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Aesthetic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디지털시네마와 디지털애니메이션을 위한 CGI 시각형식 구조화 -영화<정글북>을 중심으로- (Structuralization of CGI Visual Format for Digital Cinema and Digital Animation -Focused on Film -)

  • 유형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2-30
    • /
    • 2017
  • CGI는 영화와 애니메이션이 디지털시네마와 디지털애니메이션으로 진화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대중 상업 영화와 애니메이션 안에 리얼리즘 시각중심의 스펙터클의 영상문화를 정착시킨 중요한 시각형식이다. 영상문화를 설명하는 도상성, 포토리얼리즘, 핍진성, 언캐니밸리, 하이퍼리얼리즘, 스펙터클 사실주의 담론 연구를 통해 CGI 시각형식이 세 가지 관점에서 구조화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는 그림과 사진의 도상적 차이에서 생기는 조형적 관점이고, 둘째는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자연스러움과 이상함을 사실적 개연성의 문제로 보는 인식적 관점이다. 마지막으로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전통에 뿌리를 둔 관습적 관점이다. 그리고 이렇게 구조화된 시각형식의 틀로 영화 '정글북'(2016)에 사용된 CGI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 영화는 사실적인 개연성의 바탕 위에 극사실적 포토리얼의 사진적도상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과장 및 증폭된 시각적 내러티브를 주된 시각형식으로 하는 영화의 영상미학적 관습을 따르면서 동시에 동물캐릭터의 의인화로 인해 애니메이션 영상미학의 관습도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뢰감을 주는 웹사이트 디자인에서 미적 효과 (Effects of Aesthetics on Credibility in Web Site Design)

  • 김기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3-49
    • /
    • 2013
  • 웹 사이트는 대게 조직이나 단체의 첫인상을 제공한다. 많은 조직들이 그들의 웹 사이트들을 통해 판매를 확고히 하거나, 서비스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 그들의 중대성에 비해 그들의 디자인에 관하여 비용을 들이려고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어떤 사람이 한 웹 사이트를 열때, 그 첫인상은 아마도 단 몇 초 만에 만들어질 것이다. 여러가지 요인들에 기반하여 다음 사이트로 넘어갈 것인지 아니면 그 사이트에 머물것인지를 결정할 것이다. 사용자들이 고려하는 여러 요인들 중의 하나는 심미감이다. 또 다른 이유는 그 사이트의 신뢰성에 대한 사용자의 판단을 수반한다. 이 논문은 페이지의 심미감과 그 사이트의 신뢰감에 대한 사용자의 판단사이에 가능한 연결을 조사하였다. 같은 내용일지라도 심미적인 처리를 다른 수준으로 해줌으로써 신뢰감의 수준을 측정해본 결과, 그들의 관계는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웹 페이지에서 비주얼 디자인과 심미성의 효과는 확실히 존재하는데,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보게 되는 최초 몇 초 동안에 나타난다. 같은 내용이라도 더 높은 수준의 심미적 처리가 신뢰감을 더 증가시킬 것이다.

포스트모던 연극에 대한 반성과 한국연극의 미학적 지평 : '정치적 글쓰기' (Reflection of post-modern theater and aesthetic horizon of Korean theater: "political writing")

  • 하형주
    • 한국연극학
    • /
    • 제52호
    • /
    • pp.159-188
    • /
    • 2014
  •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modern writing tends to refuse an immediate conveyance of messages achieved by linear, unified writing. Such writing does not attempt any social participation and has no leading ethics, offering diverse perspectives. It simply relies on material property ignoring the 'here and now'. This discussion depends on the sensuous immediacy of works that are pure and uninterpretable, causing the "death of author" phenomena. Although the time was late, since the 1990s, discussion and work on deconstructive theater has been executed in the Korean theater world. This deconstructive work was achieved when lineal narratives were shattered through the shocking insertion of fragmentary episodes and imagery. Moreover, such plays were shocking presentations of severance in conversation; lack of communication; loss of pride and love; and a world devastated by violence and madness. In the 2000s, such a movement helped form a new paradigm in the theater through reinterpretation and parody of traditional dramas, while drawing general attention to postmodern theater. However, as the problems of postmodern theater are perceived through study, the limit of plays with a postmodern tendency is pointed out: such plays merely display 'deconstruction'. This thesis will examine reflective thought on postmodern theater seeking "deconstruction without alternatives" and the aesthetic concept of "le politique" by Jacques Ranciere. It will also look through the overlap of images as interval-estrangement, "lettre morte", and simulacre representing mise-en-scene aesthetics weaving "political wri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extend the new aesthetic horizon of Korean theater, examining in 2009 and by Koh Sun-Woong in 2011, directed by Park Chung-Hee in 2010 and directed by Park Keun-Hyung in 2009.

공적 자기의식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이상적 외모태도와 신체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ocultural Pressure over Ideal Appearance Attitude and Body Shame)

  • 홍금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731-1741
    • /
    • 2010
  • Personal appearance attitude about the ideal beauty is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the culture one belongs to. In a cultural sphere the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individuals have then the more sensitive one would be to the sociocultural pressure about thinness and thus the higher the expectations about the ideal appearance. Accordingly, in that culture one would have more body shame when they do not reach the ideal beauty standard.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German culture, with a focus on the age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especially sensitive to aesthetic conscious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perceived sociocultural pressure, appearance internalization, appearance awareness and body shame between the two cultural spheres; in addition,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he variables when compared to Germ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perceived sociocultural pressure then the higher the internalization of the ideal appearance; the ideal appearance awareness increased the body shame. In the case of the German female university student group, public self-consciousness influenced body shame directly; however, in case of the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 group public self-consciousness were not directly affective. Rather, perceived sociocultural pressures directly affected body shame and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al spheres. Finally, in regards to the direct effect about body shame, the German female university student group noted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s the most significant; however, the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 group noted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pressure as the most significant.

