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Relation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4초

아동의 기질,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s, and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Happiness)

  • 이진숙;김은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33-44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cognitive and affective happine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96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d 10-13 dwelling in Jeonbuk province.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ost salient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and family's economic level; children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have good grades and to have a higher standard of living were happier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happiness in relation to gender. Second, children's temperament(sociability, activity),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hildren's cognitive and affective happiness.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parent-child problem communica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children's cognitive and affective happiness. Third,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children's temperament(activity, sociability), peer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explaining cognitive happiness. And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parent-child problem communication, children's temperament(activity) were influential factors in explaining affective happiness. In conclusion, children's happiness is critically affected not only by internal variables but also environmental ones such as parents and peers.

남녀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또래애착 및 휴대폰 이용관련 특성이 휴대폰의 기능별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융복합시대의 SNS와 메신저, 인터넷, 음악기능 사용을 중심으로 - (Effects on mobile phone functional use of ego resilience,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related characteristics i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uses of SNS & messenger, music and internet in era of convergence-)

  • 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83-391
    • /
    • 2016
  • 남녀 중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의 하위영역 특성, 휴대폰 이용관련 특성이 휴대폰의 기능별 사용정도, 즉 SNS와 메신저, 인터넷, 음악기능 사용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남녀중학생의 68.6%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 기능은 SNS와 메신저이었다. 휴대폰 SNS & 메신저기능 사용정도는 남학생의 경우 자아탄력성의 대인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활력성 수준이 낮을수록 높았고, 여학생은 또래애착의 의 사소통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휴대폰 인터넷기능 사용정도는 남녀학생 모두 자아탄력성의 호기심 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또한 여학생은 학년과 성적이 영향요인이었다. 이를 통하여 휴대폰 기능별 사용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를 하위영역별로 적용하여 중재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어린이집의 자유놀이에서 놀이 틀 유지와 변화를 위한 유아의 또래관계 전략들 (Examining Children's Peer - relationship Strategies of Free Play in a Child-care Center)

  • 전가일;이순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07-436
    • /
    • 2013
  • 이 연구는 놀이 참여자들의 놀이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놀이 틀 유지와 변화를 위한 유아의 또래관계 전략을 살피고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실증적 방식을 지양하고 유아의 생활세계인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자유놀이 시간을 참여관찰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2회에 걸쳐 현장을 방문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의 관찰기록, 참여자 면담, 참여자 기록물 등이다. 연구결과, 유아는 놀이 틀 유지를 위해 '거절하기', '무력화시키기', '동의적 해석해주기', '놀이의 규칙 바꾸기'와 같은 전략을, 놀이 틀 변화를 위해 '이르기', '내편으로 만들기', '제 3자 받아들이기'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놀이 틀 유지를 위한 유아의 전략들은 유아가 선택과 배제의 변증법과 경계의 떨림이라는 삶의 의미를 경험하는 존재임을 드러내었다. 이 연구는 놀이 틀 유지와 변화를 위한 유아의 구체적인 노력을 드러냄으로써 그동안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오던 '사회적 배척'에 대해 유아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관련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개입할 때 유아의 관점을 이해하고 보다 구체적인 개입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여가스포츠 참가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효능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n the academic efficacy and peer relation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신규리;손영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455-146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스포츠 참가가 초등학교 고학년들의 학업효능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그릿의 매개효과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제 2차년도 데이터 중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43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PASW Statistics 18과 AMOS Graphics 18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스포츠참가와 학업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이 완전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가스포츠참가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그릿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땀이 날 정도의 강도로 여가스포츠에 참가하는 것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그릿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다시 학업효능감과 긍정적 교우관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여가스포츠참가가 갖는 함의에 대해 논하였다.

청소년 초기의 자아존중감과 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ce)

  • 김희화;김경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9-69
    • /
    • 199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ce.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497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living at Pusan Korea.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multidimensional Self-Esteem Inventory, construct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the depression scale, and the life-satisfaction sca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was affected by the self-esteem related to home, peer, physical-appearance, and personality subdimenions. The importance of and the level of self-esteem about physical-appearance have an interactive effect on adolescents' depression.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was affected by the self-esteem related to home, peer, physical-appearance, and academic-general areas.

  • PDF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적응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Children’s Adjustment Ability Progress Program)

  • 최진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8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ex difference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o identify 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adjustment ability. So, It is intended to propose the preliminary data for children’s adjustment ability progress program.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2 children from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x differenc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level were partially fou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Specially, maternal and peer support levels were most highly correlated to boy’s adjustment. Father, mother, teacher and peer support levels were highly correlated to girl’s adjustment. In conclusion, children’s social support can be recognized as significant variable in predicting the adjustment of children.

  • PDF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arental Caring Awaren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s on Happiness of School-age Children)

  • 김수희;이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60-67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보호자로부터 연구동의서를 받은 학령기 아동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 하였고 최종 대상은 180명 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은 학교생활과 부모관심도 부모돌봄인식은 성별, 동거가족, 학교생활, 친한 친구, 부모의 관심도 정서지능은 성별, 동거가족, 학교생활, 성적, 또래관계는 성별, 학교생활, 친한 친구 세 명이상일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행복은 부모돌봄행위, 또래관계, 정서지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생활, 부모관심도, 부모돌봄인식과 또래관계 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6.7%이었다. 따라서 학령기아동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학교생활, 부모관심도, 부모돌봄행위와 또래관계를 고려해야함을 확인하였다.

동료평가가 초등과학영재의 개방적 탐구 개선에 끼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Review to the Improvement of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Open Inquiry)

  • 김수연;전영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69-97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가 동료평가 후에 개방적 탐구를 수행할 때 어떠한 양상으로 개선이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시 강서교육지원청 영재원 과학분야 소속 학생들은 총 3회에 걸쳐 개방적 탐구와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탐구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학생들의 개방적 탐구는 초등학생의 개방적 탐구 활동 평가 준거에 의해 평가되었다. 이후 동료평가 활동 모습과 비교하여 세 번에 걸친 개방적 탐구가 개선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동료평가 활동 시 피드백이 빈번하거나 하나의 피드백에 대하여 오랜 시간 여러 의견이 오고갔던 평가 준거의 경우 평가 점수가 향상하였지만 피드백이 활발히 오고가지 않았던 평가 영역의 점수는 대부분 비슷하거나 소폭 향상하였다. 둘째, 초등과학영재가 동료평가를 통해 개방적 탐구 수행을 개선하는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유형은 자신의 모둠이 받은 피드백을 수용하고 적용하는 유형이었고, 두 번째 유형은 다른 모둠이 받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본인의 탐구를 반성하여 개선이 이루어지는 유형이었으며, 마지막 유형은 별다른 피드백 없이도 다른 모둠의 개방적 탐구 발표를 듣는 것만으로도 스스로 반성이 이루어지는 유형이었다. 셋째, 초등과학영재가 동료평가를 할 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에는 5가지 유형이 있었다. 즉, 탐구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피드백, 깊이 생각하지 않고도 동료의 탐구에서 부족한 점을 지적하는 피드백, 탐구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피드백, 탐구의 과학적 논리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피드백,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피드백 등이었다. 이 중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피드백 유형이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동료평가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는 다섯번째 피드백 유형은 드물게 나타나 교사의 지도가 필요하다.

초기 청소년의 발달환경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매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Adolescents' Developmental Environment on their Delinquent behavior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a Environment)

  • 현다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71-283
    • /
    • 2018
  •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학교환경 등 청소년의 발달환경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컴퓨터, 휴대전화 등 매체환경이 그 관계에서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기 청소년인 중학교 1학년 총 518명 대상으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6차년도 조사결과를 활요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양육태도가 애정형, 과잉간섭형, 학대형일수록, 친구와 소외관계가 깊을수록 비행행동은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비일관성, 친구간 의사소통은 컴퓨터와 휴대폰을 더 자주 사용하게 하였다. 컴퓨터, 휴대전화를 자주 사용할수록 비행행동도 늘어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가정환경, 친구관계는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교육프로그램, 친구간 소통프로그램 등 비행행동을 방지하는 발달환경의 조성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비행행동을 완화하기 위해 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에 대해 올바른 활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요구된다.

ADHD 아동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The Development of a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It's Effect)

  • 이혜숙
    • 초등상담연구
    • /
    • 제6권1호
    • /
    • pp.171-19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cial skill training in order to reduce problematic behaviors and improve peer rela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n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s the social skill training for students with ADHD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self-esteem? Secondly, is the social skill training for students with ADHD effective in reducing their carelessness, hyperactivity and impulsive character? Thirdly, is the social skill training for students with ADHD effective in improving peer relations? Subjects were six 5th grade children who were selected by the ADHD-SC4 at P elementary school in Pyeongtaek. The social skill training consisted of 10 sessions which included forming friendship, recognizing, making friends, solving problems, reeducation and evaluation.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steem inventory, peer-relation test, self-reported scales for children and Conners' Teacher rating score for ADHD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t-test.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ough teacher's interview and observation an the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social skill training did not give a significant effect in enhancing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with ADHD. Second, the social skill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in attentiveness, hyperactivity and impulsive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ADHD. Third, the social skill training did not give a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the peer relations of the children with ADHD. Fourth the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the social skill training had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over all classroom behavior.

  • PDF