하는 40대에서 80대까지의 3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심층적 면접을 통해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경제적 측면에서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ageism)으로 노인에게 취업의 기회가 잘 주어 지지 않는 것은 물론 노인 스스로도 능력이 떨어진다거나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중년층과 노년층 사이에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중년층 및 노년층 모두 별 차이 없이 사회 참여도가 낮았고, 노년층의 경우 일상생활 일과에서 특별한 목표가 없고 규칙적이지도 못하고 계획도 거의 없는 편이었다. 심리사회적 측면에서는 중년기 이후 세대들은 세대 간의 큰 차이 없이 아직도 가족, 이웃과 사회에서 소외되었다고 느끼지 않았다. 복지 서비스 측면에서도 중년층과 노년층 큰 차이 없이 모두 소득보장, 의료보장, 주거보장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었고, 사회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원하는 사회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1 시간 이상의 이동도 가능하다고 했다. 중년층과 노년층 모두 노후준비의 필요성과 시의성에 대해 동의하지만 사회복지제도의 미흡과 자녀 양육 및 교육 때문에 실제적 준비를 할 수 없거나 할 수 없었다고 했다.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에서는 중년층과 노년층 사이에는 큰 차이 없이 약간 긍정적이었고, 도시와 농촌 간에는 긍정적 정도가 엇갈리게 나타나고 있었다. 노인에 대한 인식은 세대 간과 연령에 관계없이 긍정적인 면은 거의 없는 반면에 부정적 면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본 연구는 또한 이러한 결과가 향후 수도권의 노인복지 정책과 서비스에 관련되는 함의도 제시하였다.

Circumplex Model에 근거한 취약가구 노인의 가족기능과 성공적 노화 (Family Function and Successful Aging for Vulnerable Elderly Based on Circumplex Model)

  • 박지원;반금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9-249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uccessful aging of vulnerable elderly using the circumplex model.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he elderly (N=401) who wer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H city under the National Livelihood Security Act.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and Successful Aging Instrument were used. Results: The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the study subjects was average $43.20{\pm}16.62$ out of maximum 100 poi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family types suggested by circumplex model, there were 183 people for balance family (45.6%) and 218 people (54.4%) for extreme family. The total points on successful aging were $1.67{\pm}0.37$ out of 3 points. When the difference in points on the Successful Aging instru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cores on the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Scale those points of the balanced fami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2.087, p=.038). Conclusion: In case of the balanced family type, the level of perceiving successful aging was relatively higher. For the improvement of family function, it is advised that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among vulnerable elderly can be uplifted through a program that enables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other family members.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 (Effect of Participation in Life Sport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송민선;양남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3-18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hysical fitness and aging anxiety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9 elderl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 to 10,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software. Results: The mean life satisfaction score was 4.10. Life satisfactio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veral general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p=.014), income (p<.001), living with partner (p=.041), perceived health status (p<.001), and number of chronic diseases (p<.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life satisfaction with muscle strength (r=.20) and, flexibility (r=.21),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with aging anxiety (r=-.66). A total of 60.0% of life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income, perceived health status,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aging anxiety.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life sports programs to improv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health promotion with consideration for support to alleviate economic burden. Effect of life sports are evident as a way for healthy and energetic elderly. It should not be a simple exercise program but an integrated plan for improving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elderly.

A Study on Elderly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in China

  • ZHANG, Lili;SOROKINA, Nadezd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2호
    • /
    • pp.335-346
    • /
    • 2022
  • Elderly entrepreneurship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a response to the impact of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resulting demand on government support systems, as well as a means of ensuring long-term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derly's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the hotel and tourism sector in Ma'anshan City, Eastern China. The researcher used an online survey of older people aged 50 to 64 in a tourism destination that is approaching an aging society stage to see i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an explain the entrepreneurial ambitions of the elderly in the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There were 391 questionnaires gathered in all, 367 of which were vali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veals that personal attitudes toward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are highly influenced by societal norms. It also shows that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are antecedents of the elderly's entrepreneurial intent in this particular industry. This research adds to the research on geriatric entrepreneurship in hospitality and tourism, as well as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seniors in China, helping to alleviate the country's aging demographic concerns.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Activities Perceived by the Korean elderly)

  • 정병은;이기홍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953-970
    • /
    • 2009
  • 독립적이고 생산적인 노년기를 조망하는 성공적 노화라는 패러다임은 활기찬 인간관계 및 생산적 활동을 통한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요구한다. 그러나 국내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서는 배우자와 자녀관계를 넘어선 사회관계 및 사회활동에 관한 논의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와 관련하여 노인들이 다양한 사회활동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즉 성공적 노화에 있어서 사회활동은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되는가, 여러 활동에 대한 인식의 공통성은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가, 이러한 인식은 연령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사회활동의 유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특성과 환경적 조건은 무엇인가를 설명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2008년 7월 10일~8월 23일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면적 면접조사로 수집된 전국만 20세 이상 성인 1,000명 중에서 50세 이상 613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예비 노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으로 세분되어 사회활동과 관련된 인식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은 기본적으로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 사회활동에 참여해야 한다고 보지만, 개별 활동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를 보인다. 연령층별로 비교해 보면 특정한 활동을 강조하기보다 생애주기에 따라서 개인의 욕구와 동기에 따라 활동의 중요성이 바뀐다. 또한 여러 사회활동들에 대한 인식은 크게 생산적 활동과 관계적 활동의 범주로 분류되며, 연령층에 따라서 생산적 활동 또는 관계적 활동으로 인식되는 활동의 내용들이 다르게 연관되어 있다. 생산적 또는 관계적 활동의 선호는 성별, 거주지, 배우자유무, 자녀와 동거여부에 따라 다르며, 연령, 학력수준, 건강, 경제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 노후계획과 노동을 중시하는 태도는 일관되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사회활동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체계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생산성을 중시하는 사회 활동의 강조는 정작 관계적 동기를 지향하는 노인층의 욕구와 괴리될 수 있다.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의 영향요인 비교: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한 검증 (The Mediation Effects of Post-retirement Preparation on Active Ageing and Productive Aging: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한태영;신교수;이주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2호
    • /
    • pp.137-16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Ajzen, 1991)에 입각하여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을 고찰하는 것으로, 노년기 행동에 대한 참여 과정에 대한 동기화 과정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동기화 요소로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 각각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감을 연구하였으며, 이 세 요소가 노후준비라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노후준비의 세부요소가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를 함께 검증하였다. 50~69세의 중고령 근로자 192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활동적 노년에 대해서는 주로 태도와 행동 통제감이 노후준비를 통해서 활동적 노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산적 노년에 대해서는 규범과 행동 통제감이 노후준비를 매개로 생산적 노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 활동적 노년에 대해서는 사회적 노후준비를 매개 변인으로 했을 때 간접효과가 유의미했으며, 생산적 노년에 대해서는 정서적 및 사회적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했을 때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중년 여성들의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요인 (The Convergent factors influencing of the Middle Aged Women's Perceived Aging)

  • 정문신;권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93-501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40~50대 중년기 여성 230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생활습관, 심리적 상태에 따른 노화인식을 조사하여 중년기에 급격하게 진행되는 노화를 예방하고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후를 맞이할 수 있는 미용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5년 7월 25일부터 2015년 9월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ANOVA 및 Duncan test로 분석하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폐경비율이 높았고, 음주, 운동량, 수면시간이 줄어든 반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압박감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여부에 따라 안면노화의 상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chi}^2=39.692^{***}$, p<.001), 여가(취미)활동의 여부에 따라서도 차이를 나타냈다(${\chi}^2=22.470^{***}$, p<.01). 또, 노화의 진행정도, 노화에 대한 불안감, 개선을 위한 노력 등의 항목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폐경에 가까울수록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 50세 전후의 노화와 폐경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제2의 사춘기와도 같은 이 시기를 겪는 40~50대 중년기 여성들을 위한 미용적 대안이 마련된다면 성공적 노후를 맞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