체험경제이론에 의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Experiential Economy Theory on Perceived Valu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 김미정;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24
    • /
    • 2022
  • 본 연구는 체험경제이론을 반영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한 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4가지 요소 즉, 오락적 경험, 교육적 경험, 현실 도피적 경험, 심미적 경험을 교수·학습 활동에 반영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연구가설 1(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프로그램의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은 심미적 경험과 오락적 경험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가설 2(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교육적 경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환경에 대한 감성평가와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 - 덕수궁 미술관 전시실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xhibition Hall of the Deoksugung Art Museum Perceived by Visitors)

  • 한명흠;오인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67-74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of the sensibility towards a spatial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general public and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paces through empirical analyses. A set of words are selected to describe visitors' perception of a spatial environm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n they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suitability.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ensibility measure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actor analyses and cluster analyses are conducted on the indicators measuring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the exhibition hall of the Deoksugung Museum, and the following five dimensions are obtained: spatial value, spatial aesthetic, spatial affinity, spatial freshness, and spatial materials. The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regarding the space of the exhibition hall under study is also investigated. A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DV) and the five dimensions (IVs), and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five factors, the 'Spacial Value' and 'Spacial Affinity' a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visitor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show that visitors' affinity towards the exhibition hall of the Deoksugung Art Museum along with the surrounding garden, as well as visitors' appreciation of the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Deoksugung Palace, are found to greatly affect visitor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spatial environment of the museum.

혁신의 확산 혹은 혼란 - 스마트 의류 잠재적 채택자 관점 - (Diffusion or confusion of innovation - Smart clothing potential adopters' perspectives -)

  • 이규혜;주나안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2호
    • /
    • pp.157-171
    • /
    • 2018
  • As the next generation of smartphone and tablet computers, wearable device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available in market in various forms. Smart clothing is a wearable device that holds the greatest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but low in market penetr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adoption and diffusion of smart clothing. In-depth interviews with potential consumers who were knowledgeable about and interested in smart clothing were conduct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perceived smart clothing as a garment rather than as a type of wearable device and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smart apparel as more convenient and advanced than functional apparel. At the same time, however, consum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smart clothing as unnecessary, ugly, and injurious to health. Consumers also worried that wearing smart apparel over long periods of time would negatively impact their health. Factors affecting resistance to smart apparel included low utility, perceived risk, and lack of aesthetic completeness. Usefulness and convenience were factors that affected the acceptance of smart clothing. The innovativeness of the product was more influential than consumer innovativeness in the process of adoption and diffusion of smart clothing.

A Study on Instagrammable Features and Viewing Experiences: Focusing on the Exhibition of

  • You, Ga-Ram;Rhee, Bo-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101-110
    • /
    • 2022
  • 본 연구는 <우연히 웨스 엔더슨(Accidentally Wes Anderson, 이하 AWA)> 전시의 인스타그래머블 특성과 관람 경험을 실증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경험 품질, 인지된 가치, 이용 태도, 지속적 행동적 이용 의사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했다. 인지된 가치의 관점에서 상기 전시의 인스타그래머블적 특성은 강했지만, 경험 품질 측면에서 전시는 유희적이기 보다는 심미적이거나 치유적 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상술한 인지된 가치는 전시만족도 및 전시몰입도와 상관관계를 가졌지만, 행동적 이용의사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전시만족도는 전시몰입도, 관람소요시간, 인스타그램에 사진 게시 및 공유 의사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SNS관광정보가치와 지각된 위험, 관광지 전환행동 간 구조적 관계 연구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NS Tourism Information Value, Perceived Risk, and Tourism Destination Switching Behavior)

  • 최재우;오경택;이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524-533
    • /
    • 2015
  • 본 연구는 SNS관광정보와 지각된 위험 간 관계를 확인하고, 관광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SNS관광정보의 가치를 증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02명의 관광자 표본을 활용하여 SPSS. 18.0을 통한 기초분석과, AMOS 18.0을 통한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SNS관광정보의 기능적 특성은 관광자의 위험지각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어, 기능적 관광정보는 관광자의 위험지각과는 별개로 개인의 동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SNS관광정보의 미적가치와 경제적 혜택 등은 관광자의 지각된 위험을 절감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SNS를 통해 접한 관광정보의 미적이미지와 경제적 혜택은 관광자로 하여금 심리적 환상을 유발하고, 관광에 대한 경제적 장벽을 해소하여 현실적으로 인식하는 위험을 절감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SNS관광정보의 상징은 관광자의 지각된 위험을 증대시키는 요소로 검증되었는데, SNS를 비롯하여 다양한 경로로 제공되는 각종 관광정보는 새로운 관광지식을 축적에 따라 새로운 동기유발 요소로 작용하면서 반대로 새로운 위험을 인식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비대면 패션·뷰티 공연의 체험요인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erience factors of untact fashion·beauty performances on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value)

  • 이지효;나진억;김치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383-395
    • /
    • 2021
  • 본 연구는 Pine과 Gilmore(1998)의 체험경제이론(4E's) 이론을 바탕으로 비대면 패션·뷰티 공연의 체험요인(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일탈적 체험, 교육적 체험)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2020년 비대면으로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된 제15회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패션·뷰티 공연 관람객을 대상으로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으로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유의수준 p<.05에서 가설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패션·뷰티 공연의 체험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가치는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변수인 지각된 가치는 체험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실증분석을 연구함으로써 실무적인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실무자 및 관련 연구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변수들의 연구를 통해 학문적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고, 다양한 비대면 공